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54-C지구(서울)

2016-0226.제2지역 정기모임(이현주 지역부총재)

by 조흥식 2023. 4. 14.

2016-0226.2지역 정기모임(이현주 지역부총재), 종로3가 은행나무집

冬至에 보는 봄

 

 

 

冬至에 보는 봄

@내각에서 하교를 받들어 짓다(內閣應敎), 다산 정약용

동짓날 풍광이 따사롭기 그만인데 제방 버들은 언제나 마음껏 피어날까

삼동의 쌓인 눈이 핍박하건 말건 희미하게 불어오는 양기는 막지 못해

가지 밖 여린 자태 눈에 보일 듯한데 잎눈의 싹틀 뜻 전혀 없진 않고말고

섣달에도 봄소식 새어 나오긴 하겠지만 봄 꾀꼬리 한창 울어댈 때를 기다리리

 

@동지는 24절기에서 밤이 가장 길고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겨울이다

옛 선현들은 동지 다음날부터 해가 조금씩 길어지는 것으로 양의 기운이 움튼다는 사실에 주목하였고,

이것을 다섯 음효(陰爻) 아래에 하나의 양효(陽爻)가 생긴 주역(周易)

'복괘(復卦)'의 형상으로 설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태양의 궤도가 가장 남쪽으로 내려가 있다고 하여 남지(南至)’라고도 불렀다

 

@제목 “11월에 섣달 문턱 언덕 풍경 버들눈 피려 하네라는 시제

이 구절은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소지(小至)라는 시에 나오는 구절이다.

정조는 동짓날이면 문신들에게 이 구절을 시제로 내어 시험을 하였다.

일성록(日省錄), 정약용이 초계문신으로서 이 시제에 답하여

이 시를 지어 수석을 차지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

 

@시인은 동짓날 제방의 버들을 통해,

지금은 비록 추운 겨울이지만 오래지 않아 어김없이 봄이 찾아오고

버들이 움을 틔우리라는 희망을 보였다.

눈이 두껍게 쌓인 겨울, 가장 음기가 강한 그 순간이

바로 양의 기운이 처음으로 싹트는 순간이요,

미약하지만 그 기운을 막을 수 없는 것이 우주의 섭리이다.

아직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가지는 이미 여린 자태를 품고 있고,

잎눈이 돋아나올 뜻도 없을 리가 없다.

섣달이면 이미 가지에는 봄빛이 새어 나오겠지만,

봄 꾀꼬리 울어대는 완연한 봄을 기다려 활짝 피어 날리는 버들 꽃을 만끽하리라 하였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