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18. 세종로라이온스클럽 정기월례회(더 클래식500호텔, 건대입구역)
中庸, 인간의 멋(도올 김용옥)
中庸, 인간의 멋(도올 김용옥)
1.근대 철학의 발견
@쑈크라테스~플라톤(사랑의 갈래: 육체~정신)~아리스토텔레스
@불란서 혁명이후, 후진국이었던 독일의 발전의 정신적 철학 발견
.예나전투(1806), 나폴레옹의 프로이센(베를린)의 침공에도 존경했다
:이념은 국경을 초월하는 인문학이다
.칸트, 헤겔의 인류근대성, 정신적인 결집으로 독일의 부흥
.독일: 칸트(순수이성 비판,1781)~26년후, 헤겔(정신현상학,1789)
.프랑스: 미국에 자유여신상을 선물(뉴욕)
@시대적 흐름
.19c 유럽의 발전(산업혁명), 자유와 평화
.20c 미국의 독점(링컨, USA 역사의 시작)
.21c 동양(중국, 인도...)의 부각: 인구, 역사, 문화, 철학(이념)...
@조선~한국
.다산 정약용(실학, 서학):중국~일본의 산업발달 영향을 받았다
.인도학을 일본이 완성(최고의 사전): 실력있는 문명
식민지로 지배했던 영국보다 앞서다(인도학~사전:브리테니커)
2.중용(中庸): 중국사상의 종합지침서
@四書는 송나라 12c 朱熹(朱子)가 집약
.論語~孟子는 최초부터 존재했으나,
.예기를 42편(大學)~31편(中庸)은 朱子가 분리 편집했다(1190)
.중용 공부는 예기 전문가만 가능하다
.子: 선생님의 존칭어(孔丘~孔子...孟子,荀子,老子,墨子,朱子...)
.孝: 영어의 단어는 없다...忠孝란? 틀린 합성어...
@朱子는 고전(四書)가 불교보다 앞선 중국의 철학임을 깨워준다
.四書이전, 불교(인도/천축국의 서방문명, 종교) 사상이 주축이었다
:後漢말기~위진남북조~隨~唐: 불교번창기...(신라~통일신라)
.宋나라 불교배척(排佛論, 배불론), 사서의 등장~인쇄술의 발달
:유학(중국 철학 사상)의 새로운 발견(朱子, 四書)
.高麗의 불교의 귀족화, 부패...朝鮮에 억불정책(유학,성리학)
.한국식 기독교(건강하게)의 선구자 장공 김재준의 역할
3.中庸은 누구 작품인가?
@四書集註(사서집주)혁명적 학문, 사상으로 패러다임을 바꾼 유학
.중국고유의 위대한 학문으로 탄생된다
.大學(기본,윤곽을 배워)~논어(근본,뿌리를 터득)~맹자(근본이 발현)
.中庸(가장 중요한 유교적 가치와 미묘함, 지혜가 압축되다)
.대부분 子思(자사: 공자의 손자)를 부인하고 후한시기로 보고있다
.그러나, 사마천(史記)이 일부러 장안에서 간동북부까지 확인한다
:공자의 역사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공자(아들: 백어)의 가문에서 또다른 대학자가 없다는 평론이다
:中庸은 혼자의 작품은 아니다
:즉, 충분한 개념논쟁후(철학적 논술,이념이 집약), 子思가 집약한다
.論語는 평범하지만, 中庸은 심오하다(마가복음<요한복음이 심오하다)
@최근 中庸의 탄생시기를 증명하는 증거발견
.1973년, 백서(帛書, 비단글씨)
.1993년, 곽점죽간(竹簡)이 무덤에서 발견(bc350년경, 楚나라 무덤)
.그렇다면, bc450 경으로 추정된다(春秋時代 후기~戰國時代 전기)
4.天命이란 무엇인가?
@老子 1장이 매우 중요하듯, 中庸도 1장이 가장 어렵다
★.老子1장 “道可道 非常道”: 道를 道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常道가 아니다
.老子돠 中庸은 사상적으로 공감대가 있다
★.常: 永遠~不變은 동양 사상(現想)에는 없다
.현상속에는 불변을 찿을수가 없다(관념속의 道는 변치 않는다)
.항상스럽다...끊임없는 변하는 생성의 道, 변화의 긍정이다
.物理學에서 말하는 宇宙에는 불변은 없다
(不變은 觀念속에서 찿아야 한다: 天上은 변함없는 영원한 世界)
@天命之謂性(위성)
★.하늘이 命令하는것을 일컬어서 人間의 本性이다
“天”(사람모형 글씨: 앞에서 봄)...東西를 막론하는 인격신을 의미한다
“人”(사람의 옆모습: 옆에서 봄)
.殷나라는 구약적, 초월적 의미의 세계관(종교적 문명의 왕조)
.周나라부터 인문화된다(고도의 문화적 수준이다)
.많은 神들이 등장: 제사(제기: 술그릇), 점, 갑골문자...
.술 때문에 멸망한다(현재 한국인처럼...) 방대한 청동기문명
.夏나라~殷나라~周나라(주공 禁酒 명령...酒誥,주고편...書經에 기록)
.(고공단보)~문왕~무왕~주공(무왕동생): 인문 문명이 시작된다
.금주와 신(하나님)을 철저하게 배제한다
★.孔子: 敬而遠之(하나님과 멀리하라), 경외하라...
