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20

2013-0124.광진구청장 표창수상(오태섭) 2013-0124.광진구청장 표창수상(오태섭) *자경설(自警說, 고봉 기대승) 자경설(自警說, 고봉 기대승) @고봉 기대승은 “자경설”에서 허송세월을 했다고 안타까워하였다. .지나온 삶의 허물을 되뇌어 보고 곱씹는 것은 그런 과오를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럼에도 기대승은 여러 가지 인간적인 약점을 보이기도 하였다. .기대승은 퇴계(이황)으로부터 신진사림의 대표로 인정을 받았고 실제로 신진사림의 영수(領袖, 명종~선조)로 활약하였다. .퇴계 이황은 학문하는 사람을 추천해달라는 선조의 부탁에 고봉 기대승을 천거하였을 정도였다. .이처럼 이황은 기대승을 신진사류(新進士類)의 대표로 촉망하면서도 그의 인물을 더 다듬기 위해 뛰어난 자질을 함부로 드러내고 호탕한 습성에 얽매이고 술에 괴로움을 당하고,.. 2023. 1. 4.
2013-0116.종로구 등산연합회 한울산악회 2013-0116.종로구 등산연합회 한울산악회(북한산 둘레길, 퍼쥬망) *칠국의 난(한문제) 七國之亂(칠국의 난, 한문제) @바둑 한 판에서 비롯된 內戰 .한경제(漢景帝) 3년(기원전154년) .오왕(吳王) 유비(劉?)는 초왕(楚王), 조왕(趙王), 교서왕(膠西王), 교동왕(膠東王), 치천왕(?川王), 제남왕(濟南王)과 결탁하여 공동으로 反亂을 일으킨다. .도화선은 한경제 유계(劉啓)의 師父 조착(晁錯)에서 비롯된다. @조착 “삭번책(削藩策)” .吳王등 제후(왕)들의 봉지(封地)에 직접적인 威脅이 되었다. .反軍에서 깃발을 내걸고, 兵力을 일으켜 조정을 압박했다 “청주조착, 이청군측(請誅晁錯, 以淸君側” (“조착을 주살하여 皇帝의 측근에서 간신을 제거해 달라”고 청하다) @漢景帝(유계)는 장기판의 “卒을.. 2023. 1. 4.
2013-0105.청운산악회 2013년도 새해맞이 산행 2013-0105.청운산악회 2013년도 새해맞이 산행 *2013,1,5 북한산 영하8도(구기동, 사모바위, 대남문, 청수장) *뒷풀이: 남구현 대표 후원(장작 오리바비큐) *고사관수도(강희안, 물과 바위) 물~바위(강희안, 고사관수도) @강희안(1417~1464 진주강씨)의 “고사관수도” .高士觀水圖 고요한 그림(고결한 선비가 물을 바라보는 그림)이다 .선비의 讀書는 하루 일과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강희안의 號는 仁齊(인제: 어진이의 書齋)이다 .風流와 文章으로 이름난 명문가 출신으로 집현전 직제학을 지냈다 세종대왕의 처조카(父親: 세종의 동서지간), 세조의 이종사촌 父親과 함께 당대 詩書畵의 三絶(삼절)로 일컬어졌다 .1456년, 死六臣 사건에 연루되어 세조의 국문을 받았다 .사헌 신석조의.. 2023. 1. 4.
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水落山의 유래? .비온뒤 물이 계곡에 고이지 않고 낙수물처럼 떨어져 빗물이 지체없이 흘러 버린다는 뜻이다(계곡에 물이 없다) .수락산에는 정재 박태보와 남계 박세체를 모신 노강서원과 박세당 古宅이 있으며, 梅月堂 김시습과 인연이 많은 곳이다 .동쪽편 계곡 靑鶴洞의 풍광은 비교적 수려한 편이다 @鷺江書院(박태보, 박세채)의 유래? .서계(박세당)의 2째아들(정재 박태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남계 박세체를 배향한 賜額書院으로 정조가 내린 懸板이다 .현, 박세당 고택은 韓國動亂(6.25)에 소실되어 최근에 재건하였다 .한때, 梅月.. 2023. 1. 4.
2013-0105.청운산악회 북한산 2013-0105.청운산악회 북한산(사모바위) *八王之亂(팔왕의 난) 팔왕의 난(서진시대) @전란에 참가한 8명의 왕 1)여남왕(汝南王) 사마량(司馬亮):선제 사마의 5남, 무제 사마염의 숙부 2)초왕(楚王) 사마위(司馬瑋): 무제 사마염의 5남 3)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 선제 사마의의 9남, 무제 사마염의 숙부 4)제왕(齊王) 사마경(司馬冏): 제헌왕 사마유의 아들, 무제 사마염의 조카 5)장사왕(長沙王) 사마애(司馬乂): 무제 사마염의 16남. 6)성도왕(成都王) 사마영(司馬穎): 무제 사마염의 6남. 7)하간왕(河間王) 사마옹(司馬顒): 안평헌왕 사마부의 손자, 무제 사마염의 6촌 8)동해왕(東海王) 사마월(司馬越): 사마욱의 손자, 무제 사마염의 6촌. 고밀문헌왕 사마태의 차남, *사마의:.. 2023. 1. 4.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눈구경) *2023,2,2(일) *입춘에 함박눈이 내리면, 풍년이 온다고 전해옵니다 *11명(이의양, 조흥식, 희서공주, 남구현, 이석철, 정숙희, 채수아, 김천숙, 장정금외 1명) *거창 수승대(추송대), 거창신씨 愁送臺~搜勝臺(거창신씨) 1.수승대(搜勝臺, 거창, 안의현 유래?) @최초명칭: 수송대(愁送臺): “근심을 떨쳐 버린다” 사신들의 환송잔치 .小論들의 반란(영조): 함안(이인좌)+안의(정희량) .동계 정온(정희량의 祖父):은 살아남아, 혼맥으로 가문을 유지한다 .해우소(解憂所): 근심을 풀어 버리다(화장실) .백제~신라 사신들의 환송잔치로 위로하는 공간이다(넓은 바위) @1543년, 退溪(이황)가 영승마을에 온다는 기별이 왔다 .신권은 요수대에 조촐한 주.. 2023.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