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1-0203. 2020-2021회기 회장단회 유니폼 공개

by 조흥식 2024. 1. 21.

2021-0203. 2020-2021회기 회장단회 유니폼 공개

한양의 조선궁궐(경복궁.창덕궁.창경궁.경운궁.경희궁.인경궁)

 

 

 

 

 

한양의 조선궁궐(경복궁.창덕궁.창경궁.경운궁.경희궁.인경궁)

1.한양천도 배경(삼봉 정도전)

@“高麗에 대한 향수를 없애야 한다한양천도를 추진한다

.風水地理(위계질서를 강조하여 역성혁명을 감춘다)

.1392朝鮮건국(개성 수창궁, 壽昌宮)

:南京으로 천도를 검토(인왕산 행궁: 누상동/현 청운동사무소)

 

2.한양의 풍수지리

@藏風得水 發福祈願 地氣風水

.풍수는 인간+자연의 절묘한 조화, 중국(펑쉐이)도 그렇다

.풍수지리 도성(북악산, 낙산, 안산, 남산...한강, 청계)

.1393, 권중화(1322~1408)의 계룡산 천도를 건의(풍수)

:이성계, 무학대사(1327~1405)의 직접방문후 新都건설 시작

:하륜(1347~1416)이 국토의 전체적 형국을 고려하는 상소

(나라, 胡舜申 지리서를 인용하며, 계룡산의 부당함)

.하륜, 권중화, 정도전(1342~1398)의 한양으로 천도를 검토

:무학대사의 추천으로 이성계가 직접방문(무악산, 백악산)

:하륜의 모악, 신촌부근을 주장~권중화, 조준(1346~1405)의 반대

.도평의사(都評議使): 형세, 도로, 수로에 편리하여 天人의 뜻이로다

.성곽(18km)은 북악~남산~인왕산을 연결(태조~세종~숙종완료)

.종로상가(운종가)~남대문시장(칠어패)~동대문시장(동부채)

 

@정도전의 南向...“天子南面해야 한다(좌청룡 우백호)”

.天子는 하늘의 아들(上帝)

.()은 상제를 아름답게 부르는말...()上帝의 이름

.황제는 중국대륙을 통치하는 자, 天子이다

.문무백관은 북쪽의 임금을 향하여 알현한다

.무학대사는 인왕산, 하륜은 무악(母岳, 신촌일대)를 주장했다

 

 

 

@무학대사의 인왕산 東向을 주장, 풍수적 예언과 경고

.북쪽, 영천/무악재 고개에는 선사3000명이 수도할 것이다

:일제시대 서대문감옥을 짓고 3000명을 수용했다

.동쪽, 지세가 너무 약하다

:임진왜란, 한국동란에 적군이 동대문으로 입경했다

:낙산 아래에는 인재가 쏟아져 나온다(서울대학교 설립)

.서쪽, 인왕산은 너무 강하여 군부가 장악할 것이다

:박정희~전두환, 노태우의 구테타/군사정권(수경사 30경비단,장세동)

.남쪽: 관악산의 丙午落脈하여 경상도 정권 등장, 국란초래

:200년후부터 임진왜란, 병자호란, 일제시대, 한국전쟁...

.왕십리의 전설(훗날: 神僧으로 평가된다)

.해태상 상징(관악산의 불운을 막는 상징)

:下馬, 가마에서 내린다(법을 준수하라...경고)

 

 

 

 

景福宮(경복궁)

@정도전은 新都宮闕 造成都監 설치(경복궁 공사)

.靑城伯 임명(심덕부 1328~1401)

.기초공사 착공(1393,12)~설계기간(3개월 소요)

.개토제(12,4)~10개월후 준공(1395,9,29)...390

.15000명 동원(1~2, 8~9), 승려들을 부역동원

.경복궁 입주(1395,12.28)

.3년후, 궁궐 담장공사 완공(1398)...755칸규모

 

@경복궁의 긍지

.자금성(1420)보다 25년 먼저 건축(경복궁: 1395)

.자금성(24만평: 장대함)~경복궁(14만평, 60%: 어울림)

.정전/월대의 구분: 황궁(53)~왕궁(33)

.北京(주산, 수목 없이 假山을 만들어...)

.漢陽(북악산과 한강의 풍수)

 

2.경복궁의 명칭유래

@경복궁은 중국고전에서 인용: 詩經 大雅 旣醉(기취: 이미 취하다)

(이미 술에 취하고 배가 부르니, 군자는 만년토록 큰복을 누리리라)

 

@景福宮의 모든 樓閣도 중국의 고전(五福)에 따라 命名한 것이다

.康寧展書經(홍복)에서 유래하여 왕의 五福중의 하나이며

.교태전도 태괴(하늘~)의 천지조화를 의미하여

세종은 왕과 신하를 칭했다고 하며, 고종은 왕~왕비로 해석하였다

.慶會樓는 왕과 신하가 기쁘게 만난다는 뜻으로, 태종이 건축했다

큰 돌기둥은 周易에서 유래한 의미를 두었고,

.勤政殿은 본래의 뜻은 왕과 신하를 뜻하는 것이었다

 

@영제교

.禁川으로 明堂水 영제교(1411)護岸石築...천록(天祿, 天鹿)

왕의 밝은 은혜가 아래로 두루 미치면 나타나는 신령스러운 동물

(한마리 분실, 대원군이 남별궁/원구단에서 환원시켰다...조선호텔)

(창덕궁, 창경궁...금천교)

.집현전(세종, 1426)에서 대문, 교량명칭을 정한다

:3(광화문~弘禮門/, 흥례문~근정문)

;日華門, 月華門, 建春文, 迎秋門, 神武門...永齊橋

(훗날, 집현전에서 훈민정흠을 반포, 1446)

 

.3(外朝, 治朝, 燕朝)

:외조: 외국사신을 맞고 문무백관이 조회하는 근정전 권역(사랑채)

:치조: 정무를 보는 사정전 전역(편전: 만춘전, 천추전)

:연조: 침조, 왕과 왕비의 생활공간(강녕전,교태전,자경전...안채)

 

@1400(정종2), 1차 왕자의 난으로 개경으로 환도

@1405(태종5), 2차 왕자의 난.....한양으로 천도

.창덕궁(이궁)을 건설하여 정도전(경복궁)과 악연을 버리다...

