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총장단회(2017-2018)

2020-1122. 총장단회 제주 워크숍 3일차(11,20~11,22)

by 조흥식 2023. 12. 31.

2020-1122. 총장단회 제주 워크숍 3일차(11,20~11,22)

必敬齋(광평대군)

 

 

 

 

 

必敬齋(광평대군)

@광평대군(1425~1444)은 세종대왕 5째아들이다

.인조반정 적극가담으로 300년간 권력의 중심을 지켰다

.國防安保를 위하여 北漢山城 축조를 주도한 가문이다

.전주이씨 宗祖는 태조(이성계)이지만, 특정 씨의 始祖가 될수없다

郡王不敢其祖(군왕불감기조): 은 만백성의 어버이기 때문에 특정 종파의 조상이 될수 없다

.王子(의 아들:大君, /後宮의 아들:)派始祖(파시조)가 될수있다

.朝鮮王子는 총 125명으로 21명은 後孫이 없었다

104중에서 후손이 가장 많은 효령대군파는 약35만명이다

學者를 많이 배출한 선성군파(정종의 4째왕자)

관리를 가장많이 배출한 광평대군파 후손중에 이승만 大統領이 있다

.한성판윤(서울시장)20명 배출하였다

 

@고택 必敬齊(필경제) “반드시 공경해야 하는 집

.鹿川 李濡(녹천 이유, 1645~1721)宗家

.수서 성당옆, 일제시대 중앙학교 분교(중앙고교)로 사용되었다

.집터 앞에는 대모산~뒷편에는 광수산으로 둥그런 金體형상이다

.편액 二護堂(이호당)이란? “家門國家를 지킨다

.편액 兢持室(긍지실)이란? “조심함을 유지해야 하는 방으로

婦女子들의 사용하는 안채의 편액이다

.현재, 18대손 이병무는 한정식 집(대지 2000, 160평의 건물)

외국인 방문(년중 3만명)하는 민간 迎賓館(영빈관)이다

*或龍或巳(혹룡혹사), 때로는 이 되었다가 시절에 따라 뱀도 될수있다

 

@광수산 자락의 13만평(700여기) “묘지 박물관 宮村別廟(궁촌별묘)”

.광평대군 묘: 長明燈(2), 우측에 神道碑(신도비), 文人石(2)

.녹천 이유(영의정)의 묘: 長明燈이 없고, 신도비는 매우 큰편이다

.묘를 둘러싼 둘레석은 영의정 묘에는 있으나, 참판 묘에는 없다

둘레석은 정2품 이상만 쓸수 있었다

.文武石은 참판 묘에도 세울수 있다

.참판 묘에는 文人石이 있지만, 郡守 묘에는 文人石이 없다

*陰陽宅同居: 묘지를 죽은자의 집으로 본것이다(유교적 死生觀)

추사 김정희(예산)~고산 윤선도(해남)도 고택과 묘지가 함께

짝을 이루어 生死循環(순환)을 의미하고 있다

陰宅陽宅처럼 집터 ()자를 쓰는것이다

.必敬齊(필경제)는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함께 돌보는 집이다

.世葬記碑(세장기비, 숙종211695)는 묘지의 위치 약도이다

 

@인조반정(1623)에 적극 참여한 가문

.光海君大北派(집권세력)를 몰아내고 西人시대가 등장하여

300년간 집권(훗날, 老論)으로 南人(嶺南學派)이 고충이 시작되어 3품 이상의 벼슬은 없었다

西人 주동자(이서, 이귀, 김유, 최명길...)

.필경재에서 반란군의 軍服(갑옷)을 제작했던 것이다

 

@우재 이후원(1598~1660): 광평대군의 7대손(사계 김장생의 제자)

.당시의 老論의 양대세력은

청음 김상헌(안동김씨)~사계 김장생과 제자들의 그룹이었다

.인조반정에 적극 가담하여 完南軍(완남군)으로 책봉되었으며, 태인현감을 지냈다

.이괄의 난(1624)에 의병 300명을 이끌고 진압하였으며,

.丙子胡亂(1636)에는 斥和派(척화파 싸우다 죽자”)에 속했다

.1637, 대사간~대사헌을 지냈다

.예조판서 시절에 장악원에 소장된 악학궤범을 고쳐 간행하였으며,

.북벌정책()에 앞장서고, 水軍(해군)의 총책임으로 戰艦 200척을 만들었으며,

.후배들의 중앙부처 등용에 추천하였다(송시열 이조판서, 송준길 병조판서, 이완 훈련대장...)

 

@鹿川 李濡(녹천 이유, 1645~1721), 광평대군의 10대손

.문과 급제~대사간~기사환국(세자책봉, 老論西人에게 밀려난다)

.大司諫(대사간)으로써 송시열(老論)을 탄핵하지 않은 죄로 물러났다

.영의정(숙종38, 1712), 白骨徵布(백골징포)의 폐단을 없애려고 주력했다

*北漢山城 축조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국방의 중요성)

南漢山城()~北漢山城(): 험준한 지형에서 장기전을 준비하였다

반대 의견이 많았다(청나라 눈치보기, 인부들의 숙식, 인부동원...)

기존 산성을 보수한다는 의견으로 설득하였다

당시 東大門 공사책임자 암석글씨(정충 김수선, 사과 유제한...)

.率先垂範으로 강력하게 국책사업을 추진한다

平壤감사 시절, 흉년으로 죽을 끓여먹던 관료였다

내가 어찌 밥을 먹을수가 있겠는가?”

.鹿川(녹천역)에서 北漢山城 축조공사시 가족, 친인척, 노비를 동원하여

인부들의 食事해결과 生必品을 지원했던 동네이다

당시 필경재 집안의 재산 300석을 모두 투입했던 것이다

.倉洞(창동)工事物資를 보관했던 倉庫 마을이다

.平倉洞(평창) 北漢山城漢陽 도성의 중간지역 창고로써

平時~戰時에 대비한 軍糧米 저장창고가 있던 마을이다

난리가 발생하면, 즉각 北漢山城으로 軍糧米를 옮길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漢陽 인구 1년치 식량은 70만섬 이었다

그중 45만섬은 평창에 비축하여 도읍 방위에 대비하였다

.녹천의 孫子(이명중, 1712~1789, 광주군수)도 가풍을 물려받아,

南漢山城 보수공사에 적극 참여하였다

 

@광평대군의 後孫

.철기 이범석장군(청산리 전투 영웅, 초대 국무총리)

.이범진(러시아 초대 공사, 한일합방으로 자결하였다)

이범진의 아들(이위종)은 이상설, 이준과 함께 헤이그특사 3인방이다

.대과 장원(7), 이존중(녹천의 孫子)3과 급제하였다

.청백리(2)

.암행어사(3: 이치중/영조, 이인영/철종, 이중하/고종)

.영의정~진사급 관료: 필경제 후손(135)

.3.1 독립운동: 이정하(목천에서 순절), 이인식(아산 전투에서 순직)

적극가담자는 이의찬을 비롯하여 10명 이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