본문 바로가기
종로상공회, 종로산악연맹(종로구 등산연합회)

2019-0321. 종로상공회 한기영 회장 취임식

by 조흥식 2023. 9. 30.

2019-0321. 종로상공회 한기영 회장 취임식(하림각 세검정)

梅花,梅鳥(花鬪 2)이야기

 

 

 

 

 

梅花,梅鳥(花鬪 2)이야기

@靑雲의 푸른꿈을 안고 道峰山을 찿았다(2012.1.14.)

*參席人員(14), 뒷풀이(식당 영임이네”), 노래방(수유리)

*기념품 제공(고급볼펜: 14)

*생일회원 축배(포도주): 김부연(:1.7), 장영숙(:1.14)

*감사선물 증정: 박군자(등산용 멀티 스카프)

 

@화투(花鬪, 하나우다, 꽃들의 戰爭)

1543, 日本남부에 표류중이던 포르투칼인이 전했다

carta(카르타) 48(1)이다

일본(관서지방)의 봄(2~4)은 한국보다 1개월 빠르다

이현진(도봉산 만남의 광장)

 

@2立春, 梅花의 화려한 꽃에 매조(梅鳥)”가 봄을 전한다

화투 2(매화)에 나오는 매조(梅鳥)?

꾀꼬리일까? 동박새일까?

梅鳥는 휘파람새가 정답인듯 싶다(일본)

공유미(마당바위)

 

@漢詩 梅寒不賣香 (아무리 추워도 梅花香을 팔지 않는다)

퇴계(이황)이 죽기전날 말 한마디 저 매화에 물을 줘라!”

법정스님 입적 하루전날 고향 知人이 보내준 梅花~冬柏꽃을 쓰다듬고

꽃들이 올라오느라 고생했구나!”

심지어 이끼를 추운겨울에 방안에 키우다가 봄에 내보냈다

회재(이언적)의 옥산서원(경주 안강)의 돌담밖 매화 나무가지들이

서원 안쪽으로 자란이유는 선비들의 글소리를 엿듣기 위해서이다

 

@매화는 바람따라 씨를 뿌리지않아 마구 번성시키지 않는다

늙은 매실나무는 고매한 모습으로 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

나무가지가 살찌지 않고 청빈한 선비처럼 가늘게 성장한다

매화꽃은 안쪽으로 오물어들은 모습으로 스스로 자랑하지 않는다

아무리 추워도 꽃잎을 접거나, 오므리거나, 얼지 않는다

 

@섬진강에 梅花 꽃바람

매화의 으뜸 紅梅는 매실이 안 맺히니까 이 진한것이다

유독 紅梅 꽃 봉우리에만 꿀벌의 작업이 부산하지요

섬짐강변(광양 매화마을, 선암사, 곡성, 구례), 해남은 靑梅가 유명하다

 

@설중사우(雪中四友): 한겨울의 꽃

*紅梅, 옥매(玉梅:매화의 일종), 다매(茶梅:동백꽃) 수선화(水仙)

*歲寒三友(대나무, 소나무, 매화)

*歲寒之友? 추운겨울에도 정답게 만날수있는 친구(동백꽃)를 말한다

 

@납매(臘梅)

봄보다 훨씬 앞서 나오는 꽃인 겨울의 진객이 납매(臘梅)이다

섣달에 진주에서 피는 매화라는 뜻의 납매

꽃중에서 가장 먼저 핀고, 꽃소식이란 뜻의 花信으로 불린다

샛노란 개나리꽃 같지만 매혹적인 진한 향기가 있다

꽃잎 바깥쪽은 연한 노랑색이고 안쪽은 암갈색이다

납매를 당매(唐梅)라고도 한하며,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로 심는다

 

@梅花이야기

추위를 뚫고 찾아오는 반가운 손님에 비유해 한객(寒客)이라 한다

일본어로 매화를 우메(うめ)”라고 한다

매실열매 장아찌 우메보시(うめぼし梅干)”

매화잎(5)은 복(), (祿), (寿), (), ()

 

@동백아가씨(이미자 노래)

冬柏(동백)의 뜻은 겨울에 피다

바닷가의 붉은꽃으로 海紅花라고 칭하며, 중국명은 山茶(산다)이다

冬柏꽃은 꽃봉우리째 고개를 떨어트리는 절개있는 꽃이다

동박새 전설도 구수하다

 

@까치? 희보춘선(喜報春先)

까치는 동양화~민화에서 까치작()~기쁠희()”의 뜻

매화는 맨 먼저 꽃이 피어 봄소식을 전하는 춘선(春先)이다

연하장 매화가지에 앉은 까치를 그리는 이유는

새해 기쁜 소식(喜報春先)을 전한다는 뜻이다

고돌이 매조(홍단...붉은 매화)

 

@왜 참새라고 할까?

까치와 참새를 같이 그리는 것은 까치()와 참새()

漢字가 같은 발음이기 때문이다

참새 그림은 풍요로운 들판에 풍년이 든 논과 밭의 곡식을

상상하여 풍성하게 매달린 곡식처럼 축복한다는 뜻

따라서, 까치와 참새가 같은 의미로 그림에 그려진 것이다

 

@동박새?

벌과 곤충이 없는 추운 계절에 冬柏 꽃가루받이 시켜주는

동박새가 매화꽃에도 찾아온다

그래서 동양화 그림중에 매화에 노란 동박새를 함께 그린다

 

@노란 꾀꼬리? 휘파람새(우구이스)를 꾀꼬리라고 하는데,

음력 2월에 꾀꼬리(여름철새)는 생태적으로 맞지 않다

 

@매화 가지에 앉은 새가 휘파람새인 이유?

일본 古詩중에 2월에 휘파람새가 가장많이 등장한다

일본어 매화 우메와 휘파람새의 우구이스가 두음이 짝을 이룬다

휘파람새는 크기와 색깔이 참새랑 비슷하게 생겼는데,

워낙 부끄럼이 많아서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