.하나님에게 너무 많이 의존하지 말라(천지 우주가 天理이다)
.孔子는 “주공의 思想을 정통하게 물려받았다”
.大自然의 天이 우리에게 命令하는 것이다(天地의 일부)
.상호적 교섭(인간~본성: 서양적 언어)
★.동양 사상에는 本性은 없다(반대가 있다면...말성도 있어야)
.루소 哲學: 인간의 선한 본성은 사악하지 않다(민주적 사상의 근본)
.子思는 인간본성의 善惡을 규정하지 않았고,
.끊임없이 하늘과 교섭한다고 주장한다
.병아리(닭): 48시간 안에 생존능력을 구비한다(포유류가 아님)
.인간의 본성은 인간 자신이 말하고, 주장하고 있는게 철학적 관념이다
“인간은 이런것이다...”라고 정할수 없다
.子思는 “率性을 따르는것이 道...修道를 닦는것이 敎(자연~문명)이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냐?
★.인간이 中庸을 배우기 前과 中庸을 배운 後에 똑 같다면, 그사람은 中庸을 아는것이 아니다
“새로운 人間性의 변화가 되어야, 中庸을 아는 것이다”
5.칸트와 붕어빵
@서양고전(哲學): 칸트 (순수이성비판)...헤겔 (정신현상학)
.가장 중요한 인생: 훌룡한 스승을 만나는 것이다
.창조하는 사람이 위대하다(禮記~樂記)
.음악의 연주는 미천하지만, 작곡은 위대한 창조이다
@칸트철학은 “붕어빵 철학이다” 내용(팥 앙꼬, 반죽)+형식(붕어빵 틀)
.어떻게 인식하는가? (인식론)...앎, 틀
.감각소여(인식이 들어올때, 일정한 형식이 없다), 오성의 범주
.반죽: 경험론(선험적)이 있기 때문에 구성설이다(관념적, 틀이 중요)
.하나님이 창조한게 아니고, 나의 오성의 범주가 세계를 구성하였다
.하나님은 실천이성의 요청이다
6.子思의 哲學
@道는 “나” 살아가는데 道가 있다
.몸에서 道가 떠나있으면 道가 아니다(잠시라도 떠나있으면 안된다)
7.中과 和
@계신과 공구: 군자 계신호 기소불목 기소불문
.남들이 보지 않는데서 계시는...
.막선호은 막현호미: 미세한것이 가장 잘 들어난다
.나의 직업은 하나님의 소명이다(天命)
.실질적 내용이 없는 공허한 예절이나 체면만을 중시한다?
@동양사상
.愼獨(신독): 君子는 홀로 있음을 삼가야 한다
.爲聖之學: 배움이란? 성인이 되기 위함이다
.聖人: 하늘과 짝을 한다(天下至誠)
.孔子 1장: 남이 아를 알아주지 않아도 부끄러워 하지않으니 또한 君子가 아니겠는가?
@中庸이란?
.중용: 過不及(과불급)이 없는 중간상태가 아니다(동양고전에 없음)
모든 인간의 가능성(인간의 본연의 모습이다)
.희노애락이 氣가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가 中이다
.희노애락이 발현하여 상황의 節度에 들어맞는것을 和라 칭한다
(節度란? 삶의 모든 상황을 말한다)
(中: 맞을, 들어맞을, 적중하다)
(和: 착착 들어 맞을때, 조화가 이루어지다)
.정치의 궁극은 중용이다(조화)
.우리가 추구하는 21c 교육의 목적이 이성적 조화이다
.아리스토텔레스...용기란? 비겁과 만용의 중간이다
@닭에서 천명을 관찰하기가 수월하다(대자연의 철학, 동물의 개성)
.아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구나! (孔子)
8.신독(愼獨)이란?....“홀로 있음을 삼간다, 삼가다”
@계신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남들이 보지 않는곳에서 보신하고, 들리지 않는데서 공부한다
.남들과 상관없이 스스로 자신을 돌본다(홀로 책임진다)
:修身(몸을 닦는다), 스스로 주체의 심화
@유자심서(송문흠 신독편 1710~1752)
.달밤에 홀로 있어도 자기 그림자에 부끄럽지 않고,
.홀로 잘때도 자기가 덮는 이불에 부끄러움이 없다
@中庸 다산(정약용): 중용자잠
.위공구 사공구: 스승이 두려워해라 해서 떠는것은 위선이고,
:임금이 명령한다해서 떠는것은 가짜이다
.공동묘지와 야간에 혼자 산속을 갈 때 무서운것은 당연하다
:천안 흑성산 거무신(개)와 호랑이 결투
.君子가 혼자 컴컴한 방에서 나쁜짓을 하지 않는것은,
:하나님이 너를 굽어보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선비들의 二重人格을 고발한 내용이다
@중야자 천하자대본야
.중야자(中): 喜怒哀樂이 발현되기 이전의 상태
.天下(인간세상에서 제일)는 天地와 대비하는 말(우주)
.節이 상황에 들어맞는다~和(화): 반드시 달성해야할 이상(達道)
.조화(調和): 달성되어야 할 과제(일)이다
.東洋思想은 조화를 지향하는 사상, 不調和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다
.부조화의 세계가 있기에, 조화를 추구한다(善惡도 그렇다)
.中과 和를 달성하면, 天地가 바르게 자리하고, 萬物이 잘 자란다
:道家의 天地개념은 인간은 스스로 불가능하다(자연주의 원칙)
:儒家는 인간은 文明때문에 天地를 인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철저한 휴머니즘, 인간세상...)
.中庸은 自然의 정복을 예찬하는 서구사상과 정반대이다
.하늘~땅: 중간에 태어남이 萬物이며, 人間이 으뜸이다
:三才思想 나(존재) 자체가 天地이다
.우주에 반하여 천지론적 사고로써 中庸을 배워야...
