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로타리클럽(국제로타리 3640지구)

2018-0321.국제로타리 3640지구 한미로타리클럽 제503차 정기모임

by 조흥식 2023. 6. 7.

2018-0321.국제로타리 3640지구 한미로타리클럽 제503차 정기모임

*금호팔레스빌딩 702(동대문 진고개식당)

*하얀드레스와 삼국시대 결혼관

 

 

 

 

하얀드레스와 삼국시대 결혼관

@힌색은 환희를 상징이다(고대 그리이스 時代)

*로마의 新婦는 힌색 웨딩드레스+붉은베일을 머리에 두른다

새 출발부터 악령의 해코지를 피하기 위해서

*中世유럽에는 붉은 웨딩드레스(붉은 베일)가 유행했다

기독교인은 힌색을 순결 +순종으로 생각했다고 전해진다

18세기 후반까지 富者의 상징, 과시의 수단으로 입었으며

더러워져도 또 구입할수 있기에 그랬다

 

@세계 각국의 드레스는 각각 상이하다

美國 독립전쟁시 영국에 저항 의미에서 붉은색드레스

스페인은 농촌에서 검은색 드레스

노루웨이는 녹색 드레스

퀴리부인 結婚(科學者)시 진한 남색 드레스

1700년 영국, 미국 일부지방은 속옷이나 침대씨트를 이용했다

(정말 아무것도 없다) 과감하게 벌거벗고 결혼도 일부했다고 한다

아무리 빚이 많아도 알몸으로 結婚式하면,

그날부터(자유의 몸) 빚에서 해방되는 관습이었다

일본 신부는 결혼과 同時에 힌색드레스 착용했다

친정 부모에게 죽은자식이나 다름없다는 의미였다

 

@한국은 喪服(초상집), 혼례시 족두리에 화려한 원삼으로 입었다

19세기말: 힌 한복+베일을 늘어뜨린 복합형 신부 옷

1970년대: 현재처럼 유행이 시작하였으나 한번착용은 낭비인 셈이다

조선시대 혼례는 저녁에(=+; 저녁) 올렸다 *싸리불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여주인공(비비안리)

빅토리아풍의 허리가 잘룩한 드레스를 유행시켰다

西洋은 대대로 물려받아 입는 분위기이다

 

@삼국시대에 부모충고를 무시하고 결혼을 강행한다

호동왕자(낙랑공주)~바보온달(평강공주)~서동요(선화공주)

 

@신라 평민은 술, 밥을 나눠먹고 妻家살이

新婦집에서 혼례후, 첫아기 출산, 노동력 제공(상당 기간)한다

골품제는 왕실(성골)의 기득권 보호 관습(선덕여왕, 진성여왕)

 

@고구려: +가 좋아하면 혼인(여자집: 돈육. )

兄 死亡時, 시동생이 아내로 맞는다(상류층; 다처제)

 

@삼국시대는 一夫 一妻制

혼례시 장례옷도 준비하여 백년해로를 의미한다(가야계)

 

@가야 김서현의 조부는 구형(금관국 마지막 왕)이다

멸망후 신라 귀족(王族)의 대우, 신라는 보수적이었다

김서현(김유신의 딸)은 신라 왕실의 딸 만명을 보고 결혼을 결심한다

(“만명의 부: 숙종걸)

숙종걸은 김서현을 고구려 전투장으로 인사조치한다

만명은 연못가에서 자살위장후 김사연을 만나러간다

숙종걸이 눈치채고 딸을 잡아오자, 도망쳐 재회, 결국 김유신을 낳는다

김유신은 15(花郞)에 혼인한다

소년시절에 등에 7개 별무늬(, ...)가 있었다

삼국통일의 偉業을 김춘추(매형)와 이룩하며

김서현은 가야계 생존전략으로 문희(김유신의 여동생)

신라 김춘추와 혼인시켜 임신한다

선덕여왕에게 보고, 압력, 김춘추가 왕으로 등극한다

 

@국제결혼은 조선 고종때부터 시작되었다

결혼후 20년 간격으로 배우자를 바꾸면 좋겠다고들 한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