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13-1231.송구영신 1박2일

by 조흥식 2023. 1. 27.

2013-1231.송구영신 12(2013,12,31~2014,1,1)

*북한산 백운대, 선유도 해맞이(양화대교 중지도, 한강고수부지)              

*智異山 이야기(백두대간)

 

 

智異山 이야기(백두대간)

1.백두산

 @백두산(뿌리; 하늘연못)~ 지리산(꽃을 피우다)

    .커다란 나무, 민족의 등뼈, 백두산~설악산~자병산~속리산~지리산

    .최고봉 호칭(비로봉): 북한(김일성 장군봉)~중국(장백산)

    .주은래(중국): 늙은 조선관료가 늦게도착, 조선에 8개봉을 할당하고,

      중국국경에 7개봉으로 양보한다

      이유는 조선의 자존심을 살려주고, 압록강하구 섬을 요구했다

 

 @신라 玉龍記”(비결서): 도선국사 저술(827~898)

     “백두산()+백두대간(줄기)~지리산에서 끝난다

     .조선시대 학자들의 주장도 비슷하다

       *이중환(1690-1752); “택리지체계화

       *신경준(1712-1781); “산수고

       *정약용(1762-1836); “대동수경지리서

       *정상시(1678-1752); “동국지도

       *김정호(1800-1864); “대동여지도

 

2.智異山

 @천황봉(1915m), 반야봉, 노고단

    .1500m(10), 계곡(80), 둘레(800), 면적(북한산의 50),

    .동강()+섬진강(), 식물(1500)

 

 @백두대간 山徑圖(산경도)

    .1개 정간+13개 정맥으로, 정맥사이에 이 흐른다

    .한수이북(한북)~한수이남(한남)~낙동강 동쪽산줄기(낙동정맥)

  

 @문학(한국의 대표 대하소설)+음악(판소리)도 지리산이 중심이다

    .소설 토지(박경리, 통영): 하동(평사리 최참판댁)~간도(중국)를 배경

    .토지문학관은 경남 하동에 있지만, 기념관은 원주에 있다

    .혼불(최명희, 임실): 남원~만주의 무대, 가장 어려운 책이다

    .태백산맥(조정래)은 벌교~장흥~지리산~태백산맥(빨치산)

    .음악(동편제~서편제)도 섬진강을 기준으로 한다

 

 @지리산이란?

   “산중에서 백두산이 흘러내려 맺힌산이라지리산으로 명명하였다

   .남명 조식: “여러사람이 함께 봐도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큰 산

   .매천 황현(매천야록): 일제침략에 지리산도 통곡한것이다

    “정기를 끊으려해 지리산이 3일간 울었다!” “신음소리가 수백리까지 울리다

   .지리산 천황봉 일출은 3대가 공덕을 쌓아야 볼수있다

 

 @옛명칭은 두류산이었다

    .유명사찰은 실상사, 화엄사, 쌍계사, 연곡사. 천은사, 선운사...

    .화개장터~청학동기

    .무학대사 감탄하여 위대하구나!”

    .지리산의 명당터: (함양)+(안동)~(남원)+(장성)이다

    .지리산의 吉地(길지)는 청학동+백운산

     그외 길지는 내장산, 백양산, 월출산, 한라산이다

    .외지리(): 구례, 하동, 산청

    .내지리(): 함양, 남원(변강쇠전, 장승문화, 춘향전: 민중소설)

    .북쪽(온도, 기후)은 불교보다 민간신앙에 의존하였고

    .신선사상(문학)으로 흥부전(강남제비, 박씨)이 유명하다

    .장승문화는 변강쇠전 모티브였다(담양)

    .곡성군은 섬진강을 심청전의 무대라면서 심청제를 하는데,

     백령도 북쪽앞바다를 인당수(심청정)라 한다

  

@지리산 노고단에서 섬진강을 내려다 보면, 황홀하다

    .지리산은 백두대간의 축소판이다

    .최근에는 반달곰이 방사되었다

    .구례(섬진강변)에는 은어, 참게, 제첩국이 유명하다

    .산동면에는 온천, 산수유, 송원리죠트가 있다

 

3.지리산(운봉)과 남부군 사령관(이현상)

@운봉고개(남원~함양 고갯길), 여원치

  .운봉고원, 구름낀 지리산 봉우리 절경

  “지리산의 의미... 어리석은 사람이 지혜로워 진다

  .두류산(백두산맥의 정기의 흐름), 광장산(넓고 큰산)

  .대동여지도에는 산맥 명칭은 없었지요

   1903, 일제 지질조사(14개월간 지하자원을 개발목적)

 

@이현상은 금산 태생, 중앙고 졸업

   .1926.6.10 만세 참가하여 구속(4회 구속)

   .1948년 남노당 대표로 월북하여 참석하였으며,

    강동 정치학원에서 교육을 받고, 남파되어 지리산으로 입산한다

   .당시 제주 4.3 폭동사건, 진압명령을 거부한 14연대는 반란을 일으킨다

     반란군은 2사단(노도부대)에 쫓겨 지리산 피아골 연곡사로 숨는데

     이현상이 합류하여 빨치산(반군~지리산 유격대) 지휘권을 인수한다

   .1950. 6월 북상하던중 6.25동란을 늦게 인지하고(7월 중순경)

     남하하여 낙동강전투에 참여하고 남부군을 창설한다

  .1951. 8월 지리산에서 입산하여 남부군을 지휘하며 저항하지만

   .1952. 2월까지 계속된 빨치산 동계작전에서 4회 피습을 받아 전멸한다

     피아골 연곡사 계곡(아지트)에서 최후를 맞는다

   .휴전 회담시, 유엔군측이 제시한 빨치산과 유격대 귀환을 언급했으나

     북측은 포기한듯 응답이 없어 괴멸을 당하게 되었다

   .빨치산과 유격대는 버려진 군인으로 비참한 말로를 맞게된 것이다

  

4.山自分水嶺(산자분수령)              

  @“은 스스로 분수령이 된다

    “산자분수령이란? 산은 물을 건너지 못하고, 물은 산을 넘지못한다

     산은 스스로 물을 가르는 고개가 된다

     은 물을 가르고, 을 넘지 못한다

   .구문소의 물줄기가 바위를 통과하면 자연의 법칙을 거스른다

   “자개문(정감록)”이란?

