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6. 총장단회(8차, 인천지구 방문)
高麗末 황산대첩(荒山大捷)
高麗末 황산대첩(荒山大捷)
@조선 건국, 태조 이성계는 원래 함흥 출신의 변방 무장이었지만,
.1380년(고려 우왕6) 왜적을 격파한 황산대첩(荒山大捷)으로 등장한다
황산대첩의 승리를 계기로 존재감을 널리 알린것이다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였고,
.1391년, 科田法의 단행으로 고려말 신료들과 백성들의 지지를 확보하여
조선 건국이라는 대권을 완성할 수 있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세운 황산대첩비의 영광과 수난도 볼만하다
@황산대첩, 이성계(李成桂 1335~1408)를 주류로 진입시키다.
.고려말 이성계는 1380년 지리산 동북쪽인 운봉의 황산(荒山) 앞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러 전쟁 영웅의 자리에 올라섰다.
.함흥 출신 변방의 장수가 중앙의 주류로 진입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고려말에는 특히 왜구가 변방을 침입하여 노략질이 잦았다.
이때 일본은 1336년부터 시작된 남북조(南北朝)의 분열 시기였다.
막부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기 때문에,
남해안 지역에 해적이 크게 일어났던 것이다.
남북조가 합일되는 1392년까지 60년동안 왜구는 빈번하게 침범하여
우왕 때는 무려 380여 차례나 침입해 왔다.
왜구가 계속해서 공격해 들어오자, 조정에서는 여러 장수를 보내어
그들을 토벌하게 하였다.
.1380년, 지리산 동북쪽 운봉의 황산의 왜적은 특히 악명이 높았는데,
8월, 지금의 금강 어귀인 진포(鎭浦, 군산)에 5백여 척의 함선을
이끌고 왜구가 침입했다. 그들은 타고 온 배를 묶어두고 상륙하여
충청~전라~경상 3도연안을 약탈~방화~살육하였다.
9월, 남원 운봉현(雲峰縣)을 방화하고,
인월역(引月驛)에 주둔하면서 장차 북상하겠다고 소리쳤다.
이때 삼도순찰사(三道巡察使)에 임명된 이성계는
변안열(邊安烈)과 함께 남원으로 가서 왜적과의 맞대결을 준비하였다
이성계가 이른 아침에 적과 싸우려고 하니,
여러 장수들이 말하기를 “적은 험한 곳에 의지하고 있으니,
그들이 나오기를 기다려 싸우는 것만 못할 것입니다.”고 하였다.
.이에 이성계는 “나라를 위해 군사를 일으켰으니
적을 만나지 못할까 두려워 해야하는 것인데,
이제 적을 보고서도 치지 아니한다면 되겠느냐.”라고 하고,
동으로 운봉을 넘어 적과 수십리를 두고 대치하게 되었다.
황산 서북쪽에 이르러 정산(鼎山)의 봉우리에 오르는데,
길 오른편에 험한 길이 있었다.
.이성계가 험지에 들어서자 적이 날카로운 창을 가지고 튀어 나왔다.
이성계가 화살 50여발을 쏘아 적의 얼굴에 적중시키니,
활을 당기기만 하면 죽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태조실록 총서, 이성계의 영웅적인 활약상을 기록
“태조가 하늘의 해를 가리켜 맹세하고 좌우에게 이르기를,
(겁이 나는 자는 물러가라. 나는 적에게 죽을 터이다)라고 하니,
장사들이 감동되어 용기백배하여 죽음을 각오하고 싸웠다
太祖誓指天日, 麾左右曰: ‘怯者退, 我且死賊!’ 將士感厲, 勇氣百倍”
.당시 고려군을 가장 공포에 떨게 한 소년 장수 아기발도(阿其拔都)였다
이성계는 측근의 장군 두란(豆蘭)과 연합하여 아기발도를 제거하고
승리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아기발도(태조실록)
“적장 가운데 나이가 겨우 15, 6세쯤 돼 보이는 인물이 있었는데,
골격과 용모가 단정하고 고우며 사납고 용맹스러움이 비할 데가 없었다.
흰 말을 타고 창을 마음대로 휘두르면서 돌진하니,
그가 가는 곳마다 휩쓸어 감히 당할 자가 없었다.
