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1-0315. 제8지역 회의 및 간담회(지역부총재 이창한)

by 조흥식 2024. 1. 28.

2021-0315. 8지역 회의 및 간담회(지역부총재 이창한)

부안이야기 내소사

 

 

 

 

 

부안이야기 내소사

부안 무장(나쁜 기운)

@이매창과 허균

.부안三絶(이매창, 유희경, 직소폭포)

.松都三絶(황진이, 서경덕, 박연폭포)

.조선3대 여류시인(허난허설, 황진이, 이매창)

.이매창: 이탕종의 서녀(1573,선조,아전)...기생, , , , 거문고

.유희경(壬辰倭亂, 의병장, 천민출신)의 연인

.이매창 死後(60), 시집발간...개암사, 신석정(詩人)

.허균(함열유배후): 공주목사 파면후, 부안 우반동을 방문한다

.김청 사직후 정사암에 기거할 때 山月軒(산월헌)에서 만난다

.우반동 반계 유형원(숙종, 실학자):친구...이익, 홍대용, 정약용

 

@백정기(아나키스트. 무정부주의자 1896~1934)

.三義士墓(효창공원):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안중근 ?)

.부안에서 3.1운동을 주도(독립선언문 전단배포)

.군사시설파괴 공작활동으로 경찰에 체포

.북경으로 망명, 일본천왕 암살시도 실패(1924.동경)

.상해 무정부주의자 연맹에 합류(1925), 농민운동에 투신

 

@독립운동가 이회영(소론, 名家출신)

.전재산 40만원 독립자금: 신흥무관학교 설립(3500명 배출)

.동생 이시형(초대 부통령)... 백범 김구

.1932년 상해 자유혁명자 연맹(흑색공포단)...항일투쟁

홍구공원(紅口), 천장절 기념일(일왕생일)에 폭탄투하 취소(윤봉길)

.1933년 상해(육삼정), 일본대사 아시요시 모임에 테러준비

대사 미참석으로 실패(체포), 종신형 투옥

.1936년 옥사(40)

 

@내소사의 전나무길(600m)과 느티나무(600)가 반긴다

.혜구스님이 창간했다(633, 백제 무왕)

.대웅보전은 원교 이광사의 필체이다

.蓬萊樓楞伽山(릉가산: 그곳에 이르기 어렵다/범어)의 연봉

.來蘇寺(다시 찾아온다)는 최초에는 소래사였다

.청민선사가 중건하면서 내소사로 바꿘 것으로 알려진다(1633, 인조)

.변산에서 두 번째로 높은 쌍선봉기슭에 자리잡은 내소사의 전설은

月明菴에 얽힌 부설서사의 일화이다

.아름다운 꽃창살의 사방연속무늬가 독특하다

.해안스님(~1974, 74)의 부도비는 탄허스님이 쓴것이다

탄허스님은 대사대신 범부로 기록했다(海眼凡夫之碑)

 

.해안스님이 백양사 학명스님한테 공부할 때 명언을 주고받는다

학명스님 銀山鐵壁을 뚫어라”...철야정진에 깨달음을 갖는다

해안스님 철벽은 뚫을수 없으니, 날아서 넘어라...”

 

@개암사의 울금바위가 遇金岩(우금암)인데, 김유신과 소정방이 만난곳이다

.능가산의 준수한 연봉들의 병풍에 의지하는 바가 미덥고,

높은 돌축대 추녀를 바짝 치켜올린 다포집으로 평화롭고 복된을 느낀다

.한편, 강진 무위사는 한적하고 소담하여 스산하고 처연한 분위기이다

.弁韓(변한)의 왕궁터를 묘련왕사가 궁전을 개조하여 개암사로 바꿨다

.훗날, 뒤바뀌어 절터가 궁터로 변모한다

.백제부흥운동시, 일본으로 갔던 부여풍을 핵심으로 저항했다

최후의 항전지(주류성)이 충남 한산인지? 부안인지? 정확치 않다

울금산성의 위치도 다양하다(위금, 우금, 우진...)

울금바위의 큰 굴은 복신스님(백제부흥운동)? 원효방? 분명치 않다

 

@반계 유형원의 실학은 성호 이익~다산 정약용으로 이어진다

.한양태생으로 32세에 우반동에 은거하면서 실학에 몰두하였다

.반계수록(26), 농촌체험을 바탕으로 經世濟民은 조선사상의 이정표

.공재 윤두서,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연암 박지원, 환재 박규수...

.실천사상과 백성의 사랑, 현실인식...재야학자들의 宗家이었다

 

@부안의 돌솟대, 동장승(2000년의 향촌사회 동제복합문화)

.장승은 마을의 이정표, 수호신, 경계표시(장생,벅수,할머니,하루방)

.솟대는 성역의 상징(소도, 짐대, 진돌배기...)

(마한시대: 죄인이 숨어 들어도 잡지 않았다)

 

@수성당 개양할미(1804)

.서해바다의 으로 딸(9)을 팔도에 혼인시키고 막내딸과 살았다

.또는 칠산바다에 있는 각 섬에 파견보냈다는 전설도 내려온다

.수성당 할머니는 나막신을 신고 바다속 수심으로 풍랑을 판단하여

어부들이 폭풍우를 피할수 있었다

.1993년 서해페리호(격포~위도) 침몰사고는 300명이 죽었다

 

@부안과 강진

.변산~ 월출산

.줄포만 곰소바다~탐진만 구강포

.반계 유형원(반계수록)~다산 정약용(목민심서)

.문학가 신석정~시인 김영랑

.내소사와 개암사~무위사와 백련사

.상감청자(유천리)~고려청자(사당리)

.분청가마(우동리)~온기가마(칠량리)

.동백꽃(호랑가시나무, 꽝꽝나무)~동백꽃(봄꽃)

.고창 선운사~해남 대흥사

.고인돌 마을~반남 고분군

.의젓한 돌장승~귀여운 석인상

 

.꽝꽝나무는 회양목과 비슷하자만, 난로위에 올리면 꽝꽝소리가 난다

.호랑가시나무는 사철나무잎과 비슷하나 가시가 있어, 성탄절에 사용된다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때 비벼댄 나무(호랑이등긁이나무)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