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21.뉴은평라이온스클럽 이둘임 지대위원장 자녀혼례(여의도)
복날의 풍경
복날의 풍경
@복날에는 모여 개를 잡아먹는 게 풍속이다.
정묘년(1747) 6월 1일은 초복이었다.
이날 마침 일이 있어 다음날로 미루어 현곡의 청문당에서 복달임을 하였다.
술이 거나해지자 광지(光之, 강세황(姜世晃))에게 부탁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여 뒷날의 볼거리로 삼고자 하였다.
#유경종(1714~1784)의 강세황 그림 현정승집도(玄亭勝集圖)에 부친 기문
@모인 사람은 모두 11명이었다.
방안에 앉은 사람이 덕조(德祖, 유경종 柳慶種),
문밖에 책을 들고 마주 앉은 사람이 유수(有受, 유경용 柳慶容),
가운데 앉은 사람이 광지,
옆에 앉아서 부채를 부치는 사람이 공명(公明, 유경농 柳慶農),
마루 북쪽에서 바둑을 두는 사람이 순호(醇乎, 박도맹 朴道孟),
갓을 벗은 채 머리를 드러내고 대국하는 사람이 박성망 朴聖望),
그 옆에 앉아있는 사람이 강우(姜佑),
맨발인 사람이 중목(仲牧)이다.
@관례를 하지 않은 젊은이는 두 사람인데
책을 읽고 있는 자가 경집(慶集, 강흔 姜俒),
부채를 부치고 있는 자가 산악(山岳, 유성 柳煋)이다.
대청마루 아래에 서서 대기하고 있는 자는 심부름꾼 귀남(貴男)이다.
이때 장맛비가 막 걷히자 초여름 매미 소리가 흘러나왔다.
거문고와 노랫소리가 번갈아 일어나는 가운데,
술 마시고 시 읊조리며 피곤함을 잊고 즐거움을 만끽하였다.
그림이 완성되자 유경종이 기문을 짓고,
다들 각각 시를 지어 그 아래에 붙였다
@여름철 복날에 개고기를 끓여 먹는 우리 민족의 풍속은 꽤 오래되었다.
조선후기의 세시풍속집 동국세시기에는
“개장국을 먹으면서 땀을 내면 더위를 물리치고 허한 기운을 보강한다”
농가월령가에도 “황구의 고기가 사람의 몸을 보충해 준다”라는 구절이 있다.
다산 정약용도 흑산도에 유배 중인 중형 정약전에게
섬의 개를 잡아 몸을 보신하라는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
@복날을 전후해 서민들은 개고기를 먹고,
시원한 계곡을 찾아 더위를 식혔다.
이를 복달임 또는 복놀이라고 한다.
사대부들도 복달임을 즐겼다.
그러나 이들의 복날 풍습은 서민들과는 조금 달랐다.
개고기를 먹은 것으로 끝나지 않고,
풍류를 즐기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는 시회로 이어졌던 것이다
@영조 23년(1747) 6월 2일(음력)
안산의 문인들이 청문당(淸聞堂)에 모였다.
이날은 마침 초복 다음날이어서 복달임을 하였다.
모임에는 청문당의 주인 해암 유경종과 그의 친척인 유경용(1718~1753),
유성(柳煋), 해암의 매부인 표암 강세황(姜世晃, 1713~1791),
강세황의 두 아들인 강우(1729~1791), 강완(1739~1775) 등이 함께했다
@문인들은 개장국을 끓여 먹으며 술을 곁들였다.
거나하게 술기운이 돌면서 문인들의 풍류가 살아났다.
거문고를 퉁기며 한시나 시조를 읊조렸을 것이다.
흥이 가라앉으면서 참석자들은 독서나 바둑 등
각자의 취미나 흥밋거리를 찾아 시간을 보내기 시작하였다
그때 누군가가 이날의 즐거움을 그림으로 그려 기념하자고 제안하였다.
붓은 그림에 소양이 있는 표암 강세황이 잡았다.
표암은 270년 전 안산 청문당에서 있었던 여름날의 풍경을마치 스냅사진을 찍듯이 되살려 냈다.
오늘날까지 전하는 ‘현정승집도(玄亭勝集圖)’가 그것이다.
그림 속에는 책 읽는 이,
바둑 두는 이,
부채질하는 이,
멀리 바깥을 내다보는 이,
마루 아래에서 대령하는 심부름꾼 등 모습도 다양하다.
거문고와 술병이 뒷전으로 놓인것으로 보아 술자리가 끝난 직후였던 것같다
@강세황이 그림을 완성하자
모임을 주선한 유경종이 그림에 대한 설명을 곁들인 기문을 썼다.
모임의 취지, 진행 과정 그리고 참석자들의 이름뿐 아니라 그들의 자세, 위치도 자세히 밝혔다.
그림 속 인물의 자세를 보며 이름을 적시하고 있어 참석자가 누구인지알 수 있다.
현정승집도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여름날의 풍경을 담은 그림과 함께
시, 산문이 어우러진 풍속화라고 할 수 있다
현정승집도에는 ‘玄亭勝集’이라는 큰 글씨의 제목 아래 그림·기문·시 8편이 차례로 이어져 있다.
원래는 두루마리 상태였는데, 지금은 제목 및 그림 부분과 기문·시 부분으로 분리되어 전한다.
그림과 글씨는 모두 강세황의 친필이다.
@현정승집도에 실린 강세황의 시는
‘정묘년 6월 현정의 승경을 읊다[丁卯六月玄亭勝景]’라는 제목으로 『표암유고』에도 실려 전한다
탁 트인 산 위 누각엔 술잔들이 널려 있고,
졸졸 흐르는 시내가 난간까지 닿았네
거문고 가락 바람 부는 소나무 사이로 아득히 퍼지고
바둑돌 맑은 날에 우박 치듯 그 소리 차갑구나
내키는 대로 시를 읊조리며 다투어 화답을 재촉하고
자세히 그림으로 옮겨 자랑스럽게 돌려보네
촛불을 쥐고 흠뻑 취하는 것 사양하지 말게나
모름지기 흐르는 세월 짧음을 아쉬워해야 하나니
@강세황은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32세에 안산으로 이주하였다.
이곳에서 처가인 진주 유씨의 유경종, 유경용 등과 어울려 지냈다.
성호 이익을 찾아가 학문을 익혔으며,
단원 김홍도를 제자로 받아들여 그림을 가르쳤다.
강세황이 뒷날 시·서·화 삼절(三絶)로 일컬어지며
‘예원의 총수’로 불린 데에는 안산 문인들과의 교유가 뒷받침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정승집도의 배경이 된 안산 청문당은 진주 유씨가 대대로 살아온 집으로,
안산 지역 시인과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특히 이곳은 조선 후기 정치권력에서 소외된 남인 학자들이 모이면서
조선 후기 문예와 실학의 산실이 되었다고 한다.
청문당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으며 경기문화재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이 신갈~안산 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 사이에 끼어 있어
강세황 당시의 그윽한 문향은 찾아볼 수 없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
'지대위원장 동우회(2015-2016)'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112.지대위원장회 신년교례회 (0) | 2023.04.07 |
---|---|
2015-1214.지대위원장회 2015년도 송년의 밤 (0) | 2023.04.04 |
2015-1111.김영일 지대위원장 김밥집 개업 (0) | 2023.03.29 |
2015-1108.지대위원장 워크숍 2일차 (0) | 2023.03.29 |
2015-1107.지대위원장 워크숍 1일차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