우리 군사들은 그를 아기발도라 일컬으면서 다투어 그를 피하였다.
이성계는 그의 용감하고 날랜 것을 아껴서 두란에게 명하여
산 채로 사로잡게 하니,
두란이 말하기를
“만약 산 채로 사로잡으려고 하면 반드시 사람을 상하게 할 것입니다.”
아기발도는 갑옷과 투구를 목과 얼굴을 감싼 것을 입었으므로,
쏠 만한 틈이 없었다.
이성계가 말하기를
“내가 투구의 정자(頂子)를 쏘아 투구를 벗길 것이니
그대가 즉시 쏘아라.”고 하고서 드디어 말을 채찍질해 뛰게 하여
투구를 쏘아 정자(頂子)를 바로 맞히니,
투구의 끈이 끊어져서 기울어지는지라,
그 사람이 급히 투구를 바루어 쓰므로,
이성계가 즉시 투구를 쏘아 또 정자를 맞히니, 투구가 마침내 떨어졌다.
두란이 곧 쏘아서 죽이니, 이에 적군이 기세가 꺾여졌다.
이성계가 앞장서서 힘을 내어 치니,
적의 무리가 쓰러지고 날랜 군사는 거의 다 죽었다.
적군이 통곡하니 그 소리가 만 마리의 소 울음과 같았다.
적군이 말을 버리고 산으로 올라가므로,
관군(官軍)이 이긴 기세를 타 달려 산으로 올라가서,
기뻐서 고함을 지르고 북을 치며 함성을 질러,
소리가 천지(天地)를 진동시켜 사면에서 이를 무너뜨리고 마침내 크게 쳐부수었다.
냇물이 모두 붉어 6, 7일 동안이나 빛깔이 변하지 않으므로,
사람들이 물을 마실수가 없어서 모두 그릇에 담아
맑기를 기다려 한참 후에야 물을 마시게 되었다.
말 1600여필을 노획하였고 병기(兵器)는 헤아릴 수도 없었다.
처음에 적군이 우리 군사보다 10배나 많았으나
오직 70여 명만이 지리산으로 도망하였다”
@처절했던 당시의 전투상황
.이성계가 아기발도의 투구를 쏘아 맞혀 투구를 떨어뜨리자,
동시에 두란이 재빨리 그를 사살하였다.
.두란은 원래 여진족 출신으로 “쿠룬투란티무르”라 불렸으나,
고려에 귀화하여 李씨성을 하사받은 이지란(李之蘭 1331~1402)이다
이지란을 통해서 역사 속 귀화인의 활약 사례를 볼 수가 있다.
@황산대첩의 승리는 아군보다 10배나 많은 왜적을 격퇴하였다
.왜적은 겨우 70여 명만이 살아남아 지리산으로 도망하였다.
.이성계의 황산대첩은 최영의 홍산대첩(鴻山大捷)과 함께
왜구 토벌의 일대 전기를 마련한 중요한 전투였다.
.이성계는 중앙 정계에도 그 이름을 부각된 것이다
@우여곡절이 많았던 황산대첩비
.황산에서의 뜻 깊은 전승을 기리기 위해 이성계는 다음해인 1381년,
이곳을 찾아와 암벽에 전투에 참가했던 사람들의 이름을 새겨두었다
.그리고 황산대첩이 있은지 약 200여년이 지난후에
1577년(선조10)에는 전라도 관찰사 박계현(朴啓賢 1524~1580)의
건의로 지금의 운봉읍 화수리(花水里)에 황산대첩비가 세워졌다.
.황산의 지명이 바뀌어 그때의 승전이 잊혀져가니,
비석을 세우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왕명으로 세우게 된 것이다.
.이후 황산대첩비는 조선인들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황산대첩비를 보고 감회를 기록하였다
“위의 황산대첩비 한 첩(帖)은, 곧 우리 강헌대왕(康獻大王)이
잠저(潛邸) 시절에 왜구를 정벌하러 나가 남원의 황산 골짜기에서
왜장 아기발도를 죽이고, 드디어 큰 승첩을 거두었으므로
비(碑)를 세워 그 공적을 기록한 글이다.
