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18-1229. 무등산포럼 2018년도 송년의 밤

by 조흥식 2023. 9. 14.

2018-1229. 무등산포럼 2018년도 송년의 밤(종로3가 은행나무집)

인조 소현세자(독살) 봉림대군(효종)과 우암 송시열

 

 

 

인조 소현세자(독살) 봉림대군(효종)과 우암 송시열

@1608, 광해군즉위(1575~1641)

.대북파(정인홍, 이산애, 홍여순)은 소북파(영의정 유경영)를 몰아낸다

:소북파(김국진, 남이공)의 반역죄(영창대군 옹립)

:소북파는 홍여순(대북파, 1599 선조32)의 대사헌임명을 반대

.東人南人~北人으로 갈라섰다

:南人이 몰락(서애 류성룡)

:北人이 집권

.폐모살제(인목대비, 영창대군 강화도유배)

 

@1623, 인조반정(광해군 유배: 강화도~제주도)

.이복형제 능양군(인조)의 동생(능창군 처사약 신경희 옥사”)

.西人(인조반정의 주역): 친명 사대주의 정책

대북파의 실리적인 외교 중립노선(~후금,)을 추구했다

.인조는 대북파를 숙청

.이괄의 난(1624, 인조2, 공주 피난)

 

@정묘호란(1627), 후금 침공(3만명)~의형제 조약(강화도 피신)

@병자호란(1636. 인조14), 청태종 침공(12만명)

군신관계 전환, 조선군 3만명을 지원하라거절하였다

.척화파(김상헌 1570~1652), 항복문서를 찢어...

.주화파(최명길 1586~1647), 항복문서를 쓰다

.남한산성 피신(12,15)...개심사 약사불(벽암대사), 화현전

:13000, 식량(14300, 50일분), 소금(90일분)

.강화도 함락

 

@남한산성 수어장대

.인조즉위후 산성공사 시작(친명배금정책, 전쟁대비)

.연못(45), (80)

.북문 기습공격으로 패배(법화골 전투, 300명 몰살)

훗날 북문 개축(정조, 전승문병자호란의 패배를 잊지말자”)

.수어장대를 2층으로 증축(1751 영조27)

 

@1637,1,30 항복 三田渡굴욕(삼전도:마루), 삼전동 나룻터

.서문으로 군복착용, 三拜九叩頭(삼배구고두: 여진족의 천자 배례의식)

.丁丑和約(정축화약, 항복조건)

.명나라 단절, 청나라 군신관계(연호사용)

.세자 인질(심양: 소현세자, 봉림대군, 인평대군/1년후 귀국)

.성곽 축성금지

.歲幣(세폐, 공물)제공

.기념비(대청황제공적비), 이경석 필체(훗날, 영의정 1595~1671)

.三學士 심양 처형(척화론 주장: 홍익한, 윤집, 오달재)

.還鄕女(錦衣還鄕: 비단옷에 출세후 고향방문)

 

@소현세자(1637~1645), 심양관에 거주

.선진문물, 천문과학, 군사력, 문화, 남천주당(북경성당), 아담 샬(독일)

.일시귀국(장인별세), 북학(청나라 선진문물을 배워야...)강조

인조와 갈등(이념, 북벌/척화론에 반대)

.練藜室記述(연려실기술), 이긍익 역사서(정조, 태조~현종시대)

.봉림대군(효종)은 척화론을 주장

 

@소현세자 귀국, 2개월후 의문의 독살(1645,4~6월 사망)

.모든 사체구멍에서 검은 피가 흘렀다(독살, 인조의 방치?)

.소현세자의 자녀(아들 3, 석철 12...)에게 세자승계를 하지않았다

송시열의 추천을 묵살한다

.세자비(강씨 1611~1646)의 사약처형(독약을 넣었다... 모함)

ceo성향으로 매우 적극적(심양, 무역활동과 유민을 보살펴...)

인조와 후계자 갈등

명예회복 추진 김형옥은 곤장형(추사 김정희 조상, 훗날복위)

.사약받은 조선역사(폐비윤씨, 소현세자비, 장희빈/남인~서인대립)

.혜경궁 홍씨는 정조를 위해 영조에게 반항하지 않았다

 

@봉림대군(효종)즉위, 1649~1659(10년간 재위)

.親命拜金政策으로 북벌(척화) 추진, 복수절치 논리

.비밀프로젝트...御營廳(어영청)을 설치...이완 임명

.스승(송시열/서인, 송준길)의 대화록에 효종과 독대(실록에는 없어)

송시열문집(幄對說話 악대설화. 송서습유 7)

.청나라 파병요청(나선정벌)에 군사훈련을 허용하는 해프닝 발생

.하멜 1630~1692(제주 하멜표류기네덜란드 선원), 무기제작참여

.벨 테브레(박연, 네덜란드 귀화, 인조)

 

@大報壇(대보단): 명나라 태조~신종~의종을 모신 사당

.대명의리론의 정책유지(명나라 멸망, 1644)

.북학파 등장으로 이념약화(영조~정조)

 

@우암 송시열(1607~1689) 西人

.화양동서원, 송우암유허비...8세 공부(송준길)

中國 朱子무이구곡을 본뜬 화양동계곡, 암서대 정자

만동묘(명나라 태조~신종~의종의 사당)

.한천정사(서원, 1910 재건), 남간정사

.부친, 주자, 이이, 조광조, 사계 김장생(1548~1631. 성리학, 예학)

.29세 생원시 장원(주역 논술), 繫辭上傳(계사상전)

一陰一陽之謂道(일음일양지위도: 순환하여 움직이는것이 )

.봉림대군(효종)의 스승

.병자호란후 낙향, 정계복귀후 북벌계획(효종 1649)

.예송논쟁(효종사망: 1659,5), 西人들의 몰락

*조대비 복상문제

*효종비 사망 2차 예송논쟁(1674)

*16891, 숙의장씨 아들(경종)의 세자책봉 반대

(제주 유배, 6월 한양으로 압송중에 정읍에서 사약을 받는다)

*1694년 갑술환국에 西人집권으로 명예회복한다

 

@소설 박씨전(여성 영웅전)

.박색인 박씨부인이 남편을 출세시킨후, 자신도 미인이 되어

여진족(외세)을 물리치는 소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