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401.청운산악회 도봉산(백기호선생)
삼악산(의암호) 청운산악회(2012,4,14)
백기호, 도봉산 마당바위(2012.4.1)
자하문 청운공원(2010년도)
종로구민회관 국악인 인평 주희정 선생(2010,4)
김포공항(2010)
성남시장(이태명) 출판기념회
예술감독 장남 부부와 함께(예술의 전당)
청와대(2010년 4월) 늘빛사랑 조흥식
아차산에서 망중한(2011,11,30) 박동식
*지원 志遠(알렉산드로스 大王)
지원 志遠(알렉산드로스 大王)
1.지원(志遠)이란?
“먼 뜻을 가져라, 큰 꿈을 꿔라, 멀리 내다보라”
@외금강산 옥류동 오선암에 김일성의 친필 “지원(志遠)” 금석문이 있다
.김형직(김일성의 父親)의 생의 좌표, 座右銘이다
.志遠의 유래?(三國志 제갈공명 “三顧草廬”)
諸葛亮의 서재에 걸어놓은 글씨이며(큰뜻을 품은 사람, 비장한 각오)
安重根(여순감옥)~백범 金九의 글씨도 남아있다
.비담박 무이명지 비영정 무이치원(非澹泊 無以明志 非寧靜 無以致遠)
“맑은 마음으로 뜻을 밝히고, 편안하고 고요한 자세로 뜻을 이룬다”
*천안문 광장(북경)에는 “분투(奮鬪)”라고 쓰여있다(열심히 싸우라!)
2.알렉산드로스(bc356~bc323)는 리더쉽의 1인자이다
@포용, 관용, 통합의 리더쉽은 매우 적은 兵力(3만명, 그리스 군대)으로
.광활한 정복지역을 무리없이 통치할수 있었다
.최초 단계에는 잔인한 살육, 방화, 충격으로 恐怖의 전율을 주었으나,
.화합적 團結과 同盟으로 자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지시했을때,
.그리스 군인들이 강력하게 반발했으나, 끝까지 原則을 고수했다
.또한, 페르시아 군대 3만명르 훈련시켜 핵심에 배치했을때,
마케도니아 군대와 그리스 군인들은 심한 모욕감을 느꼈을 것이다
@알렉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 필리포스2세의 長男으로 태어났다(bc356)
.父親이 암살되어 20세에 즉위후, 발칸반도와 그리이스 반란을 진압하고
.bc334, 마케도니아군+그리스 同盟軍을 이끌고
先王의 염원이었던 페르시아를 攻擊하였다
.bc323, 열병으로 急死할때까지 10년간 戰爭을 주도하였다
.그라니쿠스 전투~이수스 전투~가우가멜라 전투...연전연승
중동지역을 정벌후, 인도까지 침공하였다
.3~4만명으로 10년간 征服戰爭의 勝利원인은 피정복국가 백성들을
관용, 포용, 통합의 리더쉽으로 同盟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bc324, 수사에서 1만여명의 마케도니아 남성의 多文化 婚禮는
.페르시아 여성~아시아 여성과 合同結婚式을 주관한 독특한 왕이다
.본인 스스로 이방인 女性과 結婚하여 솔선하였다
.페르시아왕으로 즉위할 때, 페르시아의 儀式과 禮法, 복식의 전통에 따랐으며,
그 지역의 宗敎를 수용하고 土着神에게 제사를 올렸다
*훗날 “마틴 루터 킹”같은 人權指導者들이 많은 영향을 받을것이다
“로져 파크스” 사건(1955년) * 마틴 루터킹 목사(26세)
.몽고메리 市內Bus 백인좌석에 앉았던 로져 파크스가 쫓겨난
.흑인들은 12개월간 택시를 사용하며 버스 보이콧 운동을 전개했다
.경찰은 택시를 처벌하겠다고 협박을 해오자,
.흑인들은 자율버스를 구입하여 카풀제를 하지만, 운행정지 처분이 된다
.결국, 도보 출퇴근으로 저항하자, 몽고메리市 당국이 제도를 개선한다
3.페르시아 왕 “다리우스 3세”
@이수스전투에서 패배한 페르시아 왕(다리우스3세)는 도주하였다
.다리우스 왕의 가족(母親, 부인, 자녀)들이 포로가 되었을때,
부하들을 시켜 안심을 시키는 치밀한 전략가였다
.알렉산드로스는 직접 찿아갔을때 다리우스의 母親(시시감비스)이
감사의 뜻으로 부하장군(헤파이스티온)을 왕으로 착각하고 큰절을
올렸다가 크게 당황하였다
.수행원이 잘못을 정정해 줬지만, 움찔한 부하장군도 어쩔줄 몰라하였다
.이때, 왕은 관대하게 두 사람을 안심시킨다
“실수한게 아닙니다.
제 옆의 헤파이스테온 장군도 알렉산드로스 입니다”
.페르시아 왕의 母親(시시감비스)에게 두려움에서 해방시켜주고
.친구(부하장군)를 공개적으로 신뢰와 애정을 보여줘 忠誠을 유도했다
.패장(다리우스)의 왕비를 후궁으로 취하지않는 신사도를 발휘한다
.왕비와 왕족의 名譽를 존중하여 피정복국(페르시아) 백성의 마음을
사로잡아 尊敬을 받았던 것이다
4.서인도 王 “포루스”
@兵力이 3배나 많았지만, 포루스 왕은 두아들을 잃고 負傷을 당한다
.알렉산드로스 왕은 名弓이 많은 소그드족을 고용한 戰略이 유명하다
.저격수는 코끼리 부대 조련사를 射殺하고, 꼬끼리의 눈을 명중시킨다
.당당한 포루스 왕에 대한 멋진 배려와 관용이 매우 유명하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어떠한 대우를 바라시오?”
