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0-0914.주례회의(현안업무 토의)

by 조흥식 2023. 12. 23.

2020-0914.주례회의(현안업무 토의)

書院 文化

 

 

 

 

 

書院 文化

1.書院文化

@국립 교육기관(성균관, 향교), 사립학교(서원, 서당)

.서원: 중앙조정및 지방관청의 제정지원(보조금, 토지, 노비, 기부금)

읍치에서 이격하여 설치(풍광, 풍수지리를 고려)

儒學(사서오경), 성리학적 심성과 학문을 교육

.향교: 고려~조선, 군현(1), 관리 양성기관(교관: 국가에서 파견)

서원의 발전으로 점차 제향위주로 변화한다

(마을)에서 근거리 위치, 소박하고 단순한 건물구조

홍살문, 하마비, 삼문, 명륜당, 대성전, 동제/서제(기숙사)

.정조, 화성행차시 향교 참배(1795), 비원(부용정)에 성균관을 설립

 

@백운동 서원(최초 1543)은 안향을 제사하던 곳(주자학의 선구자)

.풍기군수 주세붕(고대 중국 백록동 서원을 본떠)

.퇴계군수 사액서원(명종, “소수서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안동김씨 세도정치 견제를 위한 47개만 남기고 600여개 철거

.老論세력 제거에 흥선대원군(이하응)의 초강경 입장

백성을 괴롭히면, 孔子가 살아나도 용서를 안한다

.안동김씨 세도정치 세력 척결(김사근,김흥근,김병식,김병기...)

 

@화양동서원: 충북 괴산 화양동 계곡 *충청별곡(송시열)참고

.흥선대원군이 문전박대를 당하였다

.1871(고종8)에 서원철폐, 신주+편액은 서울 대보단으로 옮긴다

.2년후 이항로, 최익현이 부활하지만, 1908(순종2)에 철거된다

.우암 송시열 배향(노론 영수 1607~1689 山林), 下馬碑

.봉림대군(효종)의 스승 사계 김장생~김장생의 아들(김집)에게 배웠다

.萬東廟(만동묘); 1704(숙종30) 송시열의 건의로 건립

나라 의종(만력제)~신종(숭정제) 사당(임진왜란 파병은덕)

 

2.조선 5대서원: 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傳說같은 書院이야기

1.흥선대원군이 철폐시킨 서원들의 사연

@화양동서원: 충북 괴산 화양동 계곡

@紫雲書院(자운서원): 파주 법원리 *강원별곡(강릉,栗谷)참고

.율곡 이이: 기호학파(개혁주창)

.임진왜란 선조 피난길에 임진강나루 화석정이 불에 태우다

.1615(광해군7)에 건립, 1650(효종1)賜額을 받았다

.사계 김장생, 박세채 추가 배향되었다

.1868(고종5): 철폐되다

 

@德川書院(덕천서원): 산청군 시천면(남명 曺植의 위패)

.1576(선조9)에 창건, 1609(광해군1) 사액을 받았다

.제자 최영경(崔永慶)을 추가 배향(정여립사건 연루, 1589)

.1868(고종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

.손자사위 의병장 곽제우(제자), 당시 의병장 60여명 활동

.휴대품: 방울(경계심)+(욕심을 제거), 생각+행동의 일치를 강조

.산천재: 허유+소부의 벽화가 유명하다

 

2.書院에 얽힌 사연

@문암서원(춘천 신북) *강원별곡(춘천)참고

.사액서원으로 신식 부사가 건립(1610)

.박사마을(춘천 서면), 박사 120명을 배출한 명당(인구 4,600)

 

@충현서원(시흥, 빈터)

.강감찬, 서견, 이원익(조선 청백리)을 배향

.효종(1658), 삼현사~충현사~충현서원(숙종 친필현판, 1676)

 

@문헌사(평택 진위면) *강원별곡(정도전)참고

.삼봉 정도전을 배향, 이성계의 사액현판 儒宗功宗

儒學도 으뜸이요, 조선창업과 新都건설의 도 으뜸이요

 

 

 

서원철폐(고종2, 1865)

1.존속시킨 47書院(고종, 흥선대원군)

.숭양서원(崧陽書院); 정몽주,서경덕,김육,우현보,김상헌,조익(개성)

.용연서원(龍淵書院); 이덕형,조경(포천)

.우저서원(牛渚書院); 조 헌(김포)