     .子時(자시)에 문이 열리고, 丑時(축시)에 닫힌다

     .사철 꽃이 만발하고, 흉년과 전쟁이 없는 오복동이다

 

@지리산은 반란의 아지트로 변신(1894, 농민전쟁 항쟁)

   .박봉양(민보군대장, 지방세력가)은 농민군을 진압한다

   .김계남(남원 근거지)을 공격할 때 패배하지만,

   .2차 농민전쟁시 운봉(함양)으로 진출시 남원에서 치열한 전투(관음재)

 

@장승(나무, )+솟대는 신앙, 이정표, 마을 어른을 상징한다

   .돌장승: 진서대장군(남쪽을 방어하는 장승)

           방어대장군(동네, 고을 지켜주는 장승)

   .장승문화(서민 역량 강화현상)1700년대 등장한다

     조선전기(수요자에 맞춤제작)~조선후기(민중의 얼굴을 상징)

 

@백암장(남원 산내면): 선종사찰로써 3층석탑(국보)이 유명하다

@실상사(남원 산내면): 828년 창건(신라 흥덕왕)

   .九山禪門, 선종불교의 상징 사찰이다

   (교종 중심은 경주로써, 도선국사는 경주에서 선종전파에 실패)

   .증각대사(국사)의 부도탑, 3층석답(국보), 쌍탑(국보1+보물11).석등

   .철재여래좌상(천황봉을 향하고, 후지산과 일직선에 있다)

   .교종(사리를 뿌리지만), 선종은 부도탑에 보관(토착세력 경제지원)

 

5.이현상 남부군 사령관(지리산은 반역의 성지이다)

@이현상은 누구인가?

   .1905년 금산출생~고창고~중앙고~1926.6.10 만세~구속(6개월)

   .일제말기 4회구속(13년 옥살이),노동운동,사회주의,해방운동,학생운동

   .1948, 남로당 대표로 월북, 강동정치학원에서 교육을 받고, 월남한다

   .여순사건(1948,10), 토벌대에 쫓겨 지리산으로 피신하여

      반군 지휘권 인수한뒤, 11월 지리산 유격대를 창설하였다

   .유격대 토벌작전에 밀려 북상하던중에

      6.25사변을 인지(7월 중순)하고 남하하게 된다

   .낙동강전투 참여 9.28 인천상륙작전에 가담. 남부군(118)을 창설한다

      지리산으로 잠입(1951.8~1952.2)후 동계토벌작전 4...

      결국 비참하게 전멸된다(유격대+남부군)

   .남부군 총사령관 이현상 아지트에서 매복작전에 전사한다

   .1951.5월 소련의 휴전제의  협상시,유격대원 송환의 언급이 없었다

      최초 미국의 언급에 북측의 무대응으로 일관하였고,

      1953년 휴정협상에도 미언급되어 방치되어 버린다

      결국, 빨치산(인민유격대, 남부군)의 비극(버려진 민족)

      이념전투에서 생존전쟁으로 변화된다

 

@지리산 역사관(하동군 화계면)

   .2만명 전사(빨치산 토벌/화전민)되어고, 무려 717회 전투가 벌어졌다

   .해방후, ·소 군정으로 제주 4.3항쟁(1947)이 발생하고

   .제주 4.3사태 진압거부한 여순 반란사건(국군 14연대: 홍순석지휘)

      토벌작전에 쫏겨 지리산 입산(1948, 10)

      반군지휘관 유격대 창설(11)~

      1월까지 동계 토벌작전~북으로 이동(6)~7(6.25전쟁 인지)

      낙동강 전투 참여~후퇴~남부군 창설(1951.8)~지리산 입산

      1951.11~1952,2월까지 토벌작전(4)으로 남부군+유격대 전멸

  .빨치산(유격대: 구빨치산, 남부군: 구빨치산)

  .남부군 이현상은 피점골에서 전사한다

 

@연곡사(전남 구례), 피아골(부도: 2, 보물: 4)

   .의병의 본거지+빨치산의 점거지역으로 稷田(직전: 피밭)이 많았다

   .++북 부도: 870년대 추정되고 있다

 

@고광순 의병장 순절비(1848~1907), 이승만이 세워 추모항U

   .을미사변후 남원성 점령후, 연곡사에 주둔한다

   .하동지역의 왜군을 공격하기위해 집결했으나, 연곡사에서 전멸된다

     (김동신 의병부대도 맹위를 떨친다)

 

6.괘궁정(掛弓亭)                   

 @“이성계가 잠시 활을 걸어뒀던 곳

    .이성계는 망군성을 축성하여 왜구를 토벌하였다(1383)

    .비로봉에 사리함(백사발에 쿠테타 성공기원 발원문을 새겨)을 묻었다

    .위화도 회군 직전 두차례(1390~1391)

    .남원 인월면 여원치 고개에도 괘궁정이 있다(왜구토벌)

    *최명희, 혼불1부 흔들리는 바람(인월댁: 강수의 모친)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