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1-0222. 제10지역 회의및 간담회(오문기 지역부총재)

by 조흥식 2024. 1. 23.

2021-0222. 10지역 회의및 간담회(오문기 지역부총재)

朝鮮 4士禍(무오~갑자~기묘~을사)

 

 

 

 

 

朝鮮 4士禍(무오~갑자~기묘~을사)

@士禍의 배경

.성종은 勳舊派(기득권)를 견제하기 위해 士林派(사림)를 등용한다

.士林地方사회에서 영남사림파(점필재 김종직)를 중심으로

훈구세력을 비판하고 견제하게 된다

.癸酉靖亂(단종1, 1453), 수양대군은 김종서와 황보인을 처단하고,

단종을 축출하고 세조가 즉위하면서 死六臣을 처형하였다

 

@朱子學(우주를 움직이는 원리+인간의 마음)의 계보

.최초 안향나라에서 전수하였다

.高麗 충열왕은 만권당으로 이재현을 유학시켜 전파시킨다

.포은 정몽주~ *(삼봉 정도전)

.야은 길재(금오산인)~ *(목은 이색, 한산이씨)

.김숙자(길재의 제자, 김종직의 부친)~

.점필재 김종직~

.김종직의 제자(일두 정여창~한훤당 김굉필~탁영 김일손)~

.김굉필의 제자(회재 이언적~화담 서경덕~정암 조광조~모재 김안국)~

.남명 조식~퇴계 이황~율곡 이이~우계 성흔

 

@朝鮮 性理學5현 등장(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퇴계 이황)

.南冥 조식의 제자

:곽재우~동강 김우옹~한강 정구~내암 정인홍~동계 정온~덕계 오건

.退溪 이황의 제자

:학봉 김성일~서애 류성룡~한강 정구~여헌 장현광~월천 조목~

간재 이덕홍~문봉 정유일~금계 황준량~사암 박순~우복 정경세...

병호시비

고종 기대승 논쟁(사단칠정론)

.栗谷 이이의 제자

사계 김장생~우암 송시열~정여립...

회니시비(우암 송시열~명재 윤증, 박세채)

우계 성혼과 논쟁(理氣論)

 

 

1.戊午士禍(연산군, 1498)

@燕山君(재위 12), 士禍(2)로 많은 인재가 희생시킨 暴君이다

.당시 유행어 유배~능지처참~부관참시...흥청망청

.탁영 김일손(士官, 史林派 김종직의 제자, 1464~1498)

성종실록 편찬 책임자 이극돈(勳舊派 핵심, 1435~1503)

양보없는 충돌과 대립이 戊午士禍로 변질된다

.유자광은 史草에 본인 評價를 염려했던 것이다

성종 喪中에 기방에서 기생과 놀았다?...”

 

평소 감정과 政治的 타협에 실패하자, 비밀리에 사초내용을 조사했다

.유자광은 弔義帝文(김종직)을 연산군에게 고한다

項羽(항우)는 어린 조카(의제)를 죽이고 황제를 찬탈하였다

燕山君祖父(수양대군)가 단종(어린 임금)을 내쫒고 찬탈했다?”

.결국, 嶺南사림파가 몰락하게 된다

1)점필재 김종직(부관참시, 밀양).......

2)탁영 김일손(청도 산천이 사흘간 흔들리다)......

3)한훤당 김굉필(회천으로 유배)......

4)일두 정여창(거창).......

 

 

 

 

2.甲子士禍(6년후, 연산군 1504)

@燕山君 생모(폐비윤씨, 1445~1482) *박종화 小說 錦衫의 피

폐비윤씨는 윤기현의 딸(파평윤씨)로써 제헌왕후로 추증되었으나,

1479, 중종반정후 추증이 취소되는 비운의 여인이다

.賜藥을 내린 주인공은 인수대비(수양대군의 며느리, 한명회의 사돈)

仁粹大妃: 덕종의 부인, 소혜왕후 한씨 성종의 母親(內訓을 남겨...)

자을산군을 성종으로 즉위시킨 여걸이다

 

父親 한확(청주한씨)의 묘비를 세웠다(연산군 1, 1495)

(한확 묘비문: 이세겸이 비문을 짓고, 임사홍의 필체)

한확 가문은 3명의 왕비를 배출한 명문가이다

한확의 누이는 성조의 , 동생은 선종의 후궁이다

.정현왕후(계비) 슬하에서 성장하여 생모를 모르고 있었는데,

.임사홍(훈구파의 거물, 1445~1506)이 기획한 정치사건이다

폐비윤씨 사건으로 기득권의 政敵(훈구파~사림파)을 모두 제거한다

임사홍, 유자광은 폐비윤씨 퇴출반대로 유배된바 있다

.한훤당 김굉필은 戊午士禍에 회천에 유배, 甲子士禍에 처형된다

.일두 정여창은 戊午士禍로 종성(함경도)으로 유배되어 死賜을 받았으나,

甲子士禍에서 부관참시를 당한다

 

@공포정국, 燕山君이 폐위되다(中宗反正, 1506)

.궁궐부근의 民家를 철거하여 사냥터를 확장시켜 民心이 흉흉해지고,

.궁궐내에 기생을 불러들여 향락을 즐긴다(탕춘대 건립)

.채홍사를 설립하여 전국의 기생을 선발한다

기생의 관직부여(운평~가흥청~흥청...흥청망청의 유래?)

