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1-0209.제15지역+제16지역 회의

by 조흥식 2024. 1. 21.

2021-0209.15지역+16지역 회의(간담회, 안혜준, 이영만 지역부총재)

호칭이야기(임금,大統領,寡人,寡婦,未亡人,,,,,(),궁녀)

 

 

 

 

 

 

호칭이야기(임금,大統領,寡人,寡婦,未亡人,,,,,(),궁녀)

@남편과 死別, 재혼하지 않은 부인을 과부(寡婦)라 칭한다

.()...부족함을 겸손하게 말하는 표현이지요

.이혼녀는 과부(寡婦)라고 하지않는다

.夫人은 결혼한 여인의 존칭어, 婦人은 상대방의 배우자...

.領夫人은 대통령의 처, 令夫人은 행정단체장의 처...

 

@大統領의 칭호 각하(閣下)

.공식서열; 폐하~전하~합하~각하(4)

.皇帝는 폐하, 자칭은 짐()...제후들의 호칭은 貴官

.임금,,제후는 전하(殿下). 자칭은 과인(寡人)이다...

.과인(寡人)이 부족한 사람”...겸손한 표현...

.과인(寡人, 조선)은 황제(중국)의 속국인거죠

.고종은 황제로 개칭하여, 중국과 대등한 호칭을 사용했다

.무령왕(, 戰國時代)은 스스로 군()으로 칭했다

.나라(오랑케)를 섬겼기 때문이다

.아들은 혜문왕의 화씨의 벽주인공(인상여~염파, 刎頸之交)

 

@未亡人이란?

.草堂마을에는 戰爭未亡人이 많다

.강릉은 思想的 유산(월북)으로 큰피해로 희생되었다

.낡은 가옥은 일부러 고치지 않는다...“남편이 돌아올까봐?”

 

@魯成公(춘추시대)의 모친(목강)의 겸손한 표현이다

.(백희공주)宋公에게 출가시킬 때 계문자가 호휘하였다

.수고했던 관료들을 격려할 때, 계문자는 화답하였다

詩經의 내용은 인용하여 노성공~송공의 치적을 칭송하면서,

백희공주가 편히 지낼것이다

.이때 참석한 穆姜(母親)이 매우 기뻐하면서 화답함이 유래되었다

계문자는 선왕한테 충성하셨는데, 未亡人 나까지 힘을 주시니...”

 

@춘추좌씨전(순장문화에 따르지 못해서 미안함을 말한다)

남편을 따라 죽지못하고, 아직 살아있는 아내의 겸손한 표현이다

 

 

 

~~~~()~궁녀

@인조가 죽은뒤 묘호(廟號)를 정할 때(1649),

.유계(홍문관 부교리)라 함은 부당하오며 을 써야 합니다

.선왕에 대한 불경죄로 온성(함북)으로 3년간 유배되었다

.유계는 이이(율곡)의 학통을 잇는 성리학자로 예론을 중시했었다

 

@三國時代에는 중국의 皇帝(황제)보다 낮은 임금을 ()으로 불렀다

.高麗시대는 ..으로 칭했다

.원나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때의 왕은 의미가 약간 다르다

 

@.漢文帝(bc203~157)부터 유래된다(사마천의 史記)

.임금중에서 공적이 있는자는 조(),

.덕망이 높은자는 종()으로 부르도록 명했다고 전해진다

 

@朝鮮時代의 왕(27)..으로 호칭하였다

.그러나, 祖功宗德(조공종덕)규범에 따른것은 아니었다

.()은 정통성이 있는 왕으로, 선왕이 친아버지이거나,

;새로 왕위를 이을자가 적자(嫡子;왕비가 낳은 자식)인 경우...

.()는 큰 혼란기(환난~국난극복)를 겪은 왕이다

 

;임진왜란의 宣祖(선조)...

;선조는 최초에는 宣宗으로 칭했다가, 宣祖로 변경되었다

.혁명에 성공하여 왕위에 오른 임금도 ()를 사용했다

 

;병자호란의 仁祖(인조)...

;중종은 반정에 성공하였지만 ()으로 부른다

.왕통의 항렬이 위로(거꾸로) 올라간 경우에도 사용했었다

 

;조카의 왕위를 빼앗은 수양대군(숙부)世祖...

.()은 한단계 낮은 지도자의 칭호로써 연산군, 광해군...왕위에서 쫏겨난 왕을 칭한다

.英祖(영조)도 최초에는 英宗이었으나 훗날 바뀐것이다

 

@숙종은 ()()로 승격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시켰다

.장희빈의 인현왕후를 증오하여, 게장에 꿀을 타서 독살하고,

.취선당 서쪽에 신당(神堂)을 만들어 저주했던 것이다

 

@妃嬪(비빈)은 국왕의 정실과 부실을 말한다

.()는 정식 아내, ()은 첩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국왕의 정실이 되면 ()로 승격되는 셈이다

.高麗時代는 일부다처제, 여러명의 ()가 있었지만,

.朝鮮時代 태종은 중국제도를 모방하여 嫡妾(적첩)嫡庶(적서)

;구분하여 ()는 품계가 없지만, 後宮(후궁)은 달랐다

.중국의 후궁이란? 궁궐에 머무는 여자를 일컬어 말하지만, 조선은 임금의 여자를 칭한다

 

@()은 정1품으로 후궁중에서 가장 높은 지위이다

.()~귀인(1)~소의~숙의~소용~숙용~소원~숙원~상궁(5)

.조선의 후궁은 숙원(4)~()까지 8명으로 규정했으나,

;태종,세종,성종,선조,영조는 후궁 8명을 초과하였다

 

@궁녀는 10년마다 정기적으로 선발하였다

.10살이 되면 딸의 혼사를 서둘러야하는 웃기는 일도 많았다

.궁녀를 선별하는 처녀성 감별법이 매우 독특했다

;醫女(의녀)가 앵무새의 生血을 팔목에 바른다

;뭍으면 처녀, 뭍지않으면 처녀가 아니다고 판단을 하였다

 

@조선의 지방행정

(8, 330개소 관아), 지방수령을 임명

.: 감영을 2개씩 설치, 관찰사(2, 차관급)

.도청소재지 고을: 목사(3)

.도호부사(3), 군수(4), 현령(5), 현감(6)

.한성: 판윤(2, 서울시장)

.수도권(수원, 개성, 광주, 강화): 유수(2)

.옛 왕도: 부윤(2)

(경주, 평양, 함흥/이성계 고향, 전주/이성계 본향, 의주/외교,국방)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