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5.수락산 종주(장암역~반남박씨 종택~도정봉`주봉~동봉~당고개)
溫故知新(온고지신)
![](https://blog.kakaocdn.net/dn/eBfSvL/btsBGkBl5XF/RyMr9kAwizTVNpd3WcW0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sL00/btsBGhYWBXK/AYzKoHZP9rQXOvOGdMZX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56Eck/btsBFGY6PhS/VtqmQTbbJ0xpQhBL4hwv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XTZ5n/btsBGpbBsPy/KItLrwIZ0h7C4LPnWzrH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12aD/btsBFp4hJXT/7Mnncq5V3XEwlkQKb4SI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tOdv/btsBFgsNcmn/CQw9YT2K6AQLzV8JWcM9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QHl4/btsBGpinzkA/CKAZsUbYg55KoJYGUnLG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cWqJN/btsBFdQnIsf/q6Vad3y4C4ikzAqRuoX1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CBCS/btsBCodYwxO/wWPhflK7ELe4nLkiqtHAq0/img.jpg)
溫故知新(온고지신)
@溫故知新의 이색(李穡 : 1328~1396)
“讀書如游山 深淺皆自得” (독서여유산 심천개자득)
“글을 읽는 것은 山을 遊覽(유람)하는 것과 같으니
조예의 天心이 모두 스스로 깨닫기에 달려 있다”
.목은 이색이 “讀書(독서)”라는 제목으로 쓴 詩의 첫 구절이다.
공부를 통하여 낮은 단계에서 점차 고원한 경지로 나아가는 것으로
책의 깊은 내용을 터득하는 것이 독서하는 자의 역량에 달려 있다
깨달음~산을 유람하는 행위를 연상시킨 것이다
.남송시대 나대경(羅大經)의 “학림옥로(鶴林玉露)”
산과 물에서 노니는 것이 도의 단서(道幾)를 촉발시키고
심지를 열어준다는 말과 함께, 산수를 살펴보는 것은
책을 읽는 것과 같으니 식견과 취미의 고하에 달려 있다
“觀山水亦如讀書,隨其見趣之高下”에서 유래되었다
@추상적 행위(독서)와 구체적 활동(유산 遊山)을 상호 비교하면,
.퇴계(退溪 李滉)의 詩 “독서여유산(讀書如遊山)”
.공력을 천근한데서부터 들여야 하며, 깊은 경지에 나아가는 것은
자신이 하기에 달렸으니 절정(絶頂)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포기하지 말고 노력하라는 내용이다.
.주세붕(周世鵬)의 “유산(遊山)” 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듯하다
.후대 퇴계(이황)학파의 문인들이 퇴계의 詩 를 널리 인용하였다
.남명(조식)학파에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문인중에서
박여량(朴汝樑 1554~1611)은 지리산을 유람할 때 이 말을 인용했다
당시 선비들은 독서와 유산을 결부한것은 보편적인 일이다
.훗날, 유산에서 인격 수양의 의미는 퇴색되고 놀이 문화로 변모해 간다
@논어(위정 爲政)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옛날 익혔던 것을 복습하여 거기서 새로운 의미를 터득하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요즘 溫故知新은 연암 박지원의 법고창신(法古創新)과 비슷하다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바탕위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자는
문맥으로 활용되지만, 논어에서 의미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논어 서설, 정이천(程伊川)의 溫故知新
“나는 17~18세부터 논어를 읽어 그 때도 문의(文義)를 알고는 있었지만,
오래 읽어 나갈수록 의미가 심장함을 느낀다”라고 하였다
.자신도 모르게 손발을 움직이며 춤을 추고 껑충껑충 뛰거나,
읽기 전과 읽은 후에 사람이 판연하게 달라지는것이 溫故知新이다
@청나라의 문필가 장조(張潮)
“소년 시절의 독서는 틈 사이로 달을 엿보는 것과 같고,
중년의 독서는 뜰 가운데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의 독서는 누각 위에서 달을 감상하는 것과 같다.
모두 살아온 인생 경험의 얕고 깊음에 따라
느끼는 것도 얕고 깊게 되는 것이다”
(少年讀書, 如隙中窺月, 中年讀書, 如庭中望月, 老年讀書,
如臺上玩月, 皆以閱歷之淺深, 爲所得之淺深耳)
.열력(閱歷)은 직접적 경험, 독서, 견문...그 사람의 총체적 인생경험이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늘빛사랑 조흥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502.금병산(경춘선 김유정역) (1) | 2023.12.09 |
---|---|
2020-0426.도봉산(사패산~포대정상~망월사) (0) | 2023.12.09 |
2020-0419.도봉산 사패산(복숭아꽃, 야생철쭉꽃, 진달래꽃) (1) | 2023.12.09 |
2020-0403. 2020-2021 허재갑총재 당선 1탄(대의원총회) (0) | 2023.12.08 |
2020-0328.북한산 진달래능선 (1) | 202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