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장동우회(2014-2015)

2015-0722.회장단회 회장 이임 및 회장동우회 회장 취임식

by 조흥식 2023. 3. 23.

2015-0722.회장단회 회장 이임 및 회장동우회 회장 취임식

서왕모와 주목왕(동양신화2)

 

 

 

 

 

 

 

서왕모와 주목왕(동양신화2)

@西王母의 요지연(옥산 瑤池)

서왕모는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에서 사랑의 으로 변한다

곤륜산은 삼위산으로 三靑鳥(3마리 파랑새)가 등장하는데,

붉은 머리(벼슬)과 감은 눈을 가진 새로써 서왕모의 음식을 조달하면서

사랑의 메신저 역할과 서왕모의 잔심부름을 담당한다(三足烏)

통상, 서쪽 방향은 죽음()을 칭하여,

한양(고태골)에서 서쪽(서대문 형무소)으로 갈 때 골로 간다

 

@서왕모는 불사약을 관장한다(죽음의 신)

*찬송가 복의 근원 강림하사...”에서 降臨(강림)이란?

이 하늘(天堂)에서 속세(俗世)에 내려온다는 뜻이다

蟠桃園(반도원)은 복숭아 과수원(불사약)이다

복숭아는 3000년만에 꽃이 피고난 뒤, 3000년후에 복숭아가 열린다

3000갑자를 셈한다면 18,000년으로써 죽지않음을 말한다

 

서왕모는 한무제에게 下賜品(하사품: 왕이 내려주는 선물)으로

仙桃(선도 복숭아)를 내렸다고 전해지는데,

한무제가 고조선을 침공한것은 신선술(불사약)에 흠취되었기 때문이다

서왕모가 당태종을 만났을 때, 동방삭에게 크게 꾸짖었다

반도원의 선도복숭아를 훔쳐 먹고서 아직까지 살아있기 때문이다

동방삭자는 당태종의 재담꾼(세성: 별의 정령)우로 손오공인 셈이다

 

羿(, 명궁수)는 복비(항아)와 혼인후 영생불멸을 찿는데

서왕모를 찿아가 사정을 말한뒤에 불사약을 구한다

복비는 예(남편)이 사냥을 나간후,

몰래 서왕모의 불사약을 훔쳐먹고서 달나라로 도망을 가서

달의 여신 항아로 변한다

훗날, 두꺼비로 변신하였다는 전설도 있고,

*오강은 항아가 不死를 어겼기 때문에

달에 귀향해서 평생동안 계수나무 아래에서 옥토끼로 변신하여

방아 절구질을 한다고 전해진다

 

@度朔山(도삭산)에도 거대한 복숭아 나무가가 있다

복숭아나무 줄기가 무려 3,000리에 이른다고 전해지는데,

나뭇가지마다 황금빛 닭(天鷄)이 앉아 놀았다고 한다

그런데, 동쪽 나뭇가지에는 世上門(鬼門 귀문)이 있는데,

새벽에 닭이 울기전에 저승 세상에서 현재 세상으로 귀대해야 한다

신도, 울루가 문을 지고있으며 시간을 통제하면서 귀신이 인간을 괴롭히면

갈대끈으로 묶어 호랑이 먹이()으로 줬다는 신화속에 전해진다

그래서 대문에는 신도그림, 울루그림, 복숭아 부적, 갈대 끈을 부착하여

악위의 침입을 막았던 것이다(門神; 몸에 새기는 문신과는 다르다)

도삭산에는 푸른 바다가 있는데 귀신들의 소굴이다

진시황제가 도삭산에 올라 푸른바다를 보면서 천하통일을 염원했듯이

영웅 조조도 도삭산에 올라 푸른바다를 바라봤다고 한다

 

@칠월칠석날(:7,7)에는 九色龍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등장하는데

紫薇園(은하수), 紫微星(자미성)이 마치 烏鵲橋(까치, 까마귀)가 되어

견우(목동)과 직녀(옥황상제의 손녀)가 만나는 신화가 등장한다

남원 광한루(옛 광한전: 옥황상제의 거처)의 오작교도 비슷한 맥락이다

 

*허난허설(허초이, 8)가 꿈속에서 광한전 백옥루 상낭문을 작성하다가

잠에서 깬뒤, 시로 남겼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詩經에서는 수레끄는 견우와 베를 짜는 직녀가 결혼후,

친정을 찿지않는 불효가 막심하고, 베짜는 일에 게으름을 피워

괘씸죄가 적용되어 1년에 1회 만나게 했다는 고전도 근거가 있다

칠월칠석날 오작교를 위하여 천상으로 올라가서 잔디밭에 없어야 되는데

골프장에 등장하는 까치, 까마귀는 병든 새라고 볼수 있다

사실은 이시기에 새들의 털갈이가 있는 시즌인데....

금슬(금슬)이 좋았단 부부가 헤어졌으니 얼마나 슬플까?

선녀와 나무꾼에서도 등장한다

우랑(소몰이꾼 청년)은 목욕하는 선녀 9명중에서 직녀의 옷을 숨긴다

우랑과 선녀(직녀)는 서왕모를 만나는데,

서왕모가 비녀를 흔들어 은하수를 만들어 버리고서,

1년에 7일간만 만나도록 허락을 했는데, 현대에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여기에서, 雲雨之情 고사가 등장한다

 

@고대 그리스로마 신화(서양신화)

에우리디케(신부)는 저승으로 오르페우스(신랑)를 찿아 헤멘다

죽음의 나락, 동물 울음이 가득한 동굴을 빠져나올 때 경고를 받는다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를 무시하고 호기심이 발동하여

바위로 변하게 되는데...

