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02. 추석연휴 불암산
元曉大師(원효대사, 의상대사), 요석공주와 설총
元曉大師(원효대사, 의상대사), 요석공주와 설총
1.원효대사와 요석공주
@원효와 김춘추
.원효 “누가 자루빠진 도끼를 주겠는가? 하늘 고일 기둥을 깍아 주겠네”
.태종 무열왕 “元曉가 貴婦人을 만나서 아들을 낳고 싶다는 뜻이다”
.원효는 일부러 물에 빠진뒤, 요석궁에서 옷을 말리면서 인연을 맺는다
.요석공주(신라 무열왕, 27대, 김춘추의 누나)와 결혼한다
.설총은 백제전투에서 전사한다(신라10현, 문장3절: 설총, 최치원, 강수)
.동주천 소요산에 “자재암”을 창건한다(선덕여왕14년, 667년)
@元曉大師(617~686)는 의상대사보다 8살 많다
.육두품 출신, 唐유학을 2번 포기하였다
.東海 일출을 보면서 득도하였다
“모든것이 마음에 달렸다” 개인적인 스스로 깨달음을 강조하였다
.대중성이 강하고 호국적인 면모는 없었으나 대중들의 신봉을 받았다
.發心修行章 “行者라도 마음이 맑으면 온하늘이 함께 찬양하지만,
道人이라도 속세에 연연하면 착한 神이 버린다”
.唐 유학길에 요동에서 高句麗 군에 체포되어 포기하고,
.다시 유학을 시도했으나, 서해안 풍랑으로 포기하고, 스스로 깨달았다
(꿈에 해골 바가지로 물을 마신다)
2.낙산사에서 봉변당하는 원효대사
@힌옷(白衣: 관음을 암시)을 입은 여자가 벼를 베는데,
“그 벼를 달라...” 농담삼아 말했더니,
“벼가 열매를 맺지 않았다” 희롱하며 대답했다
.월경대 빨래하는 여인에게 “먹을 물을 달라” 했더니,
“더러운 물을 떠줘...” 원효는 물을 쏱아버리고, 냇물을 떠 마셨다
.이때. 소나무 위에서 파랑새 한 마리가 말하고 몸을 숨겼다
“휴제호(休醍醐) 화상아...” 소나무 밑에 신발 한짝이 있었다
.元曉가 낙산사 관음보살상 자리밑에 신발 한짝이 있는게 아닌가...
.여인네가 관음의 眞身이었던 것이다(그 소나무를 관음송으로 칭했다)
.결국, 폭풍으로 元曉는 관음굴에 들어가지 못하고 길을 떠난다
.元曉는 관음을 알아보지 못하고, 수정염주도 받지 못했다
3.의상대사
@의상은 귀족진골 출신으로 唐나라에 유학하여 화엄종의 체계를 배웠다
.애국의식을 갖고, 당나라가 신라 침범 계획을 알렸다
“거대한 불교체계에 들어와야 깨달음을 알수있다”고 주장하였고,
.法性偈(법성게)“하나가 모두이고, 모두가 하나이다(一卽一切多卽一)”
.통일신라는 원효의 자율성보다 의상대사의 체계질서를 원했다
.의상대사는 화엄 10찰의 개창자로써 신격화된다
(영주 부석사 창건설화는 괴산 佛影寺 신화로 이어진다)
@영혈사에 있던 원효대사가 낙산사(홍련암)에 의상대사를 찾아갔는데
.식수가 없어 공양을 만들지 않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공양을 받으므로
점심공양이 없었다고 한다.
.원효는 주장자로 암자뒤 바위를 툭툭치니 맑은 샘물이 흘러너왔다
.아마 영혈사의 靈泉을 끌어온 것이다
.원효가 떠난뒤, 천신이 공양을 내오면서 “원효법사가 계실때에는
화엄신장님이 무섭게 버티고있어 감히 들어올수가 없었다고 했다”
4.화왕계(花王戒): 신문왕(伸文王: 661∼693), 三國史記
@설총(薛聰, 한문학자, 호:빙월당): 원효+요석공주의 아들(신라10현)
.화왕(꽃의 왕) 이야기
“꽃의 왕(목단)을 알현하기 위해 장미꽃이 찿아와 유혹하였다”
“할미꽃(白頭翁 백두옹)이 몸에 독을 풀기위한 약을 가져왔다”
“장미를 선택하려하자 할미꽃이 실망한다, 현혹되지 말라! 충고”
.신문왕의 명하여 교훈서로 남기다(최초 창작소설, 유교적 교훈서)
.이두(吏讀)를 설총이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화왕계는 공자님과 함께 성균관에 배향되어 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늘빛사랑 조흥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1004. 추석연휴 북한산 (0) | 2023.12.24 |
---|---|
2020-1003. 추석연휴 수락산 (0) | 2023.12.24 |
2020-0930. 추석명절 메시지(9,30~10,4) (0) | 2023.12.24 |
2020-0930. 추석연휴 도봉산 종주 (0) | 2023.12.24 |
2020-0930. 사무총장 조흥식(9월의 마지막 날 표정) (0)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