.3년후 이성계가 죽다(1408,창덕궁 별궁)~태종(이방원)은 창덕궁 사용

.궐외각사(육조거리; 호부, 공부, 형부, 예부, 이부, 병부)...세종로

.궐내각사(궁궐내 위치;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도승지...)

 

3.근정전(勤政殿)

@法宮, 政殿, 法殿, 공식의례 행사(전조후침)

.어진신하(인재)를 등용하는데 임금은 부지런해야 한다

.정도전은 재상중심(신하)의 정치구조를 구상했다

.임금 즉위식, 문무백관의 朝賀(조하), 외국사신 접견, 중요행사

@근정전의 유래(정도전), 書經

천하의 일이 부지런하면 다스려지고, 부지런하지 않으면

()하게 됨은 필연의 이치입니다.

그러나 임금으로서 오직 부지런해야 하는것만 알고

부지런해야 하는 바를 모르면, 그 부지런하다는 것이

오이려 번거롭고 까탈스러움에 흘러 보잘것없는 것이 됩니다.

어진이를 찿는데 부지런 하시고, 어진이를 쓰는것은 빨리...”

 

@병풍 日月五峰圖(日月五嶽圖 )

.白頭山()~智異山()~金剛山()~묘향산()~三角山(중앙)

(어진정치를 베풀어 온 백성이 편하도록 선정을 하라)

(목단,어가도,천하가하도/천리아사도,십장생도,훈민정흠.성경.불경...)

.옥좌: 바닦에 옥으로 깔아...

:부처님의 닫집 보개(寶蓋), 구름무늬, 칠조룡 한쌍(七爪龍: 발톱7)

.품계석(문무석: 9개씩)...동반(문관)+서반(무관)

.3단 회랑, 어도(御道)...

 

@박석 바닦: 경사 유지,

.창덕궁은 잔디밭(일제시대)을 박석으로 교체했다

.임금행차로에 박석공사(서오릉:연신내 고개, 헌인릉:내곡동 고개)

.문종, 황보인은 구운 당전(唐甎, 중국식 벽돌)으로 교체를 건의했다

.광박석은 넓고 얇은 화강암판

(5개 정전마당, 42개 왕릉 참도, 종묘 진입로)

.강화도 매도에서 채굴(구들장

 

@치세적 의미를 강조

.四神像: 청룡, 백호, 주작, 현무(공간 관념)

.十二支: 방위와 시각을 상징(시간 관념)

.월대 석견상: 멍엣돌(4, 두 마리가 딴청을 부리는 석상)

(石犬의 유래: 남쪽 왜구를 향하여 짖는 형상으로,

母子지간으로 훗날 자식이 대를 이어 지키라는 의미이다)

.서수상(瑞獸):

 

4.사정전(便殿, 경복궁): 집무실, 경연장

.천하를 다스릴때 항상 생각하라

.훌룡한 신하를 자주만나 논의하면서 천하를 통치한다

.왕의 근정전 의식(행사)을 준비하는 예비공간(내전)으로 활용

.日月崑崙圖(일월곤륜도), 벽화(雲龍圖)

.온돌시설(난방)

.내탕고(8): 천자고,황자고....천자문(天地玄黃 宇宙洪黃)

조선백자 대접 그릇 바닦에 쓰여있다

 

@수정전(세종: 집현전): 세조(예문관), 고종(편전)

.1894, 갑오동학 농민전쟁...갑오경장(군국기무처)

.만춘전: 동쪽, ()

.천추전: 서쪽, 가을()

 

5.침전(寢殿)

@강녕전(康寧展): 임금의 후침공간(寢殿), 식사, 취침, 휴식(연침)

.書痙(홍범편, 5중에서 康寧1개로써 나머지 4개를 커버한다)

(혼자 있더라도 바른생각하고, 바른마음으로 정치, 행동하라)

.강녕전(왕의 침전)9...침소위치의 보안(자형: 중앙에 위치)

.8: 궁녀숙식(이동로: 툇마루)

.御井(어정: 우물)

*창덕궁 화재후: 창덕궁 희정당으로 철거 이전한다

 

@교태전: 왕비의 침궁(寢殿)...동온돌, 서온돌

.태괴(하늘~)의 천지조화를 의미하여

.세종은 왕과 신하를 칭했다고 하며,

.고종은 왕~왕비로 해석하였다

.훗날 교태전으로 변경되는데, 지붕에는 용마루가 없다

.왕의 성생활은 공개되어 경호에 만전을 꾀한다

.양의문을 통과하면, 비밀의 정원(아미산)

:아미산(경회루 연못공사의 흙으로 4, 假山 조성)

:4개 굴뚝(붉은 벽돌, 기와지붕, 벽은 四君子 장식)

:千歲萬歲 萬壽無疆

.양의문 좌우 굴뚝은 사정전의 굴뚝이다(주홍색)

;구들(개자리), 불을 눕혀서 오래 붙잡아두는 이치

:불은 습하고 찬공기를 쫓아가는 원리

 

@中殿(왕비공간(궁궐의 중앙에 위치)

後宮(후궁): 왕비건물 후편(아미산 정원) 후첩들의 독자공간

:양반출신 후궁(상당한 처우)

:천민출신 후궁(왕의 성흔: 후궁대열, 득남시 신분상승)

 

@침전(寢殿)에는 용마루가 없다

.강녕전(경복궁), 교태전(경복궁 교태전을 창덕궁으로 이전)...

