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

2020-0923.클럽4역연수(총무 및 재무)

by 조흥식 2023. 12. 24.

2020-0923.클럽4역연수(총무 및 재무)

寒暄堂 金宏弼(道東書院,달성)

 

 

 

 

 

寒暄堂 金宏弼(道東書院,달성)

1.한훤당 김굉필(1454~1504)

@本家(현풍), 도동出生, 처가(19, 합천,순천박씨), 처외가(성주,도롱나루)

.합천 야로현에 서재를 짓고 寒暄堂라 불렀다(기호 사림파)

.曾祖父: 현풍곽씨와 혼인. 현풍으로 낙향

.祖父: 조반(조선 개국공신)의 사위, 漢陽 정동에 거주

.父親: 김뉴(단종2, 어모장군)의 아들, 漢陽 정동출생

 

@현풍은 의 고향(19c 이향견문록, 유재건)

.산삼(노모를 위한 외아들을 가마솥에 삶았으나, 산삼으로 변했다)

.슬슬 가자미식혜(산신령의 장기: 슬슬 가자미 장!~힌죽 장 받아라!)

가자미 식해~생태 식해~오징어 식해...

.회초리(대마무 매, 시누대)를 화로옆에 따끈하게 보관했다

부친이 손시려울까봐 염려했다

 

2.학맥과 인맥

@鉅公名儒(거공명유): 巨儒, 宏儒(훌룡한 유학자의 호칭)

.친구동창: 일두 鄭汝昌, 추강 남효온, 임계 유호인...

.10년간 小學동자(수도승), 30세에 육경을 섭렵(30)

.小學(윤리교과서): 愛親(부모 사랑), 敬長(어른 공경), 忠誠(, 국가), 徒師(스승을 높이고), 親友(벗과 친하게)

.스승을 찿아가다(佔畢齋 金宗直, 함양군수, 1431~1492) 弔義帝文 剖棺斬屍

.1480(성종), 생원시 합격(성균관 입학)

.제자(趙光祖, 金馹孫, 이장곤, 성세창, 김안국...)

.退溪의 칭송 (近世道學之宗, 道學大宗이다...)

.高麗(안향~이제헌)~조선초기(鄭夢周,길재,이색,김숙자)~金宗直

~金宏弼~趙光祖~退溪, 曺植~栗谷~사계 김장생~우암 송시열

*임진왜란 직전에 죽다(퇴계:22년전~율곡:8년전 사망)

 

@戊午士禍(1498, 45): 곤장 80~희천(평안도) 遠方付處 流配

.희천에서 趙光祖(17, 父親: 평북 어천 찰방)를 제자로 만나다

.2년후 순천으로 移配(47), 甲子士禍(1504)戊午黨人(賜死, 51)

 

@金宏弼과 스승(金宗直)과 이별

.친구(추강 남효온)의 기록

(스승 金宗直 이조참판이 조정에 건의함이 없자,

金宏弼이 편지를 보낸다...道學者의 굿굿함이 부족하다)

.스승 金宗直(그래도, 세속에 편승한건 아닐세...)

.당시, 金宗直은 한명회(훈구파)鴨鷗亭에 찬시를 쓸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退溪와 남명 曺植金宏弼, 鄭汝昌을 두둔했다

.과연, 스승과 갈라선 것은 윤리적 배신이 아닌가 ??

(진보와 이념은 현실과 원칙은 다를수 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戊午士禍(1498)

.점필재 김종직(1431~1492)의 제자

.곤장 80~희천(평안도) 遠方付處 유배

.45, 희천에서 조광조(17, 父親: 평북 어천 찰방)를 제자로 만나

.47, 2년후 순천으로 유배지를 옮겨진뒤...사림 대숙청이 시작된다

.갑자사화(1504)戊午黨人으로 극형(賜死, 51)에 죽었다

 

@己卯士禍(1519)

.반대세력(남곤...)에 추증직위를 수정되었으나, 문묘종사가 계속 건의된다(1577. 선조)

 

3.도동서원

@道東書院 사액(가 동쪽으로 왔다)

.한강 鄭逑(예학, 1543~1620, 金宏弼의 외증손)退溪의 주선

한강 정구의 스승(퇴계~남명 조식)

.1568(선조), 현풍 비슬산기슭에 金宏弼을 모시는 雙鷄書院을 세운다

.1604(선조), 賜額書院으로 도동서원으로 변경한다

.186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에서 제외(47)

 

@金宏弼 문묘(서흥 화곡서원, 희천 상현서원, 순천 옥천서원...)

.5대 서원(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아름다운 건축

.1605, 道東書院 건축(북향집), 한강 鄭逑 추가배향(1678)

.은행나무(수령 400)는 외증손자 한강 鄭逑가 심었다

.1855(철종), 입구에 水月樓(2층누각)을 신설하였다

.중정당 기둥에는 한지를 둘러, 위대한 분을 배향했음을 알수있다

.수월루, 좁은 환주문, 중정당, 건인재, 거의재...

.멋진 석조물: 돌 거북머리 석단, 여의주를 머금은 용머리

.細虎(세호, 다람쥐 모형): “비대칭의 대칭

한 마리는 올라가고, 한 마리는 내려오고...

.벽담에 사각형 모형은 제사후 제문을 태우는 공간

.생단(牲檀): 사각 돌기둥 제단은 제사음식 생고기를 검사하는곳

.정요대(庭燎臺): 굴뚝같은 조명시설

.벽화: 설로장송(雪路長松), 눈과 이슬속의 키가 큰 소나무...

강심월일주(江心月一舟), 강속의 달과 한조각의 배...

 

@정수암은 金宏弼이 시묘한것을 기려서 후학들이 세운 사찰이다

(절 뒤편의 등꿍샘은 효험이 좋다)

.金宏弼이 이사오면서 태리산(제산)을 대니산(戴尼山)으로 변경했다

(): 머리에 인다...(): 공니(孔尼)를 뜻한다

孔子님을 머리에 이는것처럼 높이 받드는 산이다

공자는 짱구머리 孔丘(공구)이며, 尼丘山(니구산)에서 출생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Ti-story "늘빛사랑 조흥식"

daum blog "늘빛사랑 조흥식"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