9.君子와 小人
@三才思想. 天地人의 世界觀
.喜怒哀樂 之未發: 肺脾肝腎(폐비간신: 인간의 장기)
동양 사상의학의 발현(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중용2장(공자의 사상)....仲尼曰: 君子中庸 小人反中庸
.중용1장은 中, 和...철학적 용어를 사용하다가
:중용2장부터 중용 명칭을 사용한다(子思)
:中庸을 실천해야 君子가 될수있다(그렇지 않으면 小人이다)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는 德을 그리워하지만 小人은 편안한 터(土)만 그리워한다
.君子懷形 小人懷惠:
군자는 잘못하면 벌을 받는다. 소인은 법을 피해나간다
.군자~소인은 동년배, 같은 수준에서만 그룹을 칭한다(공자)
.오규우 소라이(일본 유학자)의 해설: “논어징” 저자
군자, 소인을 계급적으로 창조적으로 해석했다(통치자, 피치자)
朱子學은 “불교위 아류”로 평가 절하하는 괴짜 학자이다
.추사 김정희의 歲寒圖: 제자에게 선물(이상적 1804~1865)
.孔子의 보편주의 정신: 有敎無類...교육에 계급의 귀천은 없다(평등)
.공자가 吳나라 태재(수상)을 만났을때
:손재주가 좋은 공자를 보고서...자공(제자)에게 묻는다
:공자님은 어찌 재주가 그리 많으냐?
:자공이 대답했다 “하늘에서 내려준 사람이기 때문이다”
:공자는 “오나라 태재는 사람을 볼줄을 아는구나”
“나는 어려서부터 천하게 성장해서 재주가 많은것이다”
“군자는 본래 재주가 없는것이다”
@logion(로그온: 예수 가라사대, 어록),원문을 편집하여 “성경”이 탄생
.孔子의 말씀(로그온): 子曰(통합 정리한 책: 論語)
.논어1장: 子思가 공자를 일부를 소개(仲尼曰, 중니왈)하면서
子思의 본인 철학을 나열한 이후... 2장에서 공자말씀이 전개된다
.名: 왕, 스승, 부모는 부를수 있다(그외 字로 호칭한다)
.안양의 3째딸과 혼인(공자), 공니산에서 기도하여 공자를 낳다
(공자: 짱구머리 孔丘, 둘째아들...仲尼). 大邱(언덕 丘)
10.時中: 때에 맞춰서 발현되느냐?...(timing의 지혜)
@天地人(동양사상)~인간과 神 God(서양사상)
.God 기독교적 개념(서양): 無에서 有를 창조(세계를 창조)를 주장
.Man은 神에 종속된다
.東洋의 天地사상은 人間과 구분할수 없다(三才思想)
.天: 무형의 세계...形而上者(神의 세계)~道~神
.地: 유형의 세계...形而下者(精의 세계)~器~精(땅의 통칭)
@君子, 小人이든 中庸은 가능하지만,
.중용의 수준이 전혀 다르다(군자는 군자답고, 소인은 소인답다)
.忌憚(꺼리낌, 두려움)는 매우 다르다
.군자의 中庸은 中을 실천하되, 반드시 때(時)를 맞춰야 한다(지혜)
.老子: 動善時(인간이 움직일때 때를 잘 맞춰야 한다)
.時中: 군자의 중용이다
.時間은 위대하다...忌憚(꺼리낌~두려움,시간의 부정)을 알아야 한다
.소인의 중용은 忌憚이 없다(無忌憚: 시간을 무시한 막가파이다)
.儒學이란? 인간의 내면적 道德性을 가르치는 것이다(사람되기)
.격물치기는 동양 과학의 번영을 가져온다
@信義
.莊子: 尾生高(미생고)의 신의(약속), 다리밑에서 홍수에 급쓸려 죽는다
@中庸은 (庸: 항상스러움)
.老子: 天命으로 돌아가는 모습이 되어야 中庸이다(범용한 삶)
.莊子: 凡庸(범용)한 삶속에서 모든게 통하는 지혜로움이다
11.능구(能久)
@천명지위성: 性이란? 이성보다 원초적이고, 포괄적인 감성이다
.몬테소리 교육의 한계에 도달했다
.인간은 3살 이내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을 소유(호기심과 꿈의 대상)
.소년기: 로맨스의 시기는 초면의 감동이 선명한다(모호하다)
.중, 고교생: 정밀성의 시기(훈련, 훈육, 단련)
@中庸3장(총33장): 공자의 말씀
.아! 중용이 지극하도다~
.동양사상은 추상적 개념~이론적 탐구가 아니라 실천을 중시한다
.중용은 오래동안 실천하지 못한다(직각적으로 수용한다)
@유학의 습득은 “인간이 되기”를 배우는것이다
.주자학의 기본: 격물치지...서구 과학과 충돌이 없었다
“객관적 사물을 법칙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종교이전의 인간학의 과제상황이다
.공부를 통해서만 인간이 다듬어진다
.갈릴레오 “지동설” 주장으로 처형직전 번복후 “그래도 지구는 돈다”
.창조론~진화론...유교는 상식적 도리
@구(久): 지속하다(유교에서 “진리는 지속이다”)
.지속은 연결고리(지구력), 歷史의 존중이다...곧 역사가 하나님이다
.공자왈 中庸의 가장 중요한것은 “실천의 지속성”이다
.햄릿 3막, 독백(세익스피어)...“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공자의 제자(서로 상반된 제자)
1)안회(공자 제자, 30세연하): 절대 족종(맹종)하는 제자
무서운 실천력을 소유하여, 가장 사랑받은 제자이다
행동으로 공자를 깨우치고 반성하게 했던 훌룡한 실천주의자...
