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03.회장동우회 신년교례회 및 정기월례회
단종과 청령포(영월)의 두견새 시비(詩碑)
단종과 청령포(영월)의 두견새 시비(詩碑)
@어제(2010,4,25,일)은 단종축제 44회에 참가했다
.서울 종로에서는 당종비 장순왕후 3회 행사를 열었고
.영월에서 통합으로 영혼의 만남(천상해후)의 이벤트였다
@청령포 입구에는 두견새 시비가 큰 돌에 새겨져 있다
.두견새는 화투 4월(흑싸리)에 앉아있는 새
“자규루(子規樓)” 관풍헌 동쪽의 누각으로 세종 13년에 건립되었다
*“매죽루”라 불렀으나, 단종은 이곳에서 자규시를 자주 불렀다고 한다
“한마리 원한 맺힌 새가 궁중에서 나온뒤로
.외로운밤, 짝없는 그림자가 푸른 산속을 헤맨다
.밤이 가고, 밤이 와도 잠을 못이루고
.해가가고, 해가 와도 한은 끝이 없구나
.두견새 소리 끊어진 새벽, 맷 부리엔 달빛만 희고
.피를 뿌린듯한 봄, 골짜기에 핀 꽃만 붉구나
.하늘은 귀머거리인가? 애달픈 이 하소연 어이듣지 못하는지
.어쩌다, 수심많은 이 사람의 귀만 홀로 밝은고”
*장순황후는 64년간을 정업원(청룡사, 종로구 숭인동)에 살면서
.매일 동망봉에서 영월을 바라보며 명복을 빌었다
*장릉(노루 장)은 엄홍도는 시신을 청령포에서 수습하여 소나무 아래에서
잠자던 노루옆에는 눈이 쌓이자 않아 그곳에 임시 매장을 하고 사라진다
*영월은 사진박물관, 선돌, 장릉, 청령포, 한반도 모형이 볼만하다
곤드레 토장국집은 일품이다(청령포 리버가든)
서울의 곤드레정식은 북한산성입구 삼거리(서라벌)에 있다
@화투(花鬪, 하나우다) 이야기
*화투(花鬪)는 일본남부에 표류중이던 포르투칼인이 전했다
전신은 카르타(carta)로써 1543년부터 유래한다
*4장 1조(총 48장)으로 텐쇼가루타, 도박이 성행하게 되는데
교토, 오사카, 애도(동경)에 제조공장이 생겼으나,
막부(도쿠가와)는 도박행위를 금지시킨다
*고돌이(2월/꾀꼬리+4월/두견새+8월/기러기 3마리) 총 5마리
고돌이의 五鳥(오조)가 고스톱으로 전해진다
*운순가루타(총; 75장, 5장 1조)도 등장한다
12개월, 계절~월별로 일본의 풍습이 담겨진다
@월별 테마
*2월~4월(봄), 5월~7월(여름), 8월~10월(가을), 11월~1월(겨울)
*1월, 관서지방의 1월 기준이다
.눈 덮인 대지 위에 고고한 기상 “마쓰(松, 소나무)”
.쓰루(鶴, 학)가 노닐고 있어 운치가 더 한다
*2월, 立春과 더불어 매화(梅花)의 화려한 꽃을 연상하여
“꾀꼬리(매조 梅鳥)”가 날아와서 봄을 전한다
매조(梅鳥)는 5마리 새중에 하나이다(고돌이)
*3월, 화려한 “사쿠라, 벚꽃”
*4월 “등꽃, 후지노하나(등나무)”
콩과 식물로써 여름 길목에 등장하는 새 “두견새”
.고돌이(새 5마리)중 하나에 속한다
.강남제비가 돌아오면 봄이 오듯, 두견새는 여름을 알린다
.한국에선 검은색, 싸리나무 열매같아서 “흑싸리”로 불른다
*5월 “창포, 난초” 로써 우리는 “초”라고 불렀다
.난초는 중국에서 전해졌으며, 단오절 풍습과 관련된다
*6월 “목단, 牧丹” 부귀영화의 상징
.6월은 나비와 보탄(모란 한문식 발음은 목단)
.전형적인 중국풍의 그림+漢詩의 모습이다
.목단은 나무줄기에서 싹이 트며 꽃을 피워우지만 향기가 없다
.모란은 딸속에서 새싹이 솟은 뒤에 꽃이 핀다(중국 강남지역)
*7월 “하기, 싸리꽃”으로 가을의 문턱이다
.들녘에도 붉은색으로 물들어 수줍어하는 “홍싸리”(싸리나무)
*8월 “가리(雁, 안; 기러기)” 달밤의 기러기
.가을, 신선한 바람이 불고 보름달이 떠오른다
“空山明月” 시베리아에서 새들이 날아온다(고돌이)
*9월 “기쿠지, 국화”로써 가을을 대표하는 꽃이다(사군자의 하나이다)
*10월 “단풍, 丹楓”으로 만산에 홍엽이 물들어 겨울의 입구
.가을이면 사슴의 울음소리가 연상되어 그려져있다
*11월은 사실은 “똥”이 아닌 “비(雨)”가 맞다
.찬바람이 불고 눈이 내리는 겨울이다
.화투가 만들어진 오사카, 교토는 남쪽지방으로 초겨울 11월에 해당되며
비가 자주내리기 때문이며,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시구레(時雨)”이다
*12월 “기리(梧桐, 오동나무)” “똥(오동)”
.상서스러운 봉황새는 오동나무에만 앉아 잠을 잔다고 알려진다
.닭과 비슷한 모형이지만 鳳凰이다(한해의 마무리를 잘하려는 의도)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회장동우회(2014-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207.회장동우회 월례회 (0) | 2023.06.05 |
---|---|
2018-0113.회장동우회 1월 정기산행 (2) | 2023.06.04 |
2017-1216.청강라이온스클럽 위미숙 장 자녀혼례 (0) | 2023.06.03 |
2017-1202.회장동우회 밥퍼봉사 (0) | 2023.06.02 |
2017-1111.회장동우회 워크숍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