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18-0922. 추석명절 연휴산행(도봉산 오봉)

by 조흥식 2023. 8. 15.

2018-0922. 추석명절 연휴산행(도봉산 오봉)

선비와 四君子(사군자)

 

 

선비와 四君子(사군자)

@君子의 문인화는 표현한 서예의 연장선으로 볼수있다

.맹호연(당나라 시인)은 눈에서 매화를 찾아다녔다

.도연명()은 국화를 심고 가꾸면서 유유자적했다

.왕희지(동진)는 대나무가 없는곳에서는 살수없다고 했지요

.변고양이, 고양이를 키우면서 그린 집념의 화가이다(변종식)

 

@퇴계 이황의 60여수 매화시첩은 유명하다

.정비석의 명기열전과 조희룡(19c,화가)의 매화백영루에는

이황이 얼마나 매화를 사랑했는지 말해준다

매화를 심고, 가꾸고, 를 쓰고, 매화차를 마신다

.5만원 지폐의 월매도는 조선 최고의 매화작가 어몽룡의 작품이다

.추사 김정희의 不二禪蘭은 그림을 통해 초탈의 경지를 표현했다

.흥선대원군의 석파란은 추사 김정희한테 배운 결과물이다

;정치적인 역정에 따라 난초를 그린것이다

.민영익(명성황후의 친정조카)은 민씨의 세도정치의 중추세력으로

露根墨蘭(노근묵란)”을 통하여 울분을 표출했다

.정조의 대표작 野菊(야국)”은 담백하며 간결하다

.신위(18c,문인화가)墨竹은 당대고금에 짝할 사람이 없었다

;竹石圖72세에 남긴 작품이다

 

@서희 장군(고려의 대표적 청렴 가문)

.거란의 소손녕과 멋진 담판으로 유명한 명장이다

.조부(서신일)은 신라 아전출신으로 고려때 西原골로 낙향한다

;후손이 없던 조부는 사냥꾼에게 부상당한 사슴을 숨겨준뒤,

;집으로 실고간 뒤 치료해준 그날밤에 태기가 생겨 서필을 낳지요

.서필은 고려 재상으로 등용되지만 청렴한 선비로 유명하다

;광종(4), 內議令시절 금술잔을 하사받지만 거절한다

금그릇은 임금의 술잔인데, 받을수가 없습니다...”

;송나라 귀화인에게 거처(숙소)를 백성집을 빼앗아 제공했는데,

;서필은 자신의 집을 조정에 헌납하고, 초가집으로 이사한다

;그이후, 광종은 주택정책을 수정한거지요

 

@퇴계 이황의 손자(안도)가 아들(창양)을 데리고 성균관에 유학할때에,

.창양이 출생한지 6개월후 부인이 임신하여 젓이 끊겼던것이다

.도산 본댁에 부탁하여 어린딸을 낳은 유모를 구했지만,

.퇴계가 알게되어 결국 엄히 꾸짖어 증손자가 굶어 죽게된다

.간난아이를 두고 떠나는 엄마의 속마음을 헤아린 것이다

.1546(명종1)에 토계에 양진암을 짓고 退溪로 개칭한다

.1548년 풍기군수로 부임후 백운동 서원(전임 군수 주세붕이 세움)

조선 최초의 賜額書院(사액서원)을 만든다

(賜額書院이란? 임금이 이름을 지어 새긴 편액을 내린 서원)

 

.대장장이(배순)도 청강할수있게 배려도 하였다, 이황이 죽은뒤 철상을

만들어 조석으로 분양하고, 삼년복을 입고 제사까지 지냈다고 한다

神主모시듯이란? 조심스럽고 몹시소중하게 다루는 모양이다

죽은사람의 이름과 지위를 적은 밤나무 나무패(木主)인데,

나라부터 전해왔으며, 죽은사람이 머무는 집이므로 대문이 있다

평상시에는 대문을 닫고 비단에 싼채로 보관하며

종이위패(지방)는 제사를 마친후에는 불에 태워서 연기를 따라

영혼이 하늘로 돌아가게 하는 풍습이지요

 

@맹사성(우의정+좌의정)은 조선의 대표 청백리 선비로 알려지고 있다

.용인주막에서 젊은이는 ~어칭으로 綠事(록사)가 되어 만난다

.우의정 시절, 남루한 행색으로 장호원부근 두 마을(양성+진위)

소를 타고 지나다가 맹고불을 알게된 사또가 놀라서 도망치던중

연못에 관대를 빠트려, 印沈衍(인침연)의 유래가 되었지요

 

@황희 정승은 청백리는 아니었다

.18년간 영의정, 고려 공민왕~문종까지 임금을 보좌한 명재상이다

.현대판 고건~김종필보다 훨씬 장수한 고위 관료이다

.충녕대군(세종)을 반대하여 귀양을 갔으나, 태종의 유언으로

황희를 재목으로 쓰라”...재 등용을 하지요

.보신주의자 사람좋은 인품으로 적을 만들지 않은 선비였다

 

@조선시대 청백리는 219명이 배출되었다

.高麗에는 廉吏(염리)~良吏(양리) “청렴 검소하고 좋은라고 불렀다

.淸白吏의 칭호는 숙종(1695)시절 영의정 남구만이 공식화한다

살아있는자는 廉謹吏...죽은자는 淸白吏...

.典故大方에는 219, 淸選考에는 186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은 맹사성,유관,이현보,이황,이원익,김장생,이항복...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