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종로라이온스클럽(354-C지구)

2019-1221. 세종로라이온스클럽 번개오찬

by 조흥식 2023. 11. 22.

2019-1221. 세종로라이온스클럽 번개오찬(팔당 숯불갈비, 건대입구역)

술을 경계하다

 

 

 

 

술을 경계하다

@조익(趙翼 1579~1655) 음계(飮戒) 포저집(浦渚集)

한창 마실 때에는 취한 줄을 모르지만,

한참 마신 뒤에는 고꾸라져 쓰러진다

 

*술을 너무도 좋아하여 주태백(酒太白)으로도 불리는 이태백(李太白)

술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깨달은 듯

석잔의 술로 대도와 통해지고, 한말의 술로 자연과 하나되네라고 하였고,

 

*한유(韓愈)는 세상사 시름을 잊는 방법을 제시하듯이

잔이 돌아 그대에게 이르거든 손을 멈추지 마오,

만사를 잊는 데에는 술보다 나은 것이 없다오라는 시구를 남겼다.

 

*그러나 동양의 전설에서는 술은 만들어지면서부터 경계의 대상이었습니다.

()임금 시절에 어떤 신하가 술을 처음 만들어 우임금에게 바쳤는데,

우임금은 술을 달게 마시고는

후세에 반드시 술로써 나라를 망치는 자가 있을 것이다라고 경계하였다

 

그리고 서경(書經)에는

우리 백성이 크게 혼란하여 덕을 잃음은 모두가 술 때문이다라고 하여,

본성을 잃고 혼란에 빠지는 것을 모두 술의 탓으로 여겼다.

 

*술을 얼마만큼 마시는 것이 적당한가는 사람의 체질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정하기는 어렵지만,

선인들은 이에 대한 해답을 늘 공자에게서 찾았습니다.

 

論語에는 孔子의 음주에 대해 술은 일정한 양이 없었지만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외물에게 자신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흐트러짐 없이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술의 적당량이라는 것입니다.

조익, 글 전체에서 역시 공자의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기준으로 제시하였고,

아울러 공자처럼 일정한 양을 정하지 않고도 적당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면 아예 두세 잔으로 양을 한정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