옛날 내가 황산을 지나다가 이 비문(碑文)을 읽어 보고
또 아기발도와 치열하게 싸웠다는 곳을 보았는데,
대체로 깊고 큰 골짜기로서 숲이 우거진 험악한 지역이었다.
왜인은 본디 보전(步戰)에 익숙하였고 우리는 보전에 약하였는데,
그런 산골짜기에서는 말을 달릴수가 없는데도 승첩을 거두었으니,
그 승첩을 거둔 것은 신통한 무용(武勇)에서 온 것이지 단순한 인력으로 된 것은 아니다.
세상에서 “왜인들이 계곡에 피를 많이 흘려서 계곡의 돌빛이
지금까지도 빨갛게 물들었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자세히 살펴보니 이는 본래부터 붉은 돌이지 피로 물들어서 그렇게 된 것은 아니었다.
나는 일찍이, “남도(南道)의 관방(關防)은 운봉이 으뜸이고
추풍령이 다음이다. 운봉을 잃으면 적이 호남을 차지할 것이고,
추풍령을 잃으면 적이 호서(湖西)를 차지할 것이며,
호남과 호서를 다 잃으면 경기가 쭈그러들 것이니,
이는 반드시 굳게 지켜야 할 관문인 것이다.”고 논한 적이 있다.
그 당시 아기발도가 운봉을 넘어오지 않았더라면 성조(聖祖:이성계)께서
어찌 그와 같은 노고를 하였겠는가.
조령(鳥嶺)은 천연적인 요새지이니, 그대로 두는 것이 더욱 견고할
터인데, 무엇 때문에 성(城)을 만들었단 말인가?”
@정약용은 당시 죽은 왜구들이 흘린 피로 붉게 물들었다는 “피바위”
.지금도 전해 내려오지만 과장된 얘기임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남원이 남도의 전략적 요충지임을 강조하고,
조령을 방어처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세태에 대해서도 비판을 가하였다.
@일제강점기 패전을 기록한 황산대첩비의 운명은 순탄하지 않았다.
.일제는 민족혼을 말살시키기 위해 400여년 동안 보존되어 왔던
이 암벽과 비석을 폭파시켰다(1945, 1, 16)
.그 장면을 목격자의 인터뷰(1976, 10, 28)가 동아일보에 실렸다
“밤에 술취한 남원경찰서 고등계형사들이 몰려와 비석을 폭파하고,
암벽의 글씨도 정으로 쪼아 뭉개버린 뒤 총질까지 하였는데
글자를 식별할 수 없게 만들어 놓았다”
.1957년, 파손된 부위를 짜 맞추어 옛 모습을 되찾고자 하였으나,
이미 심하게 파손되어 어찌할 수 없었다
.원형과 똑같이 만들어 검은대리석 대첩비각(大捷碑閣)안에 보존하고,
폭파된 비석 파편은 파비각(破碑閣)을 세워 그 안에 모아 놓았다.
.황산대첩비에서 50m위쪽 바위 한면을 기둥으로 삼은 어휘각(御諱閣)
원래 어휘각에는 황산대첩후 이곳을 찾은 이성계가 승전을 기념하여
자신의 이름과 전투에 참가한 장수의 이름을 새겨 놓은 글자가
있었지만 일제는 이 글자도 모두 뭉개 버렸다.
@고려말 여진족, 왜구, 홍건적 등 외적의 침입이라는 위기의 시기에
.변방인 함흥의 장수에서 출발하여 민족의 영웅으로 부상한 이성계.
.황산대첩은 그의 이름 석자를 확실하게 각인시켜 주었고,
“황산대첩비”는 일본에 대한 완전한 승리를 표시하는 기념비였다.
.승리의 상징이었지만 일제에 의해 비석이 파괴되고
비문까지 훼손된 황산대첩비를 통해 역사의 기억을 상기해야 한다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총장단회(2020-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518. 총장단회(354-A지구) (0) | 2024.02.18 |
---|---|
2021-0420.총장단회(354-B지구 방문, 수원) (0) | 2024.02.15 |
2021-0119. 총장단회(5차), 354-D지구 방문 (0) | 2024.01.21 |
2020-1026,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2일차 (0) | 2023.12.29 |
2020-1025.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1일차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