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18-0113.인왕산

by 조흥식 2023. 6. 4.

2018-0113.인왕산

민첩한 처세로 성공한 사람, (기회)를 기다리는 사람

 

 

 

민첩한 처세로 성공한 사람, (기회)를 기다리는 사람

@철새정치인은 계절에따라 정처없이 둥지를 바꾼다

고건, 조순, 손학규, 정동영, 이회창도 그렇다

과연 능력발휘를 위한 것일까?

처세학의 대명사는 韓非子였지만 이사()에게 음독으로 죽는다

 

@중국의 곽말약은 학자로써 폭넓은 활약과 화려한 발자취를 남겼다

현대판 처세의 중요함의 본보기,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재빨리 예찬했고,

4인방 권력등장시 즉시 동조하는 신속한 변신을 계속하였다

 

@숙손통(유학자)6명의 군주를 섬기려 激流(격류)에도 출세했다

민첩하고, 기막힌 변신으로 군주를 바꾸면서

()나라 출신으로 진나라에 문학으로 발탁되어 박사가 된다

진시황제를 섬기면서 박사로써 정치에 데뷔한다

, 2대 황제시절, 조고(환관), 이사(재상)과 함께 살아남아

진승과 오광의 난, 아첨을 잘하여 많은 포상을 받았고

아첨하지 못한 선비들은 모두 처형되지요

()나라로 피하여 항량(항우의 외숙)에게 의탁하였으나,

()나라는 나라에 항복하고 정도전투에서 항량이 죽자,

회왕(반란군의 맹주)으로 거처를 옮긴다

회왕이 의제(義弟)가 되어 장사진으로 옮기자,

그대로 남아서 즉시 항우()를 보좌한다

항우가 오강에서 자결한뒤 2년후, 유방에게 항복하여

유방(,고조)을 보좌하여 평생 화려한 권력을 누빈 사람이다

또한, 태자()의 태상+태부가 되어 절정에 오른다

 

*유복을 싫어하자, 짧은옷(초나라 제품)으로 바꿔 신뢰를 받아

.유복(길게 늘어뜨린 유생복)

.유방은 초나라 태생이므로 초점을 맞춘 것이다

.제자(30)중에서 2명은 한나라에 보좌를 거절하는데

.스승(숙손통)은 군주를 6명이나 바꿔 믿을수 없다는 이유였다

스승을 비유(鄙儒; 시골 유생)하며 야유를 했다는 것이다

.태자를 바꾸려하자 진헌공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며

진언하여, 여태후에게 신뢰를 받게 된다

 

*진헌공은 첩(여희)아들 혜제를 때문에 웃음거리가 되고.

2대황제 호해, 결국 진나라를 파멸시킨다

*한고조(유방)도 첩(척부인)아들 여의를 태자로 생각했던 것이다

 

@때를 기다리던 사람도 있었다

*개국공신 진평은 외척이 득세한 여태후를 10년간 보좌한 명재상이다

유방를 6번 도와 결정적인 통일의 일등공신이지만

폭정을 모른체하고 술타령으로 때를 기다려 경계심을 피한것이다

여태후가 서거한 후, 주발과 함께 궁중쿠테타를 일으켜 외척을 몰아내고

한문제를 옹립한 뒤에 비로소 정계에서 은퇴한다

*한문제(문경지치)~한경제~한무제 시대가 열린다

 

@유비(촉한)를 주변국에서 경계했다

유비는 용은 구름+비를 만나면, 하늘로 승천해 버린다

오나라 노숙은 손권에게 건의한다

남의 밑에서 일할 사람이 아니다, 반드시 하늘로 올라간다

유비를 견제, 감시해야 한다는 뜻이다

유비와 합세하여 조조를 공격하자고 건의하게 되는데

그 사이 유비가 촉한을 점령해버리자 무릎을 치며 후회하였다

 

@장량(장자방, 개국공신), 또한 준비된 사람이 때를 기다린 것이다

유악(帷幄)은 장막속에서 모의하는 것이다

.장량은 유방의 최고 모사(模士), 는 자방 장자방

.그는 나라 귀족출신으로 황석노인에게 태공병법을 배웠다

진시황제 암살미수후 산속에 은거한 의협이었다

.나라 개국의 1등공신이며 유방의 三傑중 한명이다

전략을 장막안에서 세우고, 눈에 보이지않는 승기를 마련하였고

어려운 일은 쉽게 해결하고, 큰일은 작은 힘으로 완수하는 명장이었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