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9. 지역부총재 사업계획 발표(1조)
스승을 영원히 기억하는 방법
스승을 영원히 기억하는 방법
@황후간(黃後榦1700~1773), 이봉집(夷峯集)
*천상종사록(川上從師錄)
“정묘년(1747, 영조23) 5월 선생의 부음을 듣고 통곡하였다.
10년 동안 궁벽한 시골에 있으면서 끝내 하늘의 해를 다시 보지 못하고
하늘 끝 변방의 객관에서 돌아가셨다.
하늘이 큰 현인을 내고도 시운(時運)을 함께 주지 않았고,
소인들의 중상모략에 시달려 성상을 끝까지 섬기지 못하였으니 백성들이며 후학들의 불행이다.
더군다나 나 같은 사람은 가르침을 채 다 받지 못하였는데
갑자기 의지할 곳을 잃었으니 선생을 잃은 아픔을 차마 형언할 수 있겠는가.
선생의 영구가 물길을 통하여 정진(鼎津)을 거쳤으나
소식을 전혀 듣지 못하여 맞이해 곡할 수 없었기에 한없이 통탄스러웠다.
이해 겨울에 안경직(安慶稷)과 함께 가서 곡하며 술잔을 올리고
또 묘 아래에서 절하고 돌아왔다.
이제는 그만이니 이 생 어느 곳에서 그분께 우러러 절할 수 있을까.”
*畀: 원문에는 ‘卑’로 되어 있는데, 문맥이 통하지 않아
밀암집(密菴集) 祭文(金聖鐸)을 참고하여 ‘畀’로 수정하였음.
*황후간이 스승인 김성탁(金聖鐸 1684~1747)을 추념하며 쓴 글
이재(李栽 1657~1730)를 스승으로 모시며 금양종사록(錦陽從師錄)을
썼는데, 금양은 이재가 살았던 안동(安東) 금수(錦水),
천상은 김성탁이 살았던 안동 천전(川前)을 가리키는 듯하다.
*이들 종사록에는 스승으로 모시게 된 계기, 수학하면서 보고 들은
스승의 언행, 스승과의 일화, 스승을 추모하는 저자의 감회 등이 시간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금양종사록은 강학 내용이 일자별로 기록되어 비교적 자세하고,
천상종사록은 보다 중요한 일 위주로 기록되어 앞 사건과 뒤 사건의
시점의 차이가 비교적 크다는 점이 다르다.
이는 두 스승을 모신 물리적 시간의 차이 때문이라고도,
금양종사록을 썼던 경험이 천상종사록에도 이어져 서술 방식에
영향을 미친 이유라고도 볼 수 있겠다.
*君師父一體라는 말로 알 수 있듯 옛적 스승의 존재는
현재 스승의 위상과 현격한 차이가 있다.
忠孝가 강조되었던 유가적 전통세계에서 君父와 동등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는 현재와 달리 스승에게 직접 전수받는 방법 외에
배움에 효과적인 다른 수단은 있지 않았다.
훌륭한 스승을 만나야만 자신이 추구하는 지적 세계를 넘어다볼
수 있었으니, 그 존재는 학문을 통해 한 사람의 정신세계를 좌우하는
지적 절대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저자는 학문에 남다른 뜻을 품고 있었다.
뛰어난 학자로 이름난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의 아들 이재를
스승으로 모시게 된 이유도 거기에 있었다.
저자의 술회에 따르면, 저자는 시골에서 생장하여 배움의 기회가 적었기에
바른 연원이라고 생각하였던 이재를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고 한다.
그렇게 그토록 원하던 노스승 아래에서 학문에 열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람은 저마다 타고난 시운이 따로 있는 것일까.
사제의 연을 맺은 지 채 몇 년도 되지 않아 저자는 이재를 여의게 된다.
존신(尊信)하던 스승을 잃은 슬픔은 무엇보다 견디기 어려웠으리라.
그러다 그러다가, 슬픔을 조금 외면할 수 있을 때쯤 당면한 의지할 곳을
잃은 막연한 심정에 저자는 새로운 스승을 찾게 된다.
선사(先師)가 ‘사람이 옥 같고 학식이 넉넉하다'고 일컬었던 김성탁이 바로 그였다.
*김성탁은 이현일의 제자로,
천상종사록에 따르면 이재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고 한다.
같은 스승을 모신 사람에게 배움을 청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학문에 대한 저자의 의지가 그 어려운 일을 가능하게 하였다.
때론 편지를 주고받기도, 때론 직접 찾아가기도 하면서 저자는
다시 학문에 안정적으로 매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다가 스승이 조정에 중용되어 부수찬에까지 오르게 되자,
저자는 이 일에 대한 우려의 심정을 짤막하게 남겼다.
*첫 번째 스승을 잃었던 아픈 기억 때문에 화를 감지하는 어떤 예민한 눈이 생긴 것일까.
이 우려는 현실이 된다.
김성탁이 이현일을 신원하는 소장을 올렸다가 심한 국문을 당하고
저 머나먼 제주(濟州) 정의(㫌義)에 안치되었던 것이다.
곧 광양(光陽) 섬진(蟾津)으로 이배되어 절도(絶島)를 벗어나기는
하였지만 광양도 반도의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궁벽한 곳이기는
마찬가지였다. 천상종사록의 후반부 기록은 섬진의 배소를 오가며 수학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한 사람의 언행을 영원히 남길 수단이 글뿐이었던 당시 저자에게
종사록의 작성은 단순한 기억의 기록 차원을 넘어섰을 것이다.
학문에 대한 의지가 컸던 만큼 스승을 존신하는 마음이 컸을 테고
스승을 존신한 마음이 컸던만큼 스승의 부재로 인한 상실감이 컸을것이며
스승 부재로 인한 상실감이 컸던만큼 스승에 대한 그리움이 컸을 것이다.
스승의 존재감이 저자 자신에게 컸었기에 단순히 외모와 육성만을
홀로 기억하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은 스스로 용납하지 못했을 터이다.
또한 그분의 언행이 내 기억에는 생생히 살아있더라도 다른 사람과 공유할 길이 없을뿐더러,
또한 나의 생이 다하면 그 기억도 영원히 소멸되기에,
종사록의 작성은 세상이 스승을 두고두고 기억하게 하는 방법이었으리라.
*송나라 주광정(朱光庭)이 정호(程顥)를 여남(汝南)에서 뵙고 돌아와,
봄바람 속에 한 달 동안 앉아 있었다고 말했던 일이 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허재갑총재(2020-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1020. 신입회원 오리엔테이션(1차) (0) | 2023.12.26 |
---|---|
2020-1019. 회장단회 정기회의 (0) | 2023.12.26 |
2020-1018. 타워라이온스클럽 김종철회장 자녀혼례 (0) | 2023.12.26 |
2020-1017. 제2회 지구이사회 (0) | 2023.12.26 |
2020-1016. 지구봉사단 회의 (0)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