.대조전(창덕궁), 통명전(창경궁)

.최초 의미는 왕/신하간의 교태공간

(아래:하늘~:땅의 천지조화, 택배, 교차를 의미한다)

 

@흥선대원군, 자경전(교태전 동쪽)의 뒤편에 십장생 굴뚝

.신정왕후(익종/효명세자 풍향조씨, 고종 옹립유공)를 위해 건립

(1866년까지 수렴청정)

.철인왕후(철종), 효정왕후(헌종계비)이 생존

.담장을 꾸며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함원전, 흠경각(교태전 옆)

.흠경각 옥루기륜(천문 물시계, 장영실 제작, 세종 1438)

.자격루는 자동으로 종이 울린다(자동시계, 장영실, 김조 제작)

.흠경각의 유래: 書經 요전(欽若昊天 敬授人時, 흠약호천 경수인시)

하늘을 우러러 공경하며, 백성들에게 때를 일러준다

 

@東宮 자선당(왕세자 공간), 상낭문은 退溪글씨

.資善: 착한 성품을 기른다

.시강원, 세자익위사(경호), 자선방

 

6.경복궁의 수난(화재, 천재지변)

@근정문 동구삭(東水閣)에 벼락이 떨어졌다(1544, 중종)

.대사면령(유배자, 경범자 석방...모반대역죄, 살인죄는 제외)

 

@경복궁 화재(1553, 명종)

.창덕궁으로 이전후, 1554년 복원

.윤개(1494~1566), 윤원형(좌의정 ~1565)의 반성

 

@임진왜란 화재(1592)~273년간 방치

 

@경복궁 중건(흥선대원군)

.1868년 재건(고종5, 흥선대원군): 3년공사

.고종 환궁(태조 37칸 남은 궁궐...7000칸규모 확장)

.當百錢 발행(국채)

.원납전(願納錢) 강제 기부금제도(원망할 ...?)

 

@勞動謠(노동요, 1865), 매천야록(황현, 1894) 정월조

경복궁 중수 부역꾼의 노래를 고종, 민비도 불렀다

.매일밤 전등불 아래에서 소리패, 놀이패를 불러놓고

.阿里娘(아리낭)타령, 新聲艶曲(신성염곡)을 불렀다

.민영주는 원임대신으로써 아리랑을 관장하였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후 중단되었다”(대원군시대~일제시대)

 

.금지가요(아침이슬, 동백아가씨...“동백꽃의 곧은 절개”)

.흑인노예, 탄광노동자, 모내기, 어부들의 고기잡이...

 

@노태우 대통령(忠正歌), 수도경비사령부(1979~)

조국은 부른다 우리, 조국은 믿는다 우리, 님에게 바치리 이 한목숨

충성 한가닦에, 갈고닦은 우리들의 갈길은 오직하나...”

.忠正寺(멱락산), 남산 한옥마을...박정희(새마을 노래)

 

@육권요(三國時代, ).....중국 3대 청백리(탐관오리 치욕비석 휴대)

.흑심전(울림 태수관저)을 백성들이 비웃는 노래...불로 태워버린다

커다란 쥐가 나의 기장을 훔쳐, 큰집을 지었네...”

.1496, 번지(, 선비)가 소주지역 순찰중

.비석 발견하여 염석(1270년전)” 을 대문밖에 전시하였다

 

@1876(고종13), 대화재 800칸 소실

.창덕궁으로 이전

.임오군란(1882)~갑신정변(1884)

.1885, 경복궁으로 환궁

.1895, 명성황후 시해사건

.러시아 공관으로 피신(아관파천), 신무문으로 야밤도주

.1897,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궁

.18년간 사용(고종)

 

@경술국치(4000칸을 민간에 매각)

.1910, 한일합방

.1917, 창덕궁 화재...강녕전과 교태전을 옮겨 창덕궁을 복원

.1927, 조선총독부 건축

 

@1996, 중앙청 철거

.중건공사, 광화문 재건...현재 125(고종시절: 500)

 

7.경복궁의 재건(고종. 흥선대원군)

@조경식수

.회화나무

.물프레나무(물을 푸르게 한다)

:곤장나무, 괭이자루, 도리깨, 종구라켓, 야구방망이

.참나무

.말채나무: 지네를 막아준다

.서어나무(누릅): 엽전모양의 열매, 나그네들의 짚신을 걸어놓는다

:수레바퀴, 축유(軸楡)...

 

@춘양목(고성~울진~삼척~봉화...)

.150년생 이상, 삼척 준경묘(150만평, 9000그루)

울진 통고산 휴양림(150만평)에서 경복궁 복원에 166그루 사용

.광화문, 남대문의 대들보는 캐나다에서 수입

.경주 황룡사 복원에 목재(2400, 4톤트럭)

 

8.경회루(慶會樓), 이방원이 건축(1411)

@어진 임금과 어진 신하가 기쁘게 만나는 곳이다

.48개 돌기둥(天圓地方說)

.바깥은 네모기둥, 안쪽은 둥근기둥(하늘은 둥글고, 땅은 사각형)

.청마루(3), 이중에서 가장높은 3단은 天地人

.8개 기둥은 周易8

.가운데 단(12)한해, 12개월을 칭하며

.가장아래 단(23개 기둥)“23절기를 의미

.처마에는 악귀를 막아주는 잡상(잡동상이)”를 설치

.낙성연에 판소리꾼 전채선을 초청한다

 

@298(1200명 수용)

.3칸 분합문(分閤門), 계자 난간(鷄子), 낙양각(洛陽閣, 커튼모형)

.인공방지, 물순환 시스템(3가지 공법적용)

:현폭기법(懸瀑): 높은곳에서 흐르도록 시설

:자일기법(自溢): 수평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설계

:잠류기법(潛流): 연못 밑으로 흐르는 순환

.하륜 검토(경회慶會, 납량納涼, 승운乘雲, 소선小仙, 기룡騎龍)

.현판(양녕대군, 19)

.외국사신 연회, 장군의 송별연, 종친 연회, 활쏘기, 과거시험, 기후제

.연산군의 유흥

(만세산에 꽃, 봉래굴, 日宮, 月宮, 벽운궁을 만들고,

,,비단으로 장식하고, 黃龍舟를 띄우고 만세산을 유람하다

연꽃, 비단꽃, 동물모양을 물에 띄우고 촛불과 향을 피워...)