.燕山君 비방의 벽서 사건후, 한글 사용을 금지시키고

.신언패를 착용시켜 관리들이 말을 삼가토록 하였으나,

.김처선(환관: 7명의 임금을 보좌)直言에 화살로 죽여버린다(1504)

.강화도 교동으로 유폐된후, 곧 죽는다(31)

 

 

 

3.乙巳士禍(조광조 희생)

@己卯士禍(정암 조광조의 희생, 1482~1519, 38)

.中宗反正(1545, 인성대군, 연산군의 이복동생, 정현왕후의 아들)

.반정공신 박원종, 성희안은 중종5년후 은퇴, 사망한다

.성균관 방문(시험), 파격적인 등용으로 4년간 활약한다

부친(찰방) 따라 회천에서 한훤당 김굉필(유배)을 만나 수학한다

.조선시대 획기적 전환점으로 개혁정치 방향을 정립

 

1)(哲人): 학문적, 도덕적인 성인이 되어야 한다

경연을 활성화(14: 조강~오강~석강~야대) *왕세자교육(서연)

 

2)성리학 이념으로 실현추구(왕도정치, 도덕정치)로써 지방사회까지

小學을 보급하고 지방자치 규약 향약을 만든다

 

3)소격서 혁파

 

4)헌량과 실시(추천제): 좌파 세력 확보(훈구파 견제가 시작된다)

능력있는 인재발탁을 위하여 과거제도를 보완한 추천 방식이다

부조리, 청탁m 객관성으로 논쟁거리가 되어 1회 실시하였다

.반정 정국공신 위훈삭제(2/3%, 76)

토지, 노비 환수, 훈구파 무력화

.훈구파의 반발과 중종의 설득으로 조광조를 제거한다

.나뭇잎 꿀을 발라 벌레가 갈아먹다 走肖爲王

어전회의에서 체포되어 능주(화순)로 귀양, 사약을 받는다

분당을 모의한 죄, 근사록과 小學 보급을 중지시킨다

.56년후 복권되고 후배들이 활약한다(退溪 이황, 南冥 조식, 栗谷 이이)

.己卯人이란?

정치적 사건으로 사림정치가 실패한 선비들을 칭한다

 

 

 

4.乙巳士禍(1545, 파평윤씨)

@乙巳士禍(1545, 파평윤씨 외척정치)

.중종 왕비 단경왕후의 퇴출(거창신씨, 신수근의 딸)

연산군의 부인도 거창신씨 가문이다

인왕산 치마바위의 전설이 생기며, 장흥 온릉에 잠들었다

.중종 2째부인(大尹 장경왕후 1491~1515, 파평윤씨, 윤임의 3대손녀)

아들 인종을 낳고 죽어 중종과 함께 서삼릉에 합장되었으나,

훗날, 문정왕후가 선정릉으로 중종을 이장시킨다

일부에서 중전(왕비)를 폐비신씨를 거론하였으나 불발되었다

.중종 3째부인(小尹 문정왕후 1501~1565, 파평윤씨, 친동생 윤원형)

 

.인종이 9개월만에 죽자 大尹이 물러난다

조광조 복권문제를 논하던중 인종이 죽어 복권추진이 중단되었다

인종의 유언에 조광조를 복권시켜라!”

.명종 즉위후(12) 문정왕후가 8년간 수렴 청정하였으나

명종 임기내내 정치에 관여한 여장부로써 태강릉에 잠들었다

문정왕후(小尹)의 남동생 윤원형이 득세한다

.1550, 보우 스님()을 판서로 지명하고

선교 양종을 부활하고 불교중흥에 크게 기여를 하였다

승과, 도첩제를 실시하는등 의지력이 강했던 인물이다

*보우 제자, 서산대사(묘향산 보현사)는 조선 불교사의 큰 인물이다

승려 재교육을 통하여 불교 내실화로 정치성을 배제하였고

제자로써 사명대사를 길렀던 인물이다

 

.乙巳士禍에서 조광조의 복권을 주장한 선비들이 대거 숙청된다

이때부터 조선 성리학이 꽃을 피우는 전성기를 맞이한다

(퇴계, 남명 조식, 율곡, 김장생, 송시열, 윤증...)

.훈구파~사림파의 대립, 결국 사림파가 승리하여 중앙정치에 등장한다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당쟁으로 붕당정치의 혼란기에 접어든다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조흥식

0204mpcho@naver.com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