하데스(지옥의 왕)는 신들을 감동시켜 부인을 부활시킨다

소돔과 고모라에서 소금기둥로 변하는 성경속의 비슷한 사건이 있다

 

이윤(하나라 명재상)의 모친은 꿈속에서 절구통에 물이 고이거든

돌아보지말고 도주하라는 경고에 10리를 도망치다가

홍수에 뽕나무로 변하여...

아기울음을 듣고 임금이 키운 인재이다

장자못 전설에도 돌미륵의 피눈물이 전설로 전해온다

스님의 시중을 얄궂게 핍박하자, 며느리는 스님에게 용서를 빌었는데

장자못에 대홍수가 오면 돌아보지말고 뒷산으로 도주하라고 경고했었다

 

*하늘에는 제우스, 바다에는 포세이돈, 땅속에는 하데스가 신이다

*신들의 나라(올림푸스)에서

제우스()과 므네모시네(기억의 여신)9일간의 동침(사랑)으로

아홉명의 자녀가 탄생하게 된다

자녀중에는 MUSE(뮤즈: 예술담당 여신)MOUSAI(무사히),

막내 칼리오페(현악, 서사시의 신)의 아들이 오르페우스 이다

 

@주목왕(穆王 977~922, 나라 5대 왕)

주목왕은 여행(탐험), 사랑의 도전정신이 강한 인생()을 추구하였다

중국최초 역사소설 목천자전의 기록을 살펴보면,

주목왕 즉위 당시 나라가 혼란하여 서쪽 곤륜산으로 떠나는데,

삶과 죽음의 여신 서왕모를 찿아간다

 

원정길에 서쪽 끝(양우산)에서 하백(황하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선물을 받고서 감동하여 약속을 하였다

옥산 1만개의 곤륜산 서왕모의 불사약과 삶, 죽음, 사랑의 이야기...

주목왕의 부친(소왕)은 초나라 음모로 피살되었기 때문에

당시 최우선적으로 왕권확립이 필요했다

化人(, : 신통력자)은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여

소매를 펼쳐 비행하는 꿈을 꾼다

 

마부(조부)가 끄는 팔준마는 용추(동해에서 자란 풀을 1,000리 운반)

먹고 무왕(서백 발)이 야생마를 길들여 주왕을 공격하였다

팔준마(八馬)가 끄는 수레, 말몰이꾼(조부)과 끝없는 여행을 가는중에

기이한 동물과 식물의 수집하고 이름을 명명한다

또한 마을, , 산의 이름도 만들어 남긴다

 

*섬진강(: 두꺼비)의 명칭도 고려에 왜군들이 내륙 깊숙히 침입하다가

두꺼비 울음고리에 놀라 철수하여 섬진강이라 칭했던 것이다

*곤륜산은 황하 발원지, 곤륜산과 천장산맥이 4,600km 펼쳐진 곳에서

서왕모의 환대속에 瑤池宴(요지연)의 축하연에 초대받는다

훗날, 오랑케 침공으로 귀국한다며 거짓말로 서왕모와 석별하는데

서왕모는 눈물을 흘리며 우리 언제 다시 만날는지...”

 

@세계적인 영웅담은 스토리가 비슷하다

일단 집을 떠나(가출) 모진 고생을 경험하면서 성공을 이루고,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미인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이후 여인을 버리고(사랑의 배신) 자신의 길로 가는데

錦衣還鄕하여 큰 업적을 남기지만 말로는 대부분 비극적으로 끝난다

영웅(주목왕)은 남자로써 공적인 존재로써 어쩔수없이 사랑하는 여인을

버리는 배신을 택할 수밖에 없는게 사실이며,

여인은 사적인 영역으로 희생과 손해보는 영역인 셈이다

주나라의 부흥과 왕권회복으로 영웅이 필요한 시기에서

영웅은 욕망과 현실속에서 갈망했던 목표를 이루는 큰인물로써

대의를 위해 여인은 희생될 수밖에 없는게 현실적 이론이다

*테세우스도 크레타 미궁에서 공주(아드리네)를 무인도에 버리고

귀국하여 나라를 부흥시킨것도 비슷한 신화이다

*이아손(황금양털)과 이올코드에서도 메데이야 공주를 배신하였다

*길가메시의 바빌리아...

*헤라클라스(히드라)의 황금사과() 모험처럼 12번의 죽을고비를 넘뎌...

 

@지성이면 감천이라

황지원: 글씨()를 날려 강건너 화재를 진압하다

당백호: 그림속의 원앙이 날아가다

비문위: 황학루의 전설같은 노인

솔거(신라): 소나무에 새가 날아와(청도 벽화처럼...)

화강 박영기: 三傳之妙(사군자의 대나무)

 

@龍飛御天歌(해동육룡, 세종), 주목왕의 위대함을 인용하였다

이성계는 평생동안 말 8마리중에서 유린청을 가장 아꼈다

전남 순천의 팔마와는 성격이 전혀다른게 사실이다

1.穆祖(목조: 이안사): 주목왕(5대왕)에 비유한 것이다

2.翼祖(익조: 이행리): 이성계의 증조부

3.度祖(도조: 이춘): 이행리의 4째아들

4.桓祖(환조: 이자춘): 이성계의 부친

춘추시대 제패: 제환공(관이오, 포숙아), 강여상(태공)16대 왕

5.太祖(태조: 이성계)의 팔마(함흥산 유린청)

운봉 황산전투 승리(왜군 아기발도장군)

6.太宗(태종: 이방원)

 

@懲毖錄(징비록); 서애 류성룡(임진왜란)의 피눈물로 사죄(반성)

모든 것은 내잘못이다(임금에겐 죄가 없다)

선조의 사면령(정여립 사건: 송강 정철, 윤듀수, 이발, 노수신)

수양대군의 사면: 효령대군의 금강산 표훈사 수륙제에서 꽃비가 내린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