.중종은 가건물을 모두 헐어버리고, 주인에게 돌려준다

청기와로 교체를 건의했으나, 거절한다

 

@경회루 복원후 낙성연(1867,4,20...276년만에 복원)

.현판: 신헌 필체(추사 김정희 제자)

.순종(1908)은 총독초대(이토 히로부미 송별~소네 아라스께 환영)

1800명이 참석한 행사

.이승만은 인근에 하향정(육각정)을 건축하고 낚시를 했다

.1950, 스케이트장(청운초교)

 

9.경회루 재건 낙성식(흥선대원군)

@여류명창 진채선(1847~)은 신이 내린 최초 여성제자로 유명하다

.고종시절, 경회루 낙성연에 초청되어 기예를 선보이자,

.흥선대원군이 흠모하여 사랑했다고 전해진다

.판소리의 대부, 동리 신재효(1812~1884)는 판소리 후원자

 

@소설 대원군이 사랑한 진채선은 이정규가 집필했다

.고귀한 사랑을 주재로 스승(동리 신재효)을 사모했던 이야기...

.경회루 낙성식에서 고운외모, 빼어난 춤솜씨, 관객을 매료시킨 절창에

.흥선대원군은 첫눈에 반하여 운현궁으로 불러 후첩으로 삼았으나,

.상사병으로 않던중, 꿈속에서 스승(신재효)가 사경을 헤메자,

.곧장 탈출하여 고창에 당도했을때, 이미 스승은 죽었던것이다

.무덤앞에서 3년상을 치르고 홀연히 종적을 감춘다

.허탈에 빠진 대원군은 삼개나루에 我笑亭(아소정)에서 말년을 보낸다

.마포 삼개나루는 황해에서 한양으로 들어오던 物貨集散의 포구이다

.我笑亭(아소정)은 갑오개혁이후 연금당한 은둔생활의 별장이다

 

@담담정터(淡淡亭址)는 마포동 벽산빌라 정문 옆에 있다

.淡淡亭은 조선초에 안평대군이 지은 정자였으나

.세조 시절, 신숙주(1417~1475)의 별장으로 주인이 바뀐다

.안평대군은 淡淡亭에 만여권의 책을 쌓아두고, 詩會를 베풀었다.

.세조는 淡淡亭에 거둥하여 중국의 배와 화포를 쏘는 것을 구경하였다

.훗날, 淡淡亭터에 마포장(麻浦莊)을 지어 이승만 대통령이 머물렀다

 

10.조선의 대목수(박자청)

@박자청(대목수, 1357~1423), 8개월만에 준공

.노비출신으로 공조판서, 의정부 참판에 오른 입지적인 인물

.장영실은 부산 官奴(관노)출신으로 종3품에 올랐다

.황의석(개국공신)의 하인 출신

.1391, 이성계의 금강산 월출봉 청동사리함 봉안에도 이름이 있다

(발원자: 이성계와 부인강씨, 시주자: 황희석등 남녀 11,

제조자: 박자청등 3)

.이후 말단 무관으로 등용되어

.궁궐문 초병근무시, 의안대군(태조의 이복동생 1382~1398)을 제지

.국왕 경호를 담당하는 호군으로 승진

.주변의 미움을 받지만 잘 견디었다

.1405, 營繕(영선) 감역관으로 창덕궁 완공, 안마(鞍馬)를 하사받다

.1407, 4개월만에 성균관 문묘를 완공

:변계량(1369~1430)이 개성의 문묘보다 훌룡하다고 칭찬한다

.1408, 건원릉(이성계)와 제릉(신의왕후)을 공사한다

.140810, 공조판서(繕工人의 최고직)

.1410, 용산 군자감의 곳간 건축, 경복궁 보수, 청계천 준설, 호안공사

.1412, 경회루 준공

.1413, 서울성곽 보수공사

.도감 제조 승진

.1414, 한양 도성공사

.1420(세종), 살곶이 다리 건설

.1413, 도성수축, 제조 임명

.1422, 산릉도감 제조로 승진후, 헌인릉 준공(태종)

.1423, 67세 사망(세종, 3일간 조회를 중단하다)

.위익공 시호 하사(: 강극으로 발탁, : 위엄있고 민첩하다)

 

@궁궐(3000명 거주): 정전(正殿)~편전(便殿)

.연생전: 동쪽, ()

.경성전: 서쪽, 가을()

.연길당: 고종건축, 소침으로 활용

.응지당, 함화당, 집경당, 장고(장독대)

 

11.태원전(殯殿, 빈전): 제사를 지내는곳(선왕들의 영정)

.태원전: 하늘을 뜻한다

.영사재: 오래토록 생각하여 가슴속에 새겨둔다

.광림문: 하늘에서 땅을 내려다보며 살피듯 하다

.건숙문: 엄숙함을 세운다

.예성문: 의식을 마무리한다

.숙문당: 위패를 모시는 魂殿

.선방:절집의 3칸 어염집

.고종9(조선창업 8회갑~480, 1872)

:이성계 초상, 원종(인조 부친)의 어진을 모셨다

.신정왕후(1890), 명성황후(1895)를 장례한 공간이다

 

