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24.청운산악회 도봉산(강연,김인숙)
*도봉산(7,7)
*이현진,강영선(5,26 도봉산 망월사)
*왕소군(王昭君, 漢원제) *강연(도봉산 2012,7,7)
왕소군(王昭君, 漢원제) *강연(도봉산 2012,7,7)
@4대 미인(절세가인)의 치명적 결함
.西施: 발이 매우 큰편으로 나막신을 즐겨 싣고, 긴치마를 입었다
.王昭君: 어깨가 너무 좁아 넓은 족두리를 항상 걸쳤다
.貂蟬: 귀볼이 너무 작아서 귀고리를 크게 치장하였다
.楊貴妃: 인내(사람냄새)가 있어 온천을 자주 다녔다
@낙안(落雁)~漢나라 대표미인
.기러기도 王昭君의 미모에 반하여 구경하던중 모래밭에 처박혀 죽었다
.형주 남군(현, 호북성 사시) 출신으로 본명은 장(嬙) 소군(昭君)
.王昭君~명비(明妃)~왕명군(王明君)으로 불리운다
@한선제(10대)의 장남(한원제, 11대 황제, bc76~bc33)시대 사람
.한원제의 아들은 한성제(12대 황제)
.한나라 황제는 400년동안 29명(전한: 15명~후한: 14명)
@당시, 북쪽 흉노족의 침략으로 고전하던 漢나라는 골치거리였다
.흉노 친화정책에 따라 한나라 초기부터 전통적으로
선우에게 정기적으로 공주를 보내 전쟁을 방지하였다
.왕소군은 궁녀출신으로 한원제(11대황제)의 수양딸이 되어
공주로써 황실 예법등 왕비다운 수업을 받게된다
@호한야 선우(흉노)와 혼인한다(bc33)
.선우가 참석하여 장안성에서 성대하게 혼인식을 마친뒤,
말등에서 황제에게 고별 인사를 하게 되었는데
.마지막으로 가야금(비파)연주를 하는 도중에 하늘을 날던 기러기는
왕소군의 미모에 반하여 날개짓을 깜빡 잊고서 추락한다
.아들을 낳고, 선우가 죽은뒤 전처아들과 혼인하여 두딸을 낳았다
@서경잡기(西京雜記)에는
.원제는 화공들에게 궁녀를 그리도록 명하여
.그림을 보고 마음에 드는 여자를 불러들였다고 한다.
.궁녀들은 모두 화공에게 뇌물을 주고 아름답게 그려달라고 부탁했었다
.화상(모연수)는 王昭君을 추녀로 그린것이다
.황제의 궁녀 사진첩에 추녀얼굴로 그려놓았기에 발탁이 안된것이다
“뇌물을 안줘, 미모에 자만심이 괘씸해서 추녀로 그렸을까?”
@얼굴을 처음보게된 황제는 미모에 놀랐다
.한원제는 그런 사실을 모르고
왕소군의 뛰어난 미모를 알고 나서 매우 안타까워했다.
.그러나 외국(흉노)과의 신의를 저버릴 수 없어
.왕소군을 호한야에게 보내기로 결정한 후 아쉬움을 참을수 없었다
.결국, 화공(모연수)는 감찰조사를 받고 처형된다
@왕소군(王昭君)의 후원으로 60~80년간 전쟁이 없었다
.흉노왕(호한야 선우)에게 시집가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
.호한야가 죽자, 흉노의 풍습에 따라 정처(正妻)아들(흉노왕)에게
재가하여 두딸을 낳고 생을 마쳤다(35세, 선우와 합장릉에 뭍힌다)
.내몽고 대흑하(호화호특시)남쪽 9km지점이다
.가을, 모든수초가 누렇게 시들어도 왕소군 묘지에는 푸른빛이 남아있다
@후한서(後漢書)~금조(琴操)에는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왕소군이 몇년동안 황제의 관심을 받지 못하여
자진해서 흉노의 왕에게 시집갔으며,
.그녀가 호한야의 아들에게 재가하게 되었을 때 독을 마시고 자살했다
@모의천하는 중국에서 유명한 주말드라마(TV)였다
.조비연, 조합덕이 등장하면서 잠시 왕소군도 등장한다
.한원제 시절부터~성제(12대 황제)까지
.조비연은 자궁이 차갑다는 진단으로 황후거처 벽에 산초가루를 칠하여
몸을 따뜻하게 했다
.한원제의 황후는 왕씨, 왕봉(王鳳,황후왕씨의 오빠)을 大司馬將軍에
임명된후 외척(왕씨 10명)들이 대거 제후가 되면서부터
왕망이 등장하면서 漢나라는 망해간다
@王昭君의 이야기는 워낙 유명하여 후세에 널리 전송되었으며,
.많은 문학작품에서도 다루어졌다.
.진(晉),석숭(石崇)이 작사/작곡하여, 기녀가 불렀다
왕명군사(王明君辭)는 매우 유명한 노래...
.두보(杜甫),이백(李白)... 당대(唐代)시인들도 즐겨썼다
.원·명대에는 희곡으로도 각색되었는데, 최고의 걸작으로
원나라 마치원(馬致遠)의 희곡 한궁추(漢宮秋)이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청운산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401.청운산악회 도봉산(백기호선생) (0) | 2022.12.31 |
---|---|
2012-0629.청운산악회 도봉산(우이암) *박정순과 마주연 (0) | 2022.12.30 |
2012-1225.청운산악회 성탄절 번개산행(도봉산) (0) | 2022.12.27 |
2012-1208.청운산악회 2012년도 송년산행(도봉산) (0) | 2022.12.27 |
2012-1202.청운산악회 수락산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