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418.세종로라이온스클럽 4월 월례회(야리성)
*병호시비 屛虎是非(학봉 김성일~서애 류성룡)
병호시비 屛虎是非(학봉 김성일~서애 류성룡)
1.병호시비(屛虎是非)
@학봉 김성일(虎溪書院)~서애 류성용(屛山書院)
.학봉(경상도 관찰사)이 4살 연상, 관작은 서애(영의정)가 높았다
.학봉제자들의 대학자가 많아 영남유림을 대부분 배출했다
@1차논쟁(1620년)
*退溪를 모신 虎溪書院(당시, 여강서원)에 두명(학봉,서애)을 초청한다
누가 상위(왼쪽)에 앉을것인가?
.상서열 주장: 학봉제자(장유유서, 연령)~서애제자(관작, 官爵)
.정경세에게 위임한다(1563~1633, 영남학파의 좌장, 상주에 은거)
결국, 서애 류성룡을 상석으로 결정한다(서애와 친분이 두터웠기 때문)
@2차논쟁(1805년)
*漢陽 영남유림들은 종묘(文廟)에 4명을 從祀(종사)케 해달라는 상소문
학봉~서애~한강 정구(1543~1620)~여헌 장현광(1554~1637)
.후손대표들은 한양에 모여, 연령순으로 나열하기로 했는데...
.서애 제자들이 서열문제로 반대하며, 독자적으로 상소를 추진한다
.조정에서 상소문을 모두 기각당하자, 한강~여헌은 억울하였다
@3차논쟁: 한강~여헌 제자들은 伊江書院(이강서원, 대구)에 모여
독자상소를 결정하고 유림들에게 통보한다
.영남유림들은 양파다툼(학봉, 서애)을 즉각 중단하도록 하였고,
양파(한강~여헌)를 규탄하는 통문을 띄우기로 결정하였으나,
.통지문 작성은 류회문(전주류씨)이 작성하기로 했는데,
학봉의 학통이므로 “학봉, 서애...”순으로 기록하였다
.서애 제자들은 虎溪書院과 결별하고, 屛山書院에 각각 모인다
.결국, 안동유림은 학봉(虎溪書院)과 서애(屛山書院)으로 갈라선다
.의성김씨(학봉)~풍산류씨(서애)의 자존심, 체면다툼에 말려든 셈이다
2.학봉 김성일(1538~1593, 불천위)
@검제(금계), 의성김씨 宗家에는 많은 고문서 보관(雲章閣)
.학봉은 서애 류성룡과 함께 동문수학한 退溪의 수제자이다
.吾目中未見其지(퇴계의 극찬: 이런 아이는 일찍이 보지 못했다)
@임진왜란 직전(1590,3~1591,3)
*일본 사신단으로 임진왜란을 오판하였다
.正使: 황윤길(西人,기호학파)의 必有兵禍(반드시 전쟁이 있을것이다)
일본의 침략을 주장(왜군 20만명, 포르투칼 조총으로 무장)
@副使: 김성일(東人,영남학파)
*不見如許情形(그런 정세를 보지못했다)
.침공 능력이 없다고 주장하였다(서장관: 허성)
@학봉은 민심안정 분위기를 감안한 것으로 해명은 했지만...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懲毖錄)에서 학봉의 불침론을 비판했다
.학봉은 과오를 인정하고 초유사(招諭使, 경상관찰사)로 종군하였고,
전국에 격문을 띄워 의병을 모집하고, 진주성 전투에서 戰死한다
@의성김씨 대종가(천전동)...虎溪書院(호계서원)
.휴계 김한계(집현전 학사)는 수양대군의 왕위찬탈후 낙향한다
.아들(망계 김만근)이 임하오씨 가문과 혼인하여 정착하였다
.부친(청계 김진)의 “아들 5형제 과거급제”(五子登科宅)
대종가에 청계공의 불천위를 모셔있다
.청계공(김진)의 4째아들(학봉 김성일)은 검제로 分家하였다
.학봉은 明나라 북경 상류주택을 본뜬 종택은 뱀사(巳)형태이다
.청계공의 손자(운천 김용, 임진왜란 의병)는 옆집 소종
3.서애 유성룡(1542~1607, 불천위)...하회마을(풍산류씨)
@退溪(21세)의 극찬
*天之所出者(하늘이 내린 인재이니, 장차 큰 인물이 될 것이다)
.선조 “바라보기만 하여도 저절로 경의가 생긴다”
@東人 영의정(예조, 병조), 鄭汝立 모반사건에도 살아남았다
.동암 이발(東人의 영수, 기축옥사에 최대 피해자 가문)
.이순신에게 병서(증손전수방략)를 제공하였다
.이순신 승진을 건의(외로운 처지, 10년간), 징비록
.류성룡 파견(이순신 형과 교분: 요순~순순~우수): 중국 요순우 임금
@北人의 탄핵을 받아 사직후, 낙향하였다(1598년)
.옥연정(부용대 동편기슭)은 서애가 건립(1586년)
.옥연서당: 징비록, 서애집, 신증록, 영모록을 집필한 곳이다
.선조가 어의를 보냈으나 죽었다(65세). 장례비가 없어 모금하였다
.서애 류성용의 종택 忠孝堂(서애파)
.겸암 류운룡(형, 14대 종손)이 크게 번성한 종택 養眞堂(겸암파)
@屛山書院 (고려말, 류씨가문 교육기관)
.1572년(선조), 풍산읍에서 豊岳書堂(풍악)을 병산으로 옮겼다
.1613년, 서애 제자(정경세)들이 尊德祠(존덕사)를 건축하였다
.1629년, 수암 류진(서애, 3째아들)을 배향하였고,
.1863년, 철종의 屛山書院 사액을 받는다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았다(47개)
.屛山書院은 낙동강 백사장과 병산을 마주본다(뒷산은 화산, 꽃뫼)
.만대루(晩對樓, 200명 가능)와 달팽이 뒷간(화장실)
@매산 류후조(1798~1876)의 모친(고성이씨 임청각)
.興宣大院君 시절(좌의정)출신으로 폐정 개혁의 선봉에 나섰다
.南人중에서 풍산류씨 가문에서 서애 류성룡(영의정, 선조)이후
.류후조가 재상으로 드물게 등용되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세종로라이온스클럽(354-C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0501.세종로라이온스클럽 번개모임 (0) | 2023.01.09 |
---|---|
2013-0427.세종로라이온스클럽 번개모임 (0) | 2023.01.08 |
2013-0430.세종로라이온스클럽 청풍명월(충주호) (0) | 2023.01.08 |
2013-0326.세종로라이온스클럽 회원식당 개업식 (1) | 2023.01.07 |
2013-0320.세종로라이온스클럽 이기수총재 예방 (1)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