12.고종황제(10)의 별채, 건청궁 완공(1873)

.향원정(1873, 고종): 연꽃향이 멀리까지 퍼져나간다

:송나라 주돈이 (애련설)...香遠益淸(향은 멀수록 더욱 맑다)

:세조때 작은 연못 취로정(1456, 翠露亭)

:취향교(醉香橋)

.건청궁: 명성황후 시해(고종의 편전), 1873년 건축

:강녕전 화재(1876)로 창덕궁으로 이전후 환궁(1885)

:전기 조명가설(1887)

.집옥재: 고종황제의 서재(1881)

:현판 송나라 米芾(미불)의 글씨를 조립했다

:중국풍 건물, 자격루시계 대신 서양식 시계탑을 세웠다

.관문각 서양식 서재 건축(1888~1891 완공)

.곤녕합: 명성황후 시해사건(1895,8,20), 을미사변

.장안당, 복수당, 생물방, 곳간, 함광문, 필성문...

.초양문: 秋水芙蓉樓, 玉壺樓(옥호루, 누마루)

.뒷편 정원을 鹿苑, 鹿山으로 불렀다

 

@순종은 창경궁에 99칸 연경당을 지었다

@헌종은 낙선재를 짓고 살았다

 

13.광화문(1395) “이 집(경복궁) 주인의 임무

@경복궁(景福宮)의 대문은 光化~建春~迎秋~神武문이다

.명성황후 을미사변~일본 조선총독부(중앙청)~YS철거후

.현재 광화문을 옮기는 공사중이나 G20회의 전에 준공한다

.청기와(조선)는 황기와(/청나라)를 보좌하는 색이다

 

@午門(오문)

문을 닫아 쓸데없는 말이 들어오지 않고,

문을 열어 어진사람이 들어오다

 

@光化(광화), 세종(1426), 집현전에서 개칭

.書經 요전: 광피사표 화급만방 (光被四表 化及萬方)

(, 군주의 덕)은 사방으로 덮히고,

(교화, 바른정치)는 만방에 미친다

 

@남쪽각도 3.8도가 삐뚤어져 남산 팔각정(일본 신사)을 향한다

.14m 안쪽으로 옮겼다(일제시대)

.동십자갇, 서십자각...

.2010, 원위치 복원완료

 

@현판

.대원군, 여초 김응현의 필체를 받지못해, 임태영(훈련대장)의 필체

.박정희 한글현판을 교체

 

 

 

昌德宮(창덕궁)

1.돈화문(敦化門)은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태종(이방원)이 정통성을 목적으로 건축하여 13명이 사용했다

.300년 왕궁...3번 화재(임진왜란~인조반정~고종1917)

.인조(25)가 인경궁을 헐어서 재건축한다

.뒷편에 비원에 4개소 휴식처가 있으며,

.본청은 仁政殿이다

 

2.창덕궁(순종 재위: 1907~1926)

.창덕궁으로 환궁(응봉자락, 이방원 건립 1405) 755칸 궁궐

.돈화문, 금호문, 단봉문...금천교, 인정문, 인정전

.희정전(황제 집무실) 서양식 실내장식(유리창, 전기, 쇼파)

김규진 그림(1920) 총석정절경도, 금강산만물초승경도

.대조전(용마루없는 지붕, 왕비 침전)

.선정전(청기와 집무실)

.낙선재(순종 승하후, 순정효황후 윤비 거처)

1962, 일본귀국 영친왕, 이방자여사, 덕혜공주(고종의 딸)

(長樂門: 오래토록 즐긴다 신선이 산다는 月宮”)

대원군 필체

.1910, 8.22 인정전에서 한일합방(이완용, 송병준)

.1926, 4.25 순종황제 승하

.1926, 6.10 독립만세

 

3.돈화문(창덕궁, 인정전)...어문+서협문+동협문

.동협문...1(大臣; 삼공)+3품이상 정승이 출입한다

;언관(대간,臺諫)..(사헌부)+ (사간원)...양사..삼사(홍문관)

.서쪽문/금호문(金虎門);서쪽+백호...,주차장쪽(일반관리 출입문)

.돈화문옆 남문/단봉문(丹鳳)..붉은 주작+봉황...내시 출입문

.백택 석상(지혜로운 상상의 동물, 성군이 나타날 때...주작 깃발)

 

4.임금 독대는 자칫하면 조정에 피바람을 몰고온다

.이이명(숙종~경종; 영조 연잉군 문제)로 부각되어 피를 부른다

.사관(言官 2)은 사초 비공개(춘추관 소속) 원칙이다

.주서; 왕의 일, 행정 기록(승정원 소속)을 기록하는데...공개한다

(271년간 기록; 인조~고종까지)

.배석; 승지(1)가 반드시 있어야 면알이 가능하다

.궁궐의 출근은 묘시(5~7)...유시(5~7)에 퇴근, 점심은 없어...

 

5.창덕궁 금천교/ 경복궁 영제교

.돌아올수 없는 다리, 궁궐의 경계(안팎)을 구별한다

.창덕궁/흥화문의 금천교; 사도세자가 석고대죄(명전전 입구)

;나경원이 10개항을 밀고, 처형된다(임오화변)

;영조가 직접 심문하고, 사도세자와 대질은 피한다

 

6.궁궐의 문...임금과 백성이 만나는 상징적인 공간이므로 넓다

.숭례문(남대문) 화재시 국민들이 눈물을 흘려...

.닫으면 벽-열리면 길...좁은문으로 들어간다(낙타가 바늘구멍)

.궁궐문은 상징적인 만남의 장소(백성+임금)...그래서 넓은 광장이다

.대문관리; 승정원에서 符信(부신, 출입증)을 발부...야근후 인솔해줘..

