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운산악회

2012-0520.청운산악회 북한산(쪽두리봉)

by 조흥식 2022. 12. 31.

2012-0520.청운산악회 북한산(쪽두리봉 박재경,강다영,김민선,이현숙)

*신사임당과 율곡(이이)

 

 

師任堂(사임당)

1.강릉최씨(申師任堂 外家)

.강릉 명문가 16명의 금란반월계맹약 5장 발기문작성은

대사헌 최응현(申師任堂 外家 3대조)이 하였다

.선교장(船橋莊, 99칸 대갓집)의 어원?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케 한다

이내번(이성계 13대손, 효령대군의 11대 직계손자)

전주에서 강릉으로 이주하여 1756년부터 200년간, 9대째 살고있다

.父親(신병화)+母親(용인李氏)슬하, 오죽헌에서 출생(5녀중 2째딸)

 

2.申師任堂의 본명은 신인선이다(평산申氏, 48)

.申師任堂(19)+남편 이원수(江陵 찰방, 역참관리 종6, 외아들)

.朝鮮 性理學大家 栗谷(李珥)를 낳아 훌룡하게 키웠으며,

.막내아들(이우)栗谷에 가린 당대의 천재, 四絶(, , , )”

.(이매창)의 매창매화도: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다

.申師任堂女必從夫(봉건적 관념)보다 지혜로운 진보적 여성이다

賢母良妻보다 賢母智妻로 봐야할 것이다

 

3.師任堂의 유래?

.문왕의 母親은 동양최초의 太任(태임 9가지 수칙)을 지킨 여성이다

.훗날 잉태했던 큰아들(서백창)古代中國의 대표적인 聖君로써,

나라를 창업한 문왕이며, 둘째아들이 가장 존경받았던 주공단이다

.孫子(무왕)은 스승 강여상(강태공)을 모시고 천하를 재패하였다

.申師任堂은 이것을 본받아 스스로 사용하였다

.개성출신 황진이(明月), 양사언(蓬萊)도 스스로 自作한 사람이다

 

4.오죽헌(烏竹軒)은 최치운(外家 4대조, 이조참판)이 건축했다

.1: 아들 최응현(대사헌)이 물려받아 살았으며,

.2: 이사온(2째사위)을 거친뒤,

.3: 무남독녀(祖母, 용인李氏)로 사위(신병화, 父親)에게 상속

.4: 할머니(용인이)4째딸의 아들(권처균)에게 상속한다

조상묘소 관리 당부와 烏竹軒 기와집, 전답을 상속해준다

권처균은 뒷마당의 검은 대나무를 보고, 烏竹軒을 호로 정한다

 

5.申師任堂의 재산상속

.할머니는 2째딸(申師任堂)의 아들(栗谷)에게 外家 제사를 조건으로

한양 수진방(수송동+청진동)의 기와집과 田畓을 상속받는다

.申師任堂 친정은 3대동안 아들이 없어 데릴사위를 택한다

.男便(신병화)은 강릉보다 주로 漢陽에서 살았다

.外祖父(이사온)와 친정 母親申師任堂才能을 살려주었다

.漢陽시댁 살림은 38세에 주관하였다(사별한 시어머니 봉양, 한양떡집)

.남편(이원수)는 애주가, 호방한 성격의 하위관리 출신이다

 

6.人事請託도 취소하는 혜안(智慧)을 지녔다

.右議政 이기(명종, 당숙)주변을 맴돌다가 발길을 끊어버린다

.당숙(이기), 윤원형(문정왕후의 동생)乙巳士禍 주인공이었다

어진이들을 헤치는 사람은 오래갈수 없다훗날 숙청을 예견했다

 

7.남편(이원수)과 긴장관계(정래주, 禮學대가 동계만록”)

.사임당: 내가 죽거든 새장가는 들지 말라

이미 7남매를 두었으니, 더 이상 바랄게 없지요(禮記)

.남편: 孔子가 아내를 내쫓은 이유는 어떤 예법인가 ?

.사임당: 난리에 공자를 따라 제나라로 피신할때 함께 따르지 않았다

부인과 별거했을뿐, 쫏아냈다는 기록은 없지요

.남편: 曾子(증자)가 부인을 내쫏은 이유는 뭡니까 ?

.사임당: 증자부친은 찐배를 좋아했는데 잘못쪄서 공양의 도리에

어긋났으나, 혼인한 를 생각해서 새장가는 가지 않았지요

.남편: 朱子 집안의 예법은 무엇이요 ?

