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로타리클럽(국제로타리 3640지구)

2018-0117.국제로타리 3640지구 한미로타리클럽 정기모임

by 조흥식 2023. 6. 5.

2018-0117.국제로타리 3640지구 한미로타리클럽 정기모임

*동묘역 금호팔레스빌딩 1702(종로5가 신진시장옆 찌개랑찜이랑)

*견우와 직녀(칠월칠석)

 

 

 

견우와 직녀(칠월칠석)

@고대중국 漢代, 괴담을 기록한 책에서 유래(재해기, 齋偕記)

견우(하늘나라 목동)와 직녀(옥황상제의 손녀)의 애뜻한 사랑이야기

결혼후 먹고, 놀고, 게으른 점에 화난 옥황상제는 화가 단단히 났다

1년에 한번만 만날 수 있도록 은하수 동쪽(견우)으로, 서쪽(직녀)으로  결별시킨다

 

@오작교(烏鵲橋); 까치, 까마귀 교량을 통해 회포하고 잠시후 헤어진다

칠월칠석날, 들판과 골프장에는 까치+까마귀는 보이지 않는다

모두 하늘로 올라가 은하수를 만들어 머리털이 없어야 정상이다

견우+직녀가 밟고 다녀 머리털이 모두 빠진 것이다

머리털이 안빠진 까치, 까마귀는 병든 늙은새이다

사실은 그 무렵에 모든 새들이 털갈이를 하는게 사실이다

 

@칠월칠석 저녁에 비가 오는 이유?

세차우(洗車雨); 수레를 세차하는 물방울로 초저녁에 비가 내리고

쇄루우(灑淚雨); 이별의 슬픈 눈물로 새벽에 비가온다

 

@천문학적 유래; 은하수의 동쪽, 서쪽에 위치한다

.견우성(牽牛星); 독수리 별자리, 알타이어 별 altair

.직녀성(織女星); 거문고 별자리, 베가 별 wega

 

@태양皇道上의 운행, 가을 초저녁에는 서쪽에 위치한다

.겨울; 태양과 함께 낯에 떠있으며

.; 초저녁에는 동쪽에 떠있다

.칠석: 천정 중앙에 위치한다

 

@최남선(朝鮮 常識); 견우성+직녀성은 매년 한번씩 만난다

.중국周代; 사람들이 경험하는 天象의 사실(漢代 전설)

 

@칠석의풍습

.여자는 길쌈을 더 잘하도록 기원(직녀성),

.새벽에 참외, 오이 草果類를 상위에 놓고 女功(길쌈질) 하면서 절한다

.잠시후, 상위에 거미줄이 있으면 하늘선녀가 소원성취를 한 것이고 여공이 늘 것으로 기대한다

.또는, 장독대 정화수를 놓고 고운재를 쟁반위에 올려놓고 바느질 재주를 기원하였고

.다음날 아침 재(쟁반위)위에 지나간 흔적있어야 영험하다

.직녀를 바느질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믿었다

 

@칠석날 밤; 부녀자(궁중,민가)는 마당에 바느질감, 과일을 놓고 기원하였다 (솜씨가 좋게 해달라는 의미)

.중국 漢代, 乞巧(걸교)의 풍속에서 유래되었다

 

@朝鮮; 가정에서 밀전병, 햇과일을 차리고,

.장독대에 정화수를 놓고, 가족들의 무병장수와 집안의 평온을 기원한다

.북한지역; 밭에서 풍작기원 밭제(田祭), 크게 고사를 지낸다

.중부지역; 칠석맞이, 단골무당에게 자녀들의 무사성장 기원을 부탁하였다

.무속인; 물덩이를 타고, 명다리(기원을 상징)를 내어 바람에 불리고,다시 무사성장을 기원한다

.농촌; 시간적으로 한가한 계절, 장마철의 책, 이불, 옷을 건조시키며 이불, 옷 등은 수량에 따라 부자를 표시한다

.공민왕, 몽고왕후; 견우성, 직녀성에 제사하며 백관들에게 을 줬다

.朝鮮; 궁중잔치를 실시하였으며

.성균관 유생; 節日製에 과거시험을 치르고

.음식; 밀국수, 밀전병을 먹었으며 냄새가 생기며 마지막 여름 음식이다

.그리고 찬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