공자는 1개월도 실천하지 못했어도, 안회는 3개월간 실천하였다
2)자로(우직한 제자, 깡패출신, 노나라 출신)
공자왈: 내가 자로를 얻은후로 내귀에 험담이 사라졌다
@工夫(공부하다)
.功扶(몸을 닦는다)...중국인이 몸을 단련한다(쿵수), to study
.修身(工夫)을 능구하면 달인이 된다(聖人)
.아레떼(희랍어)...인간의 능력을 쓰임이 있도록 덕성을 발현하여야 행복
.아라테란? 엑셀런트하게 가능성을 발현해야 한다(탁월함~가능성)
.工夫=修身=時中=能久
12.知味(지미)
@공자의 장점: 정직성, 끊임없이 노력하며 중용에서 떠나지 않는다
.춘추 백가쟁명~백가노방(百花怒放: 백개꽃이 마음대로 핀다)
.子曰으로 시작되지 않는 말씀은 子思의 말이다
.過~不及(과~불급)의 중간이 中庸을 뜻하는것은 아니다
.知(알다)~智(지혜롭다)는 같은 말이다...(知⟺愚)
.不肖小生(같을 초):부족한 자식(겸손의 표현)...(肖⟺賢)
같지않은 자식(肖), 似而非(비슷하지만 같지 않은것...)
.................................................................................................................
@맛(未)이란? 문화적 감각(이성)~심미적 감성...주관성+비주관성
.九竅(구규): 인간의 이목구비...9개 구멍
.순수이성:
.실천이성: 경험의 한계를 넘어가는
.맛있는 인간~멋있는 인간...
@칸트의 비판
.제1비판: 인간은 무엇을 할수 있는가?
.제2비판: 인간은
.제3비판: 판단의 비판
...............................................................................................................
13.공포와 우환
@공자의 탄식: 大人의 憂患(우환: 염려)이다
.뗏목을 타고서 바다 한가운데 떠있고 싶다
.득실에서 오는 걱정이 아니다
.덕을 쌓지 못하고, 배우지 못한는 걱정, 호호탕탕한 흉회이다
@종교의식은 공포의식과 관련이 있다, 공포의 출현이 종교가 탄생한다
.恐怖가 言語化 될때, God 神이 되고 그것은 반드시 人格化된다
.神의 대행자(天子, 통치자, 제사장, 정치 지도자): 하나님의 아들
.고등종교: 공포종교~윤리종교~천지종교로 진화한다
.동양윤리: 천지 자체⟹聖化, 하나님화 된다(子思는 誠이라 칭한다)
.苦業의식(불교)
.罪業의식(기독교), 일체계고(一切皆苦), 선악과를 따먹고 실낙원을 초래
.憂患의식(유교)
@유럽에서는 인간에게 어두운 負面(부면), 밝은 正面이 있다
.儒敎는 正面으로부터 출발한다
.동방사상의 핵심은? 內聖外王의 이상(도덕적 주체로써 실천해야)
내 몸이 없다면, 무슨 근심이 있겠느냐? 내가 나의 주체(도덕적)
.사도 바울...“제2의 아담이 예수”이다
바울(구원의 개념)은 불교에서 頓悟(돈오)와 같은 논리이다
@孟子의 성선설: 측은지심(四端~七情: 퇴계~기대승 사상)
.人間은 善의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善하다는 규정이 아님)
.仁이 발동함에 따라, 端(단)⟹心...인간은 도덕적인 주체이다
.天視自我民視 天聽自我民聽(서경, 태서)
“혁명사상: 무왕(주)이 은나라 주왕을 토벌을 주장한 포고문”
.天命을 받는것을 끊임없이 새롭게 해야한다(사회, 자신)
안될때 우환의식이 찿아온다
14.대지(大知~大智)
@유교적 사상: 인간은 끝까지 긍정되어야 할 위대한 존재이다
.無我: 我에 대한 부정적 접근(서양 철학)
동양인은 끊임없이 天命을 받아, 자기 존재내에서 초월한다
.佛敎: 해탈을 통하여 열반한다
.基督敎: 구원을 통하여 천당을 간다
@인식론(眞~善~美)
.堯~舜 임금에게 禪讓(선양)한다
.정도전 재상의 독보적 위치를 주장(孟子사상, 왕도정치)
.孝는 사회 통치자의 근원적인 덕성이다
.舜 임금의 발탁한 이유?
부친(맹인), 계모+이복형제가 수많은 학대를 하였다
초가지붕 작업시 불을 지르자 뛰어내리고,
우물 공사시 돌을 부어 죽이려 했으나, 옆 통로를 사전에 준비
그러나, 지극한 효성을 실천하였다
.堯 임금이 舜에게 두딸을 함께 혼인시킨다
(부인 2명을 평화롭게 거느리면, 나라도 평안하게 통치한다고 판단)
27~28년간 섭정을 시키면서 테스트를 거친뒤, 왕위를 물려준다
.깊은 산중에서 달밤에 나무, 돌과 함께, 사슴과 멧돼지와 함께 머물다
.한가닦이라도 좋은 말씀을 듣고 배우려는 열정이 터져나왔다
장강과 황하가 터졌을 때처럼 막을수가 없었다
.舜 임금은 호문(好問)묻기를 좋아했다
.질문이란? 자기를 비워야 채울수 있듯이, 질문이 가능하다
.비우는 哲學이 채울수있다(老子 철학)
@쇼크라테스 변증법: 질문을 즐겨했다(철저한 신앙인)
.친구가 자랑 “아테네에서 가장 훌룡한 사람은 쏘크라테스 밖에 없다”
.신탁을 부정할수 밖에 없었다 “나는 부족한 사람이다”
.나보다 위대한 사람을 찿아다닌다
(신탁을 반증하기 위하여, 위대한 사람들에게 문답을 한다)
.아테네 청년들이 보는 공개 석상에서 문답을 나눴다
.아테네의 지식인들이 무지함을 몰랐다
.시민들이 죄명을 씌웠다: 신을 믿지않고, 유명인을 멸시했다
.재판장에 플라톤, 배심원들이 문답을 그만한다면 용서해줄려고 했다
.투표결과 280:220, 사형을 선고받다
(벌금도 거절, 고국에서 죽고싶다, 70세, 끝까지 변론을 하겠다)
.孔子: 내가 잘모른다는것을 아는사람이 아는것이다
@舜 임금: 가까운 곳을 통하여 멀리 가는것이다
.가깝고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갈수있다
.동학 2대 교주(최시형): 인내천 사상(동양의 근대정신)
.善惡說(荀子, 순자)에 惡은 동양사상에 없다. 禮 교육을 주장한다
인간의 본성은 惡하다고 할수 없다(善할 가능성을 전제한다)
@善~惡의 실체
.東洋思想은 실체적 규정은 없다(평화,사랑,민주), 서양사상은 실체화
.윤집궐중(書經):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양위시 충고한 말
.中庸의 中은 가운데를 뜻함이 아니다
(가운데를 백성에게 적용, 실찬하는 시중이다)
.실천, 시중하는 舜임금의 훌룡함이다
15.나는 智慧로운가?
