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20-0104. 북한산(불광역~비봉~사모바위)

by 조흥식 2023. 11. 27.

2020-0104. 북한산(불광역~비봉~사모바위)

자지자기(自止自棄), 노수신 조광조

 

 

 

 

 

자지자기(自止自棄), 노수신 조광조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임금에게 먼저 뜻을 세울것을 청하였다

청선입지소(請先立志疏)”의 한 대목을 소개한다

대저 뜻이란? 氣運統率하는 장수입니다.

뜻이 있는 곳이면 氣運이 반드시 함께 옵니다.

발분하여 용맹을 다하고, 신속하게 떨쳐 일어나는 것은 힘을 쏟아야 할 곳이 있습니다.

산에 오르면서 꼭대기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그치는 것(自止)이 됩니다.

우물을 파면서 샘물이 솟는 것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포기하는 것(自棄)이 됩니다.

하물며 성현과 大德이 되려면서, 뜻을 세우지 않고 무엇으로 하겠습니까?”

 

@등산은 정상에 오를 목표를 세우고 차근차근 밟아 올라간다.

.우물은 차고 단물을 얻을 때까지 파고 또 판다. 파다 중지한 우물은

쓸데가 없고, 오르다 포기한 산은 가지 않은것과 같다.

.목표를 정해 큰일을 도모할때 심지를 깊게하고 뜻을 높이 세워야 한다

.뜻이 굳지 않으면 제풀에 그만두고 제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自止自棄)

.목표를 향해 밀어붙이는 힘은 굳센 뜻에서 나온다.

굳센 뜻이 없이는 추진하는 에너지가 생겨날 데가 없다.

 

@하수일(河受一 1553~1612)

.젊은시절 두 동생과 청암사(靑巖寺)에서 글을 읽다가 뒷산에 올랐다

.정상에서 내려오면서 그 느낌을 이렇게 적었다

士君子處身宜擇, 處下而見下, 處高而見高. 擇不處高, 焉得智

士君子는 몸둘 곳을 마땅히 가려야 하고.

낮은곳에 처하면 식견이 낮아지고, 높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높아진다

높지 않은곳을 택한 대서야 어찌 지혜를 얻으리

.꼭대기에서는 시야가 툭 터져서 안 보이는것이 없었는데,

내려올수록 시야가 좁아져서 답답해졌기에 한 말이다

 

@정암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등산을 하면서 산꼭대기까지 가려고 마음먹은 사람은,

비록 꼭대기까지 못 가더라도 산허리까지는 갈 수가 있다.

만약 산허리까지만 가려고 작정한다면,

산 밑바닥을 채 벗어나지도 않은 채로 반드시 그치고 말 것이다

.품은 뜻이 그 사람의 그릇을 가른다.

바라보는 높이에 따라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의 양도 차이 난다.

제 깜냥도 모르고 날뛰는 것은 문제지만,

해보지도 않고 自暴自棄(자포자기)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