.노강서원(鷺江書院); 박태보(과천)

.파산서원(坡山書院); 성혼,백인걸,성수침,성수종(파주)

.덕봉서원(德峰書院); 오두인(경기 양성)

.심곡서원(深谷書院); 조광조(용인)

.사충서원(四忠書源); 김창집,조태채,이이명,이건명(과천)

.둔암서원(遯岩書院); 김장생,김집,송준길,송시열(충남 연산)

.노강서원(魯崗書院); 윤황,윤문거,윤선거,윤증(충남 노성)

.무성서원(武城書院); 최치원,신잠,정극인,전인충,송세림,김약묵,김관(태인)

.필암서원(筆岩書院); 김인후,양자징(장성)

.서악서원(西嶽書院); 설총,김유신,최치원(경주)

.소수서원(紹修書院); 안유,안축,안보,주세붕(경북 순흥)

.금오서원(金烏書院); 길재,김종직,박영,정붕,장현광(선산)

.도동서원(道東書院); 김굉필,정술(현풍)

.남계서원(藍溪書院); 정여창,정온,강익,유호인,정홍서(함양)

.옥산서원(玉山書院); 이언적(경주)

.도산서원(陶山書院); 이황,조목(안동)

.흥암서원(興巖書院); 송준길(상주)

.옥동서원(玉洞書院); 황희,김식,황효원,황뉴(상주)

.병산서원(屛山書院); 유성룡,유 진,이시명(안동)

.봉양서원(鳳陽書院); 박세채(황해 장연)

.문회서원(文會書院); 율곡,조헌,안당,오억령,성혼,박세채,신응시,김덕성

.노덕서원(老德書院); 이항복,정홍익,오두인,이세화,김덕성,민정중,이상진

 

 

 

 

 

 

@경기도(12개소)

1.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 개성 선죽동, 정몽주서원

2.여주: 대로사(大老祠): 여주시 여주읍(우암 송시열을 모신 서원)

3.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 포천시 신북면(6.25때 소실)

이덕형(李德馨)과 조경(趙絅)의 학문과 德行을 추모사당

4.과천: 노강서원(鷺江書院) 문열 박태보를 추모

옛 과천(동작구 노량진동)에서 의정부시 장암동에 다시 세움

5.김포: 우저서원(牛渚書院): 김포(중봉 조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

6.파주: 파산서원(坡山書院): 파평면

성수침과 아들 성혼, 동생 성수종, 백인걸의 위패봉안, 후학양성

파주 유림 소유(6.25사변에 소실)

7.양성: 덕봉서원(德峰書院): 안성시 양성면(숙종, 양곡 오두인의 충절)

8.용인: 심곡서원(深谷書院): 용인시 수지읍(조광조의 위패를 모신 사당)

9.과천: 사충서원(四忠書院): 광주시 중부면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 4대신을 제향

10.강화: 충열사(忠烈祠): 강화군 선원면 선행리

선원 김상용을 주향, 병조판서 이상길 외 26위를 배향한 사당

11.광주: 현절사(顯節祠): 주시 중부면 산성리, 우국충절(憂國忠節) 사당

홍익한(洪翼漢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 삼학사(三學士)

12.고양: 기공사(紀功祠): 고양시(충장공 권율 장군을 제향)

 

 

@전라도(3개소)

1.무성서원(武城書院): 정읍 태인 칠보면(정읍 태인의 향약, 조례 탄생)

고운 최치원(통일신라 말기)의 위패 배향

최익현(조선말기): 항일운동 지도자, 을사늑약후 대마도 방문

2.필암서원(筆巖書院): 장성군 황룡면

고암 양자징 추배하고자 김인후등이 설립. 통곡대

김인후(인종의 스승), 묵죽도를 선물받아...

