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27, 조재형 큰아들부부, 사돈내외분, 가족여행
*9,27~9,28 평창군 문익점펜션(주문진~강릉 경포대~정동진~월정사)
부러운 날의 위로
부러운 날의 위로
@이덕무(李德懋 1741~1793), 청장관전서(靑莊舘全書)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
“말똥구리는 스스로 말똥을 아껴 여룡의 여의주를 부러워하지 않는다.
여룡도 여의주를 가졌다하여 스스로 뽐내면서 저 말똥을 비웃지 않는다.”
*연암 박지원의 낭환집서(蜋丸集序)에 거의 같은 구절이 실려 유명하지만
이덕무의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에 먼저 보인다.
*낭환집서에는
“말똥구리는 자신의 말똥을 아끼고 여룡의 여의주를 부러워하지 않으며,
여룡도 여의주를 가졌다하여 저 말똥을 비웃지 않는다”로 되어 있다.
*선귤당농소는 이덕무가 20대 중반에 쓴 수필집이다.
‘선귤당에서 크게 웃는다’는 제목처럼 일상 속의 크고 작은 생각들을 섬세하게 담았다.
*이덕무는 왜 이 글을 썼을까?
그는 노력하는 사람이었다.
서얼이었고 가난했으며 몸이 약해 공부하기 어려웠지만 어릴 때부터
매일 책 읽을 양을 정해 1시간에 10번, 하루에 50번씩 읽었다.
담벼락에 해시계를 그리고 공부할 시간이 되면 아이들과 놀다가도 들어와
반듯한 자세로 책을 읽었다.
평생 읽은 책이 약 2만 권, 베껴 쓴 책도 수백 권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신분의 한계, 물질과 건강의 어려움은 그의 평생 숙제였다.
30대 후반에 규장각 검서관으로 임용될 때까지 직장이 없었고
서얼에 너그럽지 않은 시선은 다재다능한 그에게 큰 짐이었다.
*청년 이덕무는 묵직한 삶의 무게를 책읽기와 글쓰기로 이겨낸 사람이다.
자신의 재능과 상황을 ‘말똥’으로 받아들이기까지 숱한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여룡은 온 몸이 검은 용이다. 흑룡(黑龍)이라고도 한다.
여의주를 지닌 여룡처럼 환경이나 장점이 자신보다 돋보이는 사람들을
보면서 마음을 삭였을 그가 정갈한 필체로 한자 한자 눌러 썼을 글에는
흔들리는 마음과 꿋꿋한 당당함이 묻어난다.
그의 스승이자 벗이었던 연암 박지원도 그 마음을 읽고 낭환집서에 인용하지 않았을까.
낭환집서는 역시 서얼이었던 유금(柳琴)의 문집 서문이다.
말똥구리는 말똥을, 여룡은 여의주를 소중하게 여긴다.
말똥구리와 여룡 둘 다 ‘내게 있는 것’에 자족하며 스스로를 다독인다.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처럼 이름만으로도 반짝반짝
빛나는 사람들과 사귀면서 행복한 순간도 많았지만
한편으론 부럽다 못해 남모르는 그늘이 있었으리라 짐작해 본다.
그때마다 읽고 쓰고 외우면서 꼼꼼하고 섬세한 장점을 지혜롭게
풀어냈을 옛사람의 발자취가 마음을 맑힌다.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늘빛사랑 조흥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004, 동두천 칠봉산 (0) | 2024.03.06 |
---|---|
2021-1002, 소요산(동두천, 자재암) (0) | 2024.03.06 |
2021-0922, 군수인의 밤 (0) | 2024.03.06 |
2021-0921, 2021년도 추석명절 보내기 (0) | 2024.03.06 |
2021-0918, 고대산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