;공용출입증은 관하및 왕실에 사전배부(신부;남자용...한부;여성용)

;관리(관원)은 복장(사모각대;모자+혁띠)으로 구별하여 출입통과

.정조는 신분별 출입제도를 철폐토록 어명을 내린다

 

7.“지부상소”..백성이 등에 도끼를 메고 궁궐문 앞에서 엎드리다

;강력한 건의할 때...친인척 고발할 때...

.詣闕(예궐)은 임금을 만나러 궐에 들어가는것이다

.출입문의 문턱을 일부러 높여...돈화문앞 계단이 심하다

(광화문은 문턱을 없애고, 일본이 평탄하게 개조했다)

 

8.홍화문 광장에서 백성을 만난 이유? 창경군 홍화문(영조~정조)

.영조(1694~1776, 재위 1724~1776)

@사미(賜米); 임금이 한양백성들에게 쌀을 하사하던 광장이다

.1795년 을묘원행(정조19)...화성(특별과거,양노원)..귀경후

.선인문(2칸짜리 남쪽문);+가마 출입(수송부), 마구간 위치

 

@영조는 왕이 되기전에 궁궐 밖에서 생활했다(창의궁: 잠저, 경복궁 서쪽)

.백성들의 군역 부담 해결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

.1750(영조26), 弘化門 밖으로 나아가 사서인(士庶人)을 불러

양역(良役)에 대하여 물었다.

.영조는 영의정 조현명(趙顯命) 등에게 말하기를,

이윤(伊尹)이 이른바 한 사람이라도 제자리를 얻지 못한다면

내가 밀쳐서 구렁에 떨어뜨린 것과 같다.’ 하였는데,

바로 내 마음을 이른 말이다.”

.하교한다 너희들의 고질적인 폐단은 양역보다 더함이 없기 때문에

궐문에 임하여 묻게 된것이다.

유포(遊布)와 구포(口布)는 당초에 논하고도 싶지 않으니,

호포(戶布)와 결포(結布)로써 너희들의 소원여부를 듣고자 한다.

.반경(盤庚 :書經의 편명) 세 편은 모두 백성에게 하유하는 글이다.

나도 지금 백성들에게 하유하노니, 각자 소견을 말하라.”하고,

.윤음을 받아 적으라고 명하고 말하기를,

! 이번에 궐문에 임한 것은 실로 백성을 위한 연유에서이다.

우리 사서(士庶)들은 모두 이 하유를 들으라. 생각해보면,

지금의 민폐는 양역 같음이 없으니, 지금에 이르러 고치지 않는다면

앞으로 어느 지경에 이르러 탈가(稅駕: 수레를 풀고 휴식을 취함)

될지 모르는 일이다.”

 

@양역(良役)16~60세까지의 양인들이 국방의 의무를 대신해서

.내는 세금으로 포목(군포)을 내는 것이었지만,

.어린 아이나 죽은 사람, 친척, 이웃의 군포까지도 부담하게 됨으로써

.백성들의 원망이 끊이지 않았다.

 

@“내가 임어한지 2(: 1기는 12)가 되었으나...

.호포(戶布), 결포(結布), 유포(遊布),구전(口錢)...

.구전은 일이 매우 보잘것없고, 유포 역시 매우 불편하니...

.오부(五部)의 방민(坊民), 금군(禁軍)...50명이 호포가 편하다고 말하다

 

@유래 노나라의 칠실에 살던 처녀가 정치의 잘못으로 피해를 입었다

.전의감(典醫監)에 청()을 만들어 균역청(均役廳)이라 이름하고,

.예조판서 신만(申晩), 이조판서 김상로(金尙魯),

.사직 조영국(趙榮國홍계희(洪啓禧)를 당상으로 삼았다.

.1년에 백성들이 부담하는 군포 2필을 1필로 납부하게 하였다

 

 

 

秘苑(비원~)

1.부용지: 연못에 둥근섬(天圓地方: 하늘은 등글고 땅은 네모나다)

부용정: 기둥 2개는 연못에 담겨져 있어 신선경도 같다

남쪽 장대석(뛰어 오르는듯 물고기 조각, 임금과 신하관계)

(임금)~물고기(신하): 물고기는 물을 떠나 살수없다

魚水門: 2개기둥, 宙合樓(2층 주합루: 규장각. 정조 1776)

 

2.영화당: 효명세자가 공부했던 기오헌(奇傲軒)

순조(1790~1834)를 대신하여 대리청정했다

不老門(불로문)

 

3.애련지, 애련정

4.연경당: 순조(1828. 99칸 건물)는 세도정치에 밀려 이곳에서 쉬었다

순조는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시키고 휴식하는 공간

대문은 낙선재처럼 장락문으로 칭한다

순조를 위하여 효명세자(수렴청정)가 건축

5.관람지, 관람정: 출입통제

6.소요정: 출입통제

 

@정원에도 風水이론을 중요시 한다

.과실수는 목단,살구,복숭아,자두,모과...

.정원수는 회화,느티,측백,버드,소나무,대나무,백일홍....

.특히, 궁궐에는 회화나무가 많았지요

 

@연못풍수도 매우 중요했다

.수경(사각형 연못)도 중국의 연못(둥근형 섬과 교량설치)을 본받아 방지원도형으로, 음양오행을 응용한 정자 건축과 석물을 전시하고

.연못에는 둥근모형 섬(봉래섬)을 만들어 수련(연꽃)을 키웠다

@400년 뽕나무는 왕비가 양잠을 체험하기 위해 식목하였으며

.왕은 직접 농사를 했다는 초가지붕의 사각정과 미니 논이 있다

 

@꽃잎의 숫자는 대부분 홀수이지만, 물속의 수초는 짝수이다

.東洋人의 미술적인 감각은 자연 친화적으로 폭포를 연상하지만,

.西洋人은 이성적 사고로써 분수를 생각하게 된다

.단풍나무 씨는 삼각뿔 팔랑개비 모형을 응용하여,

독일과학자는 세개~두개 날개를 이용하여 비행기프로펠러를 만든다

 