어전에서 왜인보다 하석에 않자, 성종에게 강력 항의했다

3.포충사(褒忠祠): 광주시 원산동(고경명등 임진왜란 의병 5명의 충절)

 

 

 

@경상도(13개소)

1.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군 순흥면: 최초의 서원~최초의 사액서원

주세붕이 회헌 안향(주자학 선구자)을 배향코자 사묘를 설립

유생 교육을 겸한 백운동 서원을 건립

2.도동서원(道東書院): 寒暄堂 金宏弼 서원(가 동쪽으로 왔다)

한강 정구의 스승(퇴계~남명 조식)

退溪+한강 鄭逑(예학,1543~1620, 金宏弼의 외증손)이 주선하여

1568(선조), 현풍 비슬산기슭에 雙鷄書院을 세운다

1604(선조), 賜額書院으로 도동서원으로 변경한다

186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에서 제외(보존대상: 47)

3.선산: 금오서원(金烏書院): 구미시 선산, 길재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

4.함양: 남계서원(藍溪書院): 일두 정여창

5.밀양: 남계서원, 밀양 청도

고려중기 평장사 김지대(충효쌍수), 충효사~철폐~순종재건

6.경주: 서악서원(西嶽書院), 김유신, 설총, 최치원의 위패

7.경주: 옥산서원(玉山書院), 안강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8.도산서원(陶山書院): 안동 도산면 예안: 退溪 이황(문인과 유림)

조선 성리학(四端七情論, 고봉 기대승과 13년간 편지 논쟁)

월천 조목에게 사제간의 정겨운 편지를 보내다

(학봉 김성일, 서애 류성룡, 한강 정구, 여헌 장현광,

월천 조목, 고봉 기대승, 정경세...)

완락제(퇴계 친필 8점 보유)

정조(16), 사서단 친필격려(특별 島山별시, 낙동강변)

현재, 16대 후손이 宗家에서 거주(14대후손 이육사 시인)

9.안동: 흥암서원(興巖書院): 상주, 송준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

10.병산서원(屛山書院): 안동시 풍천면(하회마을), 14대 종손이 거주

서애 류성룡(풍산류씨)을 향사한 서원, 징비록 저술

11.동래: 충열사(忠烈祠): 부산시 동래구

임진왜란 때 부산에서 순절한 호국 선열의 위패를 모신 사당

12.고성: 충열사(忠烈祠): 통영시 명정동, 충무공 이순신

13.거창: 포충사(褒忠祠): 거창군 웅양면: 이술원을 제향한 사원

14.진주: 창열사(彰烈祠): 2차 진주성(임진왜란)에서 순절한 신위 사당

 

 

@함경도(1개소)

1.북청: 노덕서원(老德書院): 함남 북청군 북청읍 동리

북청으로 귀양갔던 백사 이항복(李恒福)을 추모

 

@충청도(5개소)

1.돈암서원(遯巖書院): 논산 연산면, 사계 김장생(禮學 대가)

광산김씨, 동방18, 아들(김집)에게 예학을 승계한다

스승(기호학파): 성혼 우계, 구봉 송익필~율곡

제자(西人: 우암 송시열, 송길준, 잠곡 김육...)

2.충주: 충열사(忠烈祠): 충주, 임경업장군의 위패 사당

3.청주: 표충사(表忠祠)~삼충사: 이봉상, 남연년, 홍림의 충절 사당

4.홍산 부여: 창열사(彰烈祠): 윤집, 오달제, 홍익한(3학사)를 배향

5.노성: 노강서원(魯崗書院): 논산 광석면(윤황,윤문거,윤선거,윤증 배향)

 

@강원도(3개소)

1.금화: 충열사(忠烈祠): 철원(병자호란 충렬공 홍명구, 충장공 유림)

2.철원: 포충사(褒忠祠): 근남면

병자호란시 공을 세운 충렬공 홍명구와 충장공 유림을 기린 사당

3.영월: 창절사(彰節祠): 사육신 사당

 

@황해도 4개소

1.평산: 태사사(太師祠): 평산군 평산면 산성리

고려공신 신숭겸·유금필·복지겸·배현경 위패를 봉안, 제사

2.해주: 청성묘(淸聖廟): 백이, 숙제의 제사

3.장연: 봉양서원(鳳陽書院): 은율군, 박새채를 모신 사당

4.배천: 문회서원(文會書院): 배천군 치악산(율곡. 성혼. 조헌의 위패)

 

@평안도(5개소)

1.영변: 삼충사(三忠祠): 평북 영변, 제갈량을 제향

2.정주: 표절사(俵節祠): 평안도 정주, 홍경래의 난에 순절 7의사

3.평양: 무열사(武烈祠): 평양, 병부상서 석성, 제독 이여송 사당

4.영변: 수충사(酬忠祠): 평북 영변 묘향산, 휴정 사산대사의 사당

5.안주: 충민사(忠愍祠):정묘호란 순국(안주성 전투:구성도호부사 전상의)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