@孔子: 내가 유식한가? 나는 무지하다
.나는 비천한 자가 질문한다면, 속없는 질문일 것이다
.모든 가능한 상황을 두둘겨보고 나의 최선을 다해서 알려준다
.가르침에는 실증을 내지않는다(항상 묻고, 듣고, 가르친다)
@期月(기월: 한달 기간)
.사람들이 “나는 지혜롭다” 라고 말하지만, 한달도 실천하지 못한다
.삼환(노나라 3명의 대부)과 투쟁으로 함정, 14년간 유랑(주유천하)
.양호(노나라 지식인)이 오해, 함정에 빠져도 모른체 한다
.정나라 사람이 자공에게 “저 사람 꼴이 풀이 죽은 상가집 개 같다”
.공자: 그래 맞다, 탄식하며 지나간다(공자의 인간미, 위대하다)
16.인간 孔子
@겸손한 인간미
.予知(여지): 공자 스스로 보통사람인가? 의미가 애매하다
사람들이 모든사람이 “공자는 많이 알고 있다”고 했다
공자 모친(顔: 얼굴 안씨), 공자와 안회는 같은 동향(누항)
.顔回 안회(내성적, 학구적, 호학, 순종), 공자보다 30세 연하
안자를 위해 낙정(정자)를 세웠다
복성묘(안회 사당), 가난을 즐길줄 아는 태도에 감탄한다
스승곁에서 불평없이 끝까지 곁을 지켰다(14년간 유랑)
@진채지액: 초소왕이 초빙함을 방해한 사건
.진+채나라에서, 공자가 초나라(대국)으로 간다면 우리에게 불리하다
변경에서 포위해서 곤경에 처하자, 식량이 떨어졌다
자공이 어렵게 쌀을 구해서 밥을 지었다(냄새 ?)
공자가 밥을 혼자 먹을까? 걱정도 했다
안회에게 훈계한다(밥은 청결하고, 정성스러워야...)
천정에서 먼지가 떨어져, 더러운 부분을 스스로 걷어먹고,
깨끗한 밥을 올린다
.자로(盜 도적, 유랑하는 협객, 의리, 항의)
.子貢 자공: 국제적인 외교가, 위나라 대부호 출신(자로보다 1살 연하)
.공자 질문: “안회와 자공중에서 누가 더 낫느냐?”
.자공: “제가 어떻에 顔回를 넘보겠습니까?
顔回는 聞一知十인데, 저는 1개를 들으면 2밖에 모른다”
.공자: “그렇다, 같지 못하다...나도, 너도 顔回만은 못하다”
(공자는 일부러, 자공의 체면을 치켜 세워준다: 공자의 인간성)
“안회는 仁을 알려주면 3개월간 어김없이 그대로 실천했다
나는 1개월간 실천도 하지 못했다(겸손함)”
@智, 仁, 勇...군자의 덕목
.智者의 대명사: 舜 임금
知者는 불혹에 빠지지 않는다(유혹, 不惑 불혹)
.仁者의 대명사: 공자의 仁을 강조
知慧로운 者는 심미작 감수성의 섬세함으로 근심이 없다
.勇者의 대명사: 자로
인생의 소신(사회정의에 두려움이 없다)
.孔子: 군자가 지켜야할 道는 3개:
나는 노력해도 능한것이 아무것도 없다(겸손)
子貢이 대신하여 해명한다 “스스로 낮추어 말씀하신 것이다”
.孔子는 자신있게 말한다
“聖~仁에 관해서는, 경지에 어찌 감히 능하다고 말할수 있는가?
그러나, 道를 실천하려고 실증내지 않았다(끊임없이 노력)
사람을 가르킴에 게으름이 없다...권태가 없었다”
.공서(제자): 저의는 스승님을 감히 따라갈수 없읍니다
17.顔回(仁)의 삶과 죽음(智:堯,舜임금.....仁:공자,안회.....勇:자로)
@안회의 偉人(사람 됨)이란?...“중용을 실존적으로 선택한다”
.善(좋다, 잘, 착하다)
.칸트: 정언명령(도덕적 명령)⟺가언명령
.안회는 14년간 공자(스승)을 보좌한 수제자
.68세 노나라 계공자 유언
“공자가 노나라를 떠나게 한것은 노나라의 큰 실수이다”
.염구(공자보다 29세 연하, 계씨)를 통하여 공자를 노나라에 모셔온다
.68세, 다음해 아들(백어)이 죽는다(69세)
.그 다음해 안회가 죽는다(41세), 공자보다 30년 연하...(70세)
공자가 매우 슬퍼한다. “하늘이 나를 버리는구나”
안회집에 조문가서 큰소리로 곡을 하였다
“슬픈 마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哭(곡)을 한다”
“내가 지금 울지 않는다면, 누구를 위하여 울겠느냐?”