.사임당: 주자는 47세에 사별했는데, 맏아들이 미혼으로

살림할 사람이 없는데도 새장가는 안갔어요

.남편(이원수)은 신사임당과 사별후, (단골 주막집 권씨)을 둔다

 

7.가문의 영광(화폐인물: 李氏가문)

.덕수李氏3(율곡, 신사임당, 이순신),

.3명의 外家는 강원도(율곡, 퇴계, 신사임당)

 

8.栗谷은 오죽헌 출생

@+호랑이+밤나무 說話(父親의 직감, 1936,12,26, 寅時인시, 호랑이)

.漢陽(10년간)에서 江陵가던중, 평창 주막여주인의 유혹을 뿌리친다

.그날밤 신사임당의 태기(태몽)栗谷이 태어난다

거대한 흑룡이 방으로 들어와, 어린아이를 품에 안겨준 태몽

 

@父親은 과거 시험길에 평창주막 여주인에게 접근하지만 거절당한다

한 태기를 놓쳐 이젠 필요없다, 당신아기는 寅時에 태어나니,

5세에 虎患으로 죽을것이다. 밤나무 1000그루를 심어라

.栗谷 5세에 老僧이 찿아와서 栗谷를 보자 하면,

밤나무 1000그루를 보여줘라

 

@5년후, 老僧이 찿아와 어린아이를 보고싶다고 하는데,

.父親내가 을 쌓았는데, 어찌 내 아들을 해하려 하느냐?”

.老僧이 대꾸하면서 당신이 무슨 을 쌓았단 말이냐?”

.밤나무를 보여주었으나, 그런데 999그루밖에 없었다(1그루 부족)

.말라죽은 밤나무가 나도 밤나무이다, 노승은 호랑이로 변신 도주했다

.栗谷을 살린 나무를 活人樹, 오죽헌 뒤편에는 밤나무가 많다

 

9.율곡과 밤나무 인연

@棗栗梨柹(조율리시: , 대추, , ): 제사상 차림에 등장하는 과일

.(현판, 신주): 고목 뿌리밑에 밤 씨앗은 썩지 않는다(子孫 번창)

.: 栗子(율자)立子와 발음이 같아서 유래한것이다

.대추: 꽃이 피면 100% 열매를 맺는다(자손번창). 老人用 지팡이

.대추: ()는 조(...일찍~빨리)와 발음이 같다

.: 똘감은 교접을 붙여야 개량감나무로 크게 성장한다(자손교육)

.폐백할 때 암탉, 대추와 밤을 던져준 것은 나라의 풍습이다

 

10.申師任堂의 작품

@“草蟲圖帖(초충도첩)”을 보고 숙종의 감탄해 칭찬하였다

.송상기(문인)는 여름볕에서 申師任堂의 그림을 말리는데,

닭이 그림속의 벌레를 보고 진짜인줄 알고 쪼아 먹었다

.어떤부인이 잔치집에서 빌려입은 옷에 국물이 뭍자,

얼룩진 옷에 포도넝쿨을 그려 시장에 팔아 새옷을 구입했다

.가지 그림은 富者되라는 염원, 주렁주렁 열리도록 그렸다

(돈주머니는 비단을 몇겹을 감싸는데, 가지를 닮았다)

.나비그림은 “80, 長壽를 의미한다(질수도)

나비 두 마리의 그림은 늙은 부부(부모님)”를 상징한다

.방아깨비(사마귀)꼭 그런일이 일어날 것이다성공예감이다

.난초 그림은 잎이 많을수록 子孫이 풍성하다

.포도 그림은 대대로 자손이 번창하다

.남편친구들이 그림솜씨를 독촉하자 놋그릇에 포도를 그려 감탄했다

 

11.민화의 해석(뜻풀이)

.天桃(천도)복숭아를 먹은뒤 3000년간 長壽하였다

.모란꽃은 花中之王으로 富貴(부귀)의 상징이며,

木蓮木筆花, 꽃망울이 붓처럼 닮았다

.壽坮鳥(수대조, )의 부가적인 그림으로 장수를 기원하였다

.일노연과(一鷺蓮顆) “백로 한마리와 시든 연꽃과 연 열매

과거에 연속등과(향시, 전시), 1~2차 시험의 합격 一路連科의미하고,

백로 2마리는 2(재수를 했으니까 꼭 합격을 갈망했다)

.전려(傳臚: 임금님이 내린 음식) “갈대잎으로 묶은 참게

참게 갑옷()“1(장원)으로 합격해라는 뜻이다

.이갑전려(二甲傳臚, 참게 2마리): 과거 향시,전시를 연속 장원해라

 

12.장수를 기원하는 민화

연꽃 연못에 원앙새는 귀한자식(蓮生貴子)을 낳아라

연밥위에 앉은 원앙새 연적은 과거에 연속합격을 원한다(蓮顆)

죽순형 청자 주전자는 결혼식때 사용하는데,

竹筍祝孫으로 변화되어 빨리 손자를 낳아라

石竹: 대나무와 바위장수를 축하(대나무는 60년만에 꽃을 피운다).

회갑(장수)를 상징하는 鳳凰의 열매음식이다

참외 청화병은 참외(참 오이): 地瓜(지과),

대나무 청자병으로 바꿔진다.

평안하게 살아라(회갑잔치때 사용하는 주전자)

수세미는 絲瓜(사실), 하늘은 높고 땅은 길다(장수, 天長地久)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