 

 

東宮(세자의 공간: 창덕궁~창경궁)

1.중희당(정조 건립): 문효세자의 동궁

@정조즉위(25)

.토목공사: 화성 건설(,건릉 이장)~규장각(1776)~중희당(동궁)

.혼례 20년후(정조6, 31), 세자 득남(궁인성씨의빈성씨 승격)

.특별사면 단행조치(죄인 감형)

.태실(태봉): 예천(경북)~첫돌에 세자 공개석상에서 공개

.보양관(후견인, 우의정급)을 임명

 

@문효세자 책봉(2)

.정조는 습의(세자 책봉행사 예행연습)을 구경할 정도로 기뻐했다

.중희당을 건립(, 동궁은 창경궁내 시민당정조4년에 화재소실)

.세자책봉 2년후, 문효세자(홍역)으로 사망

.중희당은 정조의 편전으로 활용, 현재 소실되어 없어짐

 

@4년후, 세자 득남(순조)

.정조의 사망(1800)~세자(순조, 11): 수렴청정(세도정치 시작)

 

2.순조(안동김씨 장인 김조순~60년간 세도 가문정치)

@효명세자(익종, 15), 부인(풍향조씨)

.효명세자의 공부방 의두합”...북향으로 건물을 건축한다

.왕권중심의 탕평정치(세도정치 시작~풍향조씨, 연안이씨...)

.순조(27)는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으로 위임한다

.효명세자 사망(22, 익종으로 추존)

.3년후, 순조가 사망한다

 

@헌종 즉위(8, 효명세자의 아들), 후손이 없어...

 

@철종 즉위(19, 강화도령): 후손이 없어...

.즉위문제로 정권다툼(증조부: 정조의 이복동생)

.신임옥사(영조 즉위를 둘러싼 세력다툼: 김수항, 김창집...)

.영조의 큰아들(효명세자, 진종으로 승격)

.사도세자(장헌세자: 추존왕 승격)

 

@고종 즉위(12), 흥선대원군 등장

.인평대군(인조 아들)6대손

.풍향조씨(익종/효명세자비 신정왕후)의 수렴청정

 

3.東宮의 호칭(범위)

.광범위 공간: 시민당(, 창경궁)~중희당(, 창덕궁)

.세자 시강원(세자교육)+세자 익위사(세자경호)

 

@경복궁 東宮 자선당(왕세자 공간), 상낭문은 退溪글씨

.資善: 착한 성품을 기른다

 

 

 

昌慶宮(창경궁~창경원)

1.정문은 홍화문(弘化門)이다

.정문에 서울대병원이 있고, 본청은 明政殿이다

.성종은 3명의 대비전을 건립한다(정희왕후, 인수대비...)

.임진왜란(경복궁, 창덕궁 화재)후 선조 궁궐(1615~)로 사용했으며

.장희빈(취선당), 사도세자(선인문, 8일간 고문)와 인연이 많다

.동물원, 식물원으로 일제시대에 변모했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2.선인문은 궁궐 수송부이다

.우마차, , 부속시설이 밀집해 있다

 

 

 

慶運宮(경운궁~덕수궁)

1.정문은 대한문(大漢門)이다

.성종이 건립한후,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유폐시킨 곳이다

.경운궁으로 광해군이 명칭했다가 서궁으로 격하시킨다

.임진왜란 이후, 선조궁궐(~1615)로 임시사용후, 창경궁으로 이전한다

.아관파천 이후, 고종의 숙소로 사용했지요

.서울시청 광장까지 궁궐이었으며, 담벽옆에 법원이 있었다

.그래서 이혼부부가 덕수궁 돌담길을 걸어 나올수밖에 없었지요

 

2.경운궁(덕수궁) 大漢門 광장에서 고종승하 단체 조문/통곡(1919.3.1)

.노무현, 김대중, 천안함, 촛불집회의 의미도 그렇다

 

 

 

慶熙宮(경희궁~경덕궁)

1.정문은 흥화문(興化門)이다

.경덕궁으로 영조가 명명하였다(, 서울고교 위치)

.인왕산 기슭으로 대명당이며, 인왕스카이웨이, 사직공원 부근이다

.광해군이 건립한후, 인조궁궐~효종~철종까지 10명이 사용했다

.일제때 철거, 임진왜란에 방화로 소실되었다

 

2.일제시대 철거하여 정문은 장충단 신라호텔앞으로 이전한다

.이토 히로부미 사당입구에 세워진것을 , 최근에 원위치 하였다

.지금은 일부만 복원하였다

 

 

 

 

仁景宮(인경궁)

1.인경궁(仁慶宮)은 광해군이 건립했다(, 서울고교)

.태종, 성종, 광해군은 적자가 아닌 임금이다

.따라서 정통성 때문에 건축하여 이궁한것이다

.광해군은 천도(교하)구상하고, 무주(적성상성)로 사고를 이전하였다

 

2.인조반정후, 임진왜란시 소실된 창덕궁을 복원한다

.인조(25)가 철거후 창덕궁을 복원하여, 지금은 완전히 없어졌다

.인왕산 자락의 옥인동 부근이다

 

 

 

한양(長安)의 고궁

1.世宗路(육조거리/궐외각사; 호부,공부,형부,이조,예부,병부...)

.궐내각사(궁궐내 위치;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도승지...)