.안로(안회의 父親), 공자보다 6세 연하(공자 전기시절 제자)
안로의 제의: “안회의 관을 만들려면, 공자의 수레를 팔아야”
.공자왈: “내 자식이 죽었어도 관만을 구했는데...?”
“수레를 팔수는 없다” 거절한다(공자의 솔직함)
.안회의 수많은 제자들이 모금하여 화려한 장례를 준비한다
공자왈 “안회는 나한테 부친처럼 대했는데,
나는 안회를 내 자식처럼 소박하게 장례를 치르고 싶었는데,
내가 장례를 후하게 해주지 못해 안회에게 미안하다.
그러나, 제자들이 화려한 장례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마, 안회는 화려한 장례를 원했던바는 아닐것이다”
18.용기(勇: 자로)
@백인가도
.孔子曰, 천하 국가를 균등하게 정치해야 한다
.칼 막스: 평등의 주체(프롤레타리아, 공산주의 이론)
실패원인: 노동 개념속에 자연이 없어, 인간의 조화가 제외되었다
.공자왈, 관직과 보수를 거절하면서, 정치에 중용 실천을 강조한다
천하국가>작록>백인
가균<가사<가도
@勇...子路(자로)의 질문, “强이란 무엇입니까?”
.공자의 대답: 强은 “智仁勇”의 勇으로 볼수있다
“남방기질의 강함이냐? 북방기질의 강함을 말하는 것이냐?
아니면, 너의 강함을 말하는 것이냐?”.....노자사상(남방의 기질)
.문답법(산파술)
.쇼크라테스~헤겔: 변증법
(산파법: 아기를 낳을수 있도록 도와준다)
.선문답: 단번에 궁긍적인 대답을 하는 방법
(선불교의 禪은 詩이며, 論語화 시킨것이다)
.공자왈, 유연하고 부드러움이 승리한다(군주를 설득해야 하기때문)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영국에서 해방), 타고로의 칭찬(노벨문학상)
“진리 파지, 진리를 꽉 잡는자가 강하다”(마하트마: 위대한 영혼)
암리차르 대학살 1526명 부상(1000명 사망)
해방이후 인도가 약한 민족으로 개탄한다(힌두교⟺이슬람)
.밀양 약산 김원봉(독립투사): 의열단...맹열한 민족투쟁
해방이후 3일간 통곡을 한다(친일 경찰에 체포, 고문을 당하다)
@호돈 소설 “주홍 글씨 the scarlet letter...(A...간음의 인간)”
.시대적 무대: 남북전쟁이전(1850년 집필)
.의사남편이 영국 유학중에 목사와 불륜으로 딸을 낳는다
.존경받는 목사, 영국으로 도주하기전 십자가로 올라가다(보스턴)
@초나라, 노자사상의 중심지(남방지강의 모델)
.노자, 소로, 톨스토이, 루터킹, 함석현.....
.자로(북방출신), 호랑이를 때려잡는다
(수호지, 무송: 변양강의 호랑이...금병매)
삼손은 어린사자를 잡았다(성서)
.징키스칸(북방민족), 기병의 기동력과 용맹성 상징...황색공포
1258년, 80만명 사살, 바그다드 수공작전(3대 칸, 손자)
@자로를 공자가 설득하여 선비(士)로 가르키다
.자로의 석굴벽화 발견, 도원결의 시대(후한말기, 환제, 성제의 묘)
.위나라 출생, 피살(군자는 죽더라도 갓을 벗을수 없다)
.공자의 사망...bc484, 68세 노나라에 귀국, 73세 별세
.공자왈: 군자는 함께 다니지 않아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지만,
소인은 잘 뭉치지만 화합하지 못한다
.武士: 자율 무장집단(도쿠가와, 토요도미, 노부가나...)
.軍人: 타율 무장집단(이순신)...국가 조직원, 충성심
@중국고전 13경(4서3경 포함)
.한국고전 번역원(2007년): 국역연수원 한학교육(3년과정), 야간수업
.11월 23일 7시 동숭아트센터 1층
@庸 ⟹ 凡庸
.공자왈, 색은행괴하여 엉터리 짓을 하지 않겠다(주역을 잘못이해?)
.둔암서원 사계 김장생(충남 연산), 은둔은 군자의 특권이다
.건괘(주역), 잠룡(제갈공명: 와룡)은 비룡의 가능성이 많다
.중국의 전쟁은 유세객, 모사, 책사... 인문정신의 전투(둔전제)
.토로이, 십자군 전맹...신들의 전쟁(서양의 신화)
19.본체와 현상(費, 隱: 동시적 가치이다)
@君子의 道는 양면성이 있다(맹백하며, 또한 숨겨져 있다)
.老子사상 핵심은 微明(미명): 어둠과 밝음의 이론이 공존한다
@제갈공명이 병법으로 활용
.뺏으려면 줘라, 망하게 하려면 줘라...
.약하게 하려면 강하게 만들어 줘라
.폐망하게 하려면 흥하게 해줘라
.군자지도 비의인(주자)
20.삼강오륜...........................................................................24강 ???
21.五倫
@부부의 道(五倫)
.東方思想의 하나님는 천지의 創造力이다(끊임없이 생성한다)
.周易: 심오한 우주론(周나라 易이다)
.모든 군자의 道는 夫婦의 道에서 싹이 튼다
.子思는 일부일처제의 윤리를 강조, 우주론적 윤리의 차원으로 승격한다
.동양의 혼인은 인문주의적 음양의 평등구조(동등한 결합)이다
@時云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중용)
시운 연비려천 어약우연 언기상하찰야
詩經에 말하기를 “솔개가 날아 하늘에 이르고, 고기가 못에 뛴다”
周文王의 德을 칭송한 내용이다
“백성~새, 물고기는 각각 제자리를 얻어 본성에 따라 즐기고 있다
하늘을 한가로이 날고있는 솔개는 위정자(聖人)을 상징하고,
연못에서 노는 물고기는 백성(匹夫匹婦, 필부필부)을 상징한다
中庸의 道, 君子之道는 匹夫匹婦의 일상생활에서 시작된다
누구나 알고 실천할수 있지만,
천지~우주전체에 나타나는 무한대의 것이다”
22.노래를 “바람”으로 불렀다
@공자, 詩經(노래)를 수집한다(구약 성경)
.원효, 요석공주를 만나
.공자~증자~자사~맹자
.공자의 忠사상은 없다
.자공에게 가르치다...