포루스 왕: “나를 王으로 대우해 주시오!”
.敗將의 “요구를 모두 들어줬다”는 일화가 너무 감동적이다
.그의 王國에 일체 관여도 없었으며, 領土 확장도 허락해 준다
.감복한 포루스 왕은 忠誠을 맹세하였고, 후계자 시대까지 同盟관계이다
5.궁중화가 “아펠레스”에게 愛妾(애첩)을 선물하다
@스승(아리스토텔레스, 哲學者)의 영향으로 學文과 藝術을 중요시 하였다
.전장터에 예술가, 화가, 학자들도 합류하였는데,
.아펠레스(화가)는 왕에게 총애받았던 궁중화가이다
.왕의 가장 아끼는 아름다운 情婦(캄파스페)의 누드를 그리게 하였는데,
아펠레스(화가)는 아름다움에 숨을 쉴수가 없었는데,
이를 눈치챈 왕은 화가에게 情婦를 선물한 것이다
.아끼는 여인을 가슴앓이하는 화가의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한것이다
.이처럼, 알렉산드로스 왕은 “스스로 自身을 征服한 리더쉽”으로
더 큰 명예와 존경을 받고, 많은 감동으로 大帝國을 건설하였다
6.페르시아 海軍을 항복시킨 智略
@막강한 페르시아 海軍의 보급로를 차단시킨 기상천외한 기막힌 전략이다
.海軍을 陸地로 끌어들여야 승산이 있었는데, 역발상을 착안하였다
.지중해의 강렬한 태양때문에, 海軍은 2~3일간격으로 食水 보충을 위해
부두에 접안해야함을 간파하여 해안가를 봉쇄하였고,
모든 식수원에는 독을 풀어 적을 무력화 시킨것이다
7.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역발상 전략으로 2번 승리를 거둔바 있다
.오우미 영주시절, 돗토리 城을 공략했던 기발한 작전은
미리 상선을 보내 식량을 몇배 비싼가격으로 전부 사들인것이다
심지어 적군은 돈욕심에 눈이 멀어 전투식량까지 팔아치웠다
포위당한 城은 식량부족, 인육사태로 항복하게 된다
.비추다카마쓰 城공략에는 선박20척을 가라앉혀 큰강을 막고,
호수를 만들어 포위하여 항복시킨것이다
.인근주민을 동원하여 12일만에 물막이 공사로 항복하게 된다
.이때, 오다 노부가나는 아케치 미츠히데의 혼노사의 변으로 죽는다
8.호메르스의 敍事詩에 등장하는 英雄들의 수시를 칭송하고 참배하였다
@알렉산드로스는 自身과 자신의 軍隊의 룰모델을 찿고, 象徵化를 꿈꾼다
.심지어 호메르스의 “일리아드”를 배개밑에 깔고 취침할 정도였다
.호메르스의 英雄들에 대한 지독한 同化努力과 동일시 노력을 기울여
결국, 自身이 神話속의 영웅 헤라클라스의 子孫이며,
제우스의 피를 이어받았다는 전설이 만들어진다
.헤어스타일도 헤라클라스를 모방하여 머리를 뒤로 넘기고
중앙에 가르마를 타고 다녔던것이다
헤라클라스는 항상 사자가죽을 두르고 다니는 표상이기 때문이다
.제우스, 아킬레우스로 묘사되기도 하였고,
.아멘 神(이집트 Amen)으로 형상화되기도 했는데,
아멘 神은 숫양의 뿔을 단 알렉산드로스의 상징은 “王中王” 모습이다
.神話的 英雄의 반열에 올라 永遠한 勝利의 象徵으로 남게되었다
.아리아누스(로마 역사학자)의 학설도 특별하다
“알렉산드로스는 아킬레우스를 참으로 부러워했던 이유는
아킬레우스는 호메르스를 통하여 후세에 이름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9.Caesar(카이사르)는 “皇帝”를 뜻하는 칭호
.로마의 영웅 “율리시스 카이사르 시저”의 양자로써 후계자가 되었다
“가이우스 옥타비누스 투리누스”는
“가이우스 율리시스 카이사르 옥타비이누스”로 개명을 하였으며,
.皇帝로 등극후에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로 개명된다
임페라토르(imperator)는 軍 統帥權者(승리한 將軍)을 말한다
.독일(게르만족)은 Kaiser(카이저), 지금 맥주상호인데...?
.러시아(이반4세)에서도 Tsar(차르)로 칭한다
*결국, 황제의 칭호는 Caesar(카이사르)에서 유래하였다
*아우구스투스? “존엄(尊嚴)한 者”를 말한다
.아우구스투스의 권위와 위엄에 대하여 국가적 존경을 표하기 위하여
원로원이 부여한 공식 칭호이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청운산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205.청운산악회 도봉산 (0) | 2022.12.31 |
---|---|
2012-0520.청운산악회 북한산(쪽두리봉) (1) | 2022.12.31 |
2012-0629.청운산악회 도봉산(우이암) *박정순과 마주연 (0) | 2022.12.30 |
2012-0324.청운산악회 도봉산(강연,김인숙) (0) | 2022.12.30 |
2012-1225.청운산악회 성탄절 번개산행(도봉산)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