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

2012-0610.울산명산악회 북한산 의상봉(성충기)

by 조흥식 2022. 12. 24.

2012-0610.울산명산악회 북한산 의상봉(성충기)

  *2012,6,10 북한산 의상봉코스

  *북한산성 입구~의상봉~용출봉~용혈봉~나월봉~나한봉~문수봉~대남문

 

@성주의 자랑(인물)

*성주 二岡(이강~양강): 동강 김우옹, 한강 정구

 

 

 

 

@성주의 자랑(인물)

*성주 二岡(이강~양강): 동강 김우옹, 한강 정구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의 제자로써 조선중기의 대표적 성리학자

*조선의 마지막 유학자(심산 김창숙의 고향, 파리장서 사건)

추모비는 경남 거창읍 입구에 세워져 있다

*의성 참외, 수박도 유명하다

 

@동강(東岡) 김우옹(조선중기 문장가)

.의성김씨 김우옹(안동부사)은 대동계를 조직한 정여립과 매우 친밀했던

죄명으로 회령에 유배되었다(1589)

.1599년 사직후, 인천~청주로 옮긴후 죽었다

.학문과 정치의 시책에 대해 진언하여 선조의 신임을 얻었다.

.東人이면서도 西人 栗谷을 두둔할 정도로 선학(先學)을 존경했다.

.천군전류(天君傳類)의 가전체를 처음으로 썼다.

.부인의 외조부 조식(曺植)의 문인, 1567년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하였다

천군은 스승 조식이 심성의 원리를 탐구하여 지은 신명사도 神明舍

스승의 뜻에 따라 알기 쉽게 옮겨놓은 것이다.

심성(心性)의 본체를 천군이라 하고, 천군이 다스리는 마음의 나라가

(() 등의 간신과 도둑의 무리들로 인해 타락하다가

(()등의 충신들에 의해 올바른 질서회복 과정을 그렸다.

.청주의 봉계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한강 정구(한훤당 김굉필의 손자, 달성 도동서원)

.병호시비 4인방(학봉 김성일, 서애 류성룡, 한강 정구, 여헌 장현광)

.周易을 통달하고, 퇴계(이황)와 남명(조식)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학문하는 자세와 인격 수양방법은 퇴계(이황)를 닮았고,

.호방한 성품과 원대한 기상은 남명(조식)을 닮았다

.1608(광해군), 대사헌에 등용되었으나, 임해군옥사가 일어났다

.관련자 모두 석방하도록 상소하고 낙향하여 후학양성을 하였다

.예학에 밝았으며, 모든 학문을 통달하였다

 

@울산의 자랑

.반고서원(서원마실)은 포은 정몽주가 유배중에 정자를 지었다

정몽주, 이언유, 한강 정구...문인을 위하여 창건(1712, 숙종38)

.울산의 처용설화(아내의 부정앞에서 춤추면서 노래했던 처용의 혼백)

 

@태화강이 복원되어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하였다

.10리길 대나무밭(Bamboo Rord, Riverside)은 장관이다

.수달이 돌아오고, 백로 3000마리, 겨울철 까마귀떼...

 

@태화루(영남8)

(촉석루, 영남루, 태화루, 영호루 조양각, 연자루, 풍영루, 쌍벽루...)

.울산시는 200억원을 투입하여 태화루 복원을 추진하고 있으나,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옛 관리들의 음주가무를 고적(문화유산)으로 둔갑하려 했던것이다

 

@화장산 화장굴의 桃花설화

.복숭아꽃을 간직한 산, 花藏山(화장산)으로 명명하였다

.바위틈의 샘물(玉泉)이 염천(廉泉: 깨끗한 샘물)이다

.신라왕이 병들자 복숭아꽃이 신령한 약입니다

.추운겨울에 남쪽으로 가면 찿을수 있습니다

.동굴안에 복숭아 한그루에 꽃이 피어있었다

.오두막(동굴)에는 몸가짐이 얌전한 비구니 한명이 있었다

복숭아 꽃이 저입니다

.동행하여 신라왕을 만나, 완쾌되었다

 

@신라 박제상의 전설

.신라 눌지왕의 두 동생이 고구려~일본에 붙잡혀 갔다

.박제상은 고구려에서 담판에 성공하여 왕지를 데려온뒤,

.부인과 딸에게 숨기고 율포에서 일본으로 떠났다

.뒤따라간 부인은 치술령(鴙述嶺 765m)에서 망부석으로 굳는다

.치술신모(鴙述神母), 신모사 사당(당집)을 건립하였다

.높은 바위에서 투신하자 부인은 치조(), 딸은 술조()로 변했다

.은울암은 부녀새(鴙述)가 숨은 바위를 말한다

 

@삼국유사

.부인이 만덕사 남쪽, 긴 모래밭(長沙)에 넘어져 목놓아 울었다

.사람들이 부축해도 일어나지 않아 벌지지(伐知旨)이다

 

@양산 통도사(불보 사찰)에는 부처의 형상이 없다

.자장율사(646, 선덕여왕)유학시절, 청량산에서 수도하였다

.문수보살이 석가여래의 가사와 진신사리를 주면서

신라에 돌아가 절과 탑을 세워라하여 창건한 것이다

 