.己(“나”를 칭한다)...人(타인을 칭한다)
.自然: 슷로 그러하다(노자 사상)
23.호문 호찰 집기양단
@己所不慾 勿施於人, 己所慾 施於人(논어), 황금률, 유교의 지혜문화
.남이 나에게 해주었으면 하는것은....
내가 원치 아니하는것을 남에게 강요하지말라
.남에게 베풀어라(윤리적 보편명제는 아니다)
.군자지도사: 구말능일정
내가 능하지 못했다(부친 봉양, 신하로써 충성, 동생에게, 친구에게)
먼저 배풀지 못함으로 능하지 못했다
부부관계는 제외되어 있다(유랑생활...가정생활이 원만치 못했다)
@修身...愼獨신독(홀로 있음을 삼간다, 내면으로 깊게 수련)
.자기 탐구의 과정(주체의 심화과정)
.군신관계, 사회적 위계질서가 있어야한다
.五倫관계의 주체(나, 실존주의)를 통하여 심복, 인관관계가 실현된다
실존이 본질을 앞선다
@行~言의 대비(周易)
.言行一致: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본다
동방사상의 핵심은 行에 있다(사양사상은 言을 중요시 한다)
“서로가 서로를 돌아본다...수신의 과정(인간의 자기발전)”
.sign...(1:1간의 동물의 신호수단, 새, 개, 야생동물의 대화방법)
.symbol...(1:다수 대응관계, 무한한 해석가능, 비극과 복잡하다)
.인간은 행동전후에 말을 하므로, 일치 될수없는 운명적 동물이다
.言語는 생존하기 위한 최대의 전략이다
.엄마의 혀에서 배움이 母語이다(母國語는 다르다)
.巧言令色 鮮矣仁(교언영색 선의인: 論語), 孔子는 싫어했다
“말을 교묘하게 꾸미고 얼굴을 곱게 꾸미는 사람이다”
24.富貴와 斯文(사문)
@군자는 진리에 처하면 그 지위에 합당한 행동만 한다
.正名(孔子): 이름을 바르게 한다(君君 臣臣 父父 子子)
.획일적인 평등사상은 매우 위엄하다(칼 막스, 인간의 신분사상)
선천적 불평등한 신분제도가 없어짐이 평등이다(백작,노예,양반...)
단지, 기회 균등이 보장됨이다
.자공(富者출신 제자), 안회(가난한 제자)...富者답게 살아라
.富者, 君子가 정해져 있지않기에 修身하여, 분수에 맞게 살아라
@카네기(영국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 우체국 전보담당 근무
.철도국 근무, 승진후 침대칸을 제안(효율적 운영)
.철강회사 설립(근검절약~사원 복지에 우선), 대공항에 해고없어
.1889년, 미국 철 생산량이 영국을 뛰어넘다
.富者~철강회사를 모건에게 판매~인류 복지에 배분(복지사회 추구)
.1901~1919, 자선활동(공공도서관: 2509개, 대학도서관:1689,
영국,아일랜드:660 캐나다:125... 총:3500개 설립)
.인류 박애주의 실천
(孔子사상의 仁의 전인륜적인 기여를 실천한다)
@君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극복할수 있다
.오랑케에 간다면 그 나라에 합당하게 살아라(제국주의 형태가 없다)
.이(吏), 匡(광)땅에서 사상 대립가 陽浩(양호)가 죽이려고 포위하자
태연하게 거문고를 연주한다
“하늘이 나(斯文: 사문이 있는데)를 지켜줄 것이다, 죽지 않는다”
.환란을 두려워 말고 용기있게 대처하라
.웃자리에 있을때 아랫사람을 깔보지 말고,
아랫사람은 웃사람을 끌어 내리지 말라
.자기를 바르게 하고, 타인에게 구하지 않는다(남을 탓을 하지말라)
.하늘을 원망한다면, 나 실존의 파멸일 뿐이다
27강: ....................................................... 27강 ??