.해태상 상징...가마에서 내린다(법을 준수하라의 경고)...下馬碑

 

2.통영궁(, 한국은행)

.영조의 양위소동, 탈궁(1721,12,5)

 

3.宗廟(동방 18)

*신라2(설총~최치원).....화왕계(설총: 선두배향, 원효~요석공주)

*고려2(안향, 정몽주).....이제헌(충선왕 초청, 만권당 주자학 전수)

*조선 14(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길준, 박세채)

.중국 5: 공자, 안자(안회?), 증자, 자사, 맹자

.중국 2: 정호(정자), 주희(주자)

 

.참나무(진목, 眞木)는 참나무 숯, 철도침목으로 활용한다

.종묘에 70%를 차지한 참나무...많은 이유가 멋있다

.강녕전(경복궁), 교태전(경복궁 교태전을 창덕궁으로 이전)...

 

4.사직단(社稷壇)

 

5.동관왕묘(東關王廟, 동묘), 허균이 건축

@동관왕묘(東關王廟, 동묘)는 관우(關羽)의 사당이다

.청계천 풍물시장이 동묘 담벽부근에서 시작된다

.주변에는 정순왕후(단종)가 기거했던 청룡사, 동망봉이 있다

.동망봉의 서편은 암석절벽인데 아직도 위험한 흉물이다

.청계 고가도로 공사때 골재를 캐낸 채석간이었다

.청계천, 보문사(비구니 총무원)도 있다, 그래서 보문동이다

 

@관우는 삼국지(後漢시대)에 유비, 장비와 함께 등장한다

.세월이 흐를수록 명성이 높아는 관우의 묘는 武廟(무묘)...

.공자의 묘는 文廟(문묘)라 부른다

.동묘(동관왕묘)는 두번째 사당으로 신종황제()가 건립 조서와

.건축비(,4천냥)을 보내와 1602년에 완공하였다

.첫번째 사당(남관왕묘)은 남산기슭 봉숭아골(용산)이다

.임진왜란시 파병된 명나라 진린(陳寅, 1598)장군은

왜란에 관우가 나타나 승리할수 있었다고 건의했던 것이다

.진린장군은 왜란이 끝나면 이순신을 초대해야 합니다라고

황제에게 보고한것도 사실이다

.성주,안동에도 관왕묘를 세웠는데, 명나라 군대가 주둔했었다

 

@동묘 창건(東廟)

.선조시절, 허균은 나라 사신한테 관왕묘 설치명령을 받는다

.동묘(관왕묘)를 중국식 건축공법(100여칸)으로 낙성식을 한다

.2년간 공사, 조산(造山)은 동대문밖에 평지를 쌓아서 만든 인공산은

동지(東池, 성벽 바깥연못)뒤에 땅이 낮고 습하고,

방비가 허약하여 보충하려 만든 봉우리이다

.오간수문(五間水門)은 성곽의 5개 구멍의 수문(청계8)이다

.겸재 정선 작품에도 東池五間水門이 그려져있다

.해방후, 동묘부근에 동대문 발전소가 있었다

 

6.종각(鐘閣), 보신각(普信閣)

.종루(鐘樓)라 했는데, 종소리로 시간,화재를 알렸다

.태종이 종묘부긴에 건립후, 세조때 옮겼으나

.임진왜란때 소실되었으나 고종이 재건하고 현판을 쓰다

.종로2, 종각은 2층 누각, 보신각으로 된것이다

.그래서, 종로(鐘路)를 종()으로 표현한거지요

*북경에도 종루(鐘樓)~고루(鼓樓)가 있다

 

7.칠궁:

(1)장희빈(경종 생모): 숙종 (대빈궁,大嬪宮,희빈장씨)

(2)숙빈최씨(영조 생모): 숙종 (육상궁,毓祥宮,숙빈최씨)

.인경~인현~인원~장희빈~숙빈최씨

.경신~기사~갑술환국(송시열, 김만중)

(3)사도세자(추존왕, 장조)의 생모: 영조 (선희궁,宣禧宮,영빈이씨)

(4)효장세자(추존왕, 진종)의 생모: 영조 (연호궁,延祜宮,정빈이씨)

(5)순조의 생모: 정조 (경우궁,景祐宮,수빈박씨)

(6)인조(추존왕, 원종)의 생모: 선조 (저경궁,儲慶宮,인빈김씨)

(7)영친왕의 생모(순헌황귀비): 고종 (덕안궁,德安宮,엄귀비)

 

8.은 옥황상제~황제~~제후가 사용하는 공간이었다

.()은 소형 건물로써 창문과 침실은 없고,

사적용도로 활용되었으며 건물형태는 (ㄱ형~+)이다

또한, 단청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복궁 후원의 향원정(고종)은 단청을 한것이다

.()2층형태로 단청을 하고 모임하는 곳이다(공적용도)

鐘閣은 최초 鐘樓였으나, 고종이 증개축할 때 개칭하였다

.()와 비슷한 모형이지만, 정자를 2~3개 합쳐진 건물이다

.()과 비슷하지만 공부공간으로 소박한 모습이다...

낙선재(창덕궁)는 대비들의 공간으로 단청도 안했다

.()는 흙을 부토하여 높인 지상건축으로 덕담공간 관망대이다

.()은 처미를 높게 건축하지요...(오죽헌)

.()는 수사(물가)에서 물(호수)구경하도록 평지위에 건축한다

 

@목조건물(3)

.주심포 양식(3) .봉정사 극락전(안동)

.부석사 무량수전(영주)...배불뚝이 기둥

.수덕사 대웅전(예산)

.다포 양식(힘의 분배)...성불사 웅신전(황해도).석왕사 웅진전

.하앙식(백제 건축)

 

 

 

조선시대 내시(환관)

@궁궐 내시의 역할(335)

.웅방: 매 사냥을 관리

.궁방: 화살, 활을 관리(하사품)

.화약방~열쇠관리~정원관리...

.내시 근무교대(가정에서 출퇴근을 원칙)

양아들(내시출신): 각자의 본래의 성씨를 사용한다

장번(높은 직책의 내시): 24시간 연속근무

출입번(入番~出番)

.장방: 장번이 활용하는 공간(140~180)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