@안중근
@호연지기(맹자, 공손추)
.청춘은 좌절이다, 약동하였을때 아름답다
.國家의 기본은 家庭이다(동양사상)
.家의 윤리가 확대되어 國이 만들어진다
.孝를 단순한 부모에 대한데 국한되지 않는다
28강: 鬼神(귀신), 誠: 중용은 誠論의 키워드
@귀신장(16장): 중용의 논란이 많다
.중용은 가장 합리적이고, 인문적 소산이다
.서양의 휴머니즘(인본주의: 중세기 신본사상, 르네상스 정신)
이성으로 판단하는 계몽주의식 인문주의(서양적 귀신: 고스트, 유령)
.동양적 유교는 신적인 세계를 포섭하는 인문주의 정신
.성스러움을 인간속에서 구현하는 정신이다
.우주에 가득한 힘, 사상은 영원히 창조한다
.항상 우주는 쉬지않는 동적인 모습이다
.知性無息: 生은 간간의 쉼도 있을수 없다
@공자: 천지의 영험한 기운이다
.귀신의 덕(인간: 하늘~땅), 우주론적으로 해석을 한다
.神~伸天~魂(혼), 神~天~魂~神~氣(하늘의 생명력)
~神~生(오전: 神)~春夏(神)~호(呼)~言(언)
.鬼~歸土~魄(백), 鬼~地~魄~精~血(땅의 생명력)
~消~死(오후: 鬼)~秋冬(鬼)~吸(흡)~묵(黙)
.땅에 대한 제사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천단+지단 제사를 지낸다(社稷 사직: 땅과 곡식)
.綿綿若存(면면약존): 면면히 있는것 같다(왕필 천재소년, 노자)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존재를 볼수가 없는것이다
보려도, 들을려도 없으나, 모든 것이 귀신으로 가득하다
29강: 孝~誠(大孝)
@生死: 인간은 유기체(태생과 동시에 죽음이 함께 존재한다)
.죽지않기 위해서 종교가 탄생하여 의지한다
.유학의 동양사상은 죽으면 종료된다
.단절을 연속시키는 종족을 남긴다, 따라서 무한하다
.단절을 연결시켜 주는것이 귀신이다(계속 함께 존재한다: 사당)
.4대봉사는 기본적인 제사(죽은후 적어도 100년간 대접을 받는다)
.귀신은 연속성의 존재이다
@맹무덕(공손씨 조상)이 공자에게 孝를 여쭌다
.공자왈 “부모는 오직 자식이 병들까? 그것만이 걱정이다”
.닭은 3500~4000개 알을 낳는다(1일은 인간의 1개월이다)
20일간 알을 품는 기간은 단식하여, 붉은 벼슬이 잿빛으로 변한다
똥도 참으면서 후손을 기다린다, 口卒啄 同時
태생과 동시에 독립하여 살아간다(생존수단: 모이, 물)
어미는 새끼부터 먹이고, 극도로 절제하면서 결식~소식을 한다
봉혜는 50일동안 절대적인 보호를 해준다(효의 원인)
50일이후 쪼으면서 독립시킨다(2일간에 남남으로 변한다)
.인간은 태어난 최초의 젓먹이 습관이 孝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전설
.동양사상의 孝는 “절대적인 모친에 대한 사랑”
30강:
31강: 기인(其人)
@공자가어 44편(애공문정, 노애공 대화, 20세): 자사 편집
.노애공,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공자, 정치방법이 중요한게 아니고, 정치의 근본을 물어야 한다
.문무지정: 문무의 정치는 책에 모두 담겨있다(방책: 대나무책, 죽간)
문왕~무왕의 정치를 참고하면 된다
그 사람이 있으면, 그 정치는 흥할것이다
그 사람이 없으면 정치는 폐망한다
.其人이란? (중용~순자의 其人개념은 연속된다)
法치~禮치~人治(사람이 다스리는 정치이다)
사람을 어떻게 만드는가? 사람의 핵심이다(儒家思想)
.斯文(사문): 인문화, 인문주의의 핵심이다
@통치자는 먼저, 인간이 되라!
.사람은 道를 높일수 있으나, 길이 사람을 높여주지 않는다
.道의 주체는 사람이지만, 사람의 주체가 道는 아니다
.세상은 어지럽히는 군주는 있어도, 어지럽게하는 국가는 없다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은 있으나, 세상을 다스리는 법은 없다
.禹임금(夏나라)의 전설적인 후대 왕이 없었다
.군자는 법의 근원이다
.지도민수: 비옥한 땅의 나무를 보면 나타난다
.정치로써 사람을 알 수 있고, 사회와 국가를 알수있다
.정치란? 사람을 잘하면, 갈대처럼 금새 피어난다
.사람을 등용할 때, 군주가 수양되어야 사람을 선별할수 있다
.공자사상의 핵심: 仁(사람끼리 교감, 인간의 내면적 문제)
(義: 인간의 외면적 문제)
32강: 곤지(困知)
@修身~事親~知人~知天
.윗사람에게 맘을 얻으려면, 몸을 낮춰야 한다(在下位)
.修身: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孝를 통하여 나 자신의 수신이 이루어진다
.事親: 가까운 주변사람(知人)을 잘 섬길줄 알아야 한다
.知人:
.知天:
.達道五(5): 달성되어야 할 인간의 道이다
달덕(3: 智仁勇)이 인간의 덕성을 만든다(달도오를 만든다)
智仁勇을 하나로 만드는 것은 誠(천지 대자연)이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리가지만, 불량말도 10일이면 천리를 갈수있다
어데를 가는지? 목적이 뭔지? 중요한다
.勉强(면강): 억지로 노력, 공부하다
.好學은 知에 가깝고, 힘쓰는것은 仁에 가깝다
부끄러움을 알면 勇에 가깝다
33강:
34강:
35강:
36강: 至誠無息(지성무식)
@승당예서: 자로(무인 출신)가 공자(名人)집에서 거문고를 연주하다
.제자들이 핀잔을 주었는데, 공자가 화를 냈다
.후배들이 대선배인 자로에게 말리자, “자로는 승당을 하였느니라”
.너희들은 아직 승당도 하지 못했느니라
.자로는 입실제자로써, 단상에 오를만큼 큰 선배이다
.배움의 전당(당)에 오름은 스승과 같은 경지이다
@중용25장의 해설
.子思의 自成論理, 우주는 존재하다
.不誠無物: 誠이라는 자연의 법칙이 중요하다
.誠己誠物: 誠己☛仁, 誠物☛知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세종로라이온스클럽(354-C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1216. 세종로라이온스클럽 2019년도 송년의 밤 (0) | 2023.11.22 |
---|---|
2019-1127. 세종로라이온스클럽 번개모임 (0) | 2023.11.22 |
2019-1116. 세종로라이온스클럽 정기봉사 (0) | 2023.11.21 |
2019-1103. 세종로라이온스클럽 워크숍 2일차(11,2~11,3 정선,양양) (0) | 2023.11.21 |
2019-1102. 세종로라이온스클럽 워크숍 1일차(11,2~11,3 정선,양양) (0)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