@부산~양산의 뒷산, 금정산 범어사(金井山 梵魚寺)는 황금색 샘물에

.금빛 물고기 한마리가 오색구름을 타고 내려와 그곳에서 놀았다고 한다

.고운 최치원(신라말)를 쌓고 놀았던 아호, 海運臺로 전한다

.부산 태종대는 신라 삼국통일후 태종 무열왕이 영도에서 휴식하면서

활을 쏘면서 잠시 휴양했던 영도 절벽공간이다

*원주 태종대는 운곡 원천석(스승)을 찿아온 이방원(태종)7일간 쉬어간 곳이다

 

@한국 최초온천의 동래온천의 유래?(잘름발이 할머니)

.들판에 백학 한마리가 절뚝 거리면서 매일 거닐고 있었다

.며칠후에 학의 다리가 완쾌된것을 보고서

.절름발이 할머니가 확인해보니 뜨거운 온천물이 솟고 있었다

.할머니가 물에 다리를 담궈 쾌유했던 것이다

 

@울산대학교 부근 보신탕집 風月莊

.안방 액자(堂犬三年吠風月)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짖는다"

 

@개가죽도 쓸모있다...장구를 만들기 때문이다

.장구는 노루가죽+개가죽으로 만든다

.장구(獐狗)는 국악연주에 필수적인 악기이다

.단양 단종릉이 莊陵(장릉)이다

.눈밭에 노루가 잠들었던 곳에 단종시신을 뭍었지요

 

@혼례(婚禮)와 제사는 저녁에 치뤘다

.혼인할 , 처음에는 혼(,어두울 혼)으로 표기했는데...

여자()가 어두울때 혼인한다에서 유래되어 ()이 되었다

.제사를 밤에 지낸것도 상고 시대부터의 전통이었다

.저녁에 개()을 잡아 불에 그을려서 제사, 음복()시 먹는다

.(그럴 )의 뜻은?...저녁(,)+(,)+(,)

 

@보신탕(개장국, 구장)은 땀, 더위를 물리치기 위해 복()날 먹었다

()”는 먹는 개고기.........“()”은 먹지 않는 개...

.황구(黃狗): , 왕비도 즐겨 먹었다(보신탕 중에도 1등급 고기...)

.흑구(黑拘): 男子에게 좋다고 알려진다

.혜경궁홍씨(정조의 모친)환갑 잔치상에도 구증(삶은개고기)을 올렸다

.며느리가 친정다녀올때 개고기를 선물로 가져왔지요

.()는 평범한 호칭, “()”은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개...

(추적견, 마약견, 수색견, 맹인 안내견, 경계견...)

 

@만주 개장사 이야기도 전해내려온다

.독립 열사들이 비밀 회동시, 마을 입구마다 견()을 배치하여

.일본군의 마을 출입및 방향을 짓는소리로 사전에 알수있었다

도피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거지요

 

@토사구팽(한신은 1등 공신이었지만, 처형된다)

., 범려는 구천왕을 도와 나라를 공격후, 멀리 떠나면서

문종(승상)에게 편지를 남겨...문종은 훗날 처형되지요

 

@애완이란? 가까이 두고 다루며 즐긴다...

.애완동물의 의미도 비슷한 의미이다

.친구, 동료, , 벗이라는 뜻의 반려동물로 불러도 된다

.1983년 스위스 빈에서 인간과 동물의 관계 심포지움에서

.처음 반려동물이란 용어가 제안된것이다

.서로 마음을 나누고 소통함이 반려이다

.애완동물의 대명사는 강아지이다

 

7.나라 건륭제의 大將軍() 칭호를 하사하다

@나라 건륭제는 전문경 병문안을 갔을때 개가 왜 사납냐?”고 물었다

公職者들의 人事請託~뇌물수수가 많은지라”...

개를 교육시켜...官服입은 公職者만 집에오면 물어라교육했다

그 이후, 청탁자들은 개가 무서워, 出入을 못했습니다”...

.忠犬도 검은관에 입관한 황제는 大將軍칭호를 내렸다

.개가 무서워 조문객도 없었다...전문경의 遺言으로 독살시켰는데...

.유통훈은 을 싣고 다닌 청백리(청나라 건륭제 명신)

.정적이 세워준 고향의 기와집을 허물었다(탐관오리로 평가받을까 염려)

 

@황희 정승의 큰아들의 대궐집 공사를 본후... 대문을 잠근다(반성시킨다)

여기는 큰 대궐이 아니다, 잘못 찿아 오셨군요...”

 

@이숍우화(욕심많은 개산

.고기 덩어리을 횡재한 운 좋은날, 돌다리를 건너던 중이었다

.물속에 비쳐진 고기 덩어리를 착각하여

.더 큰고기를 잡기위해, 고기 덩어리를 놓쳐버린다

 

@昌寧성씨(창녕)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 ~ 1456) *사육신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예기대문언두(禮記大文諺讀)”를 편찬하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았다

.1442년 박팽년, 신숙주, 하위지, 이석정 등과 함께 동문수학을 하였다

삼각산 진관사(津寬寺, 의상봉 아래)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한글창제를 위해 정음청(正音廳)에서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강희안, 이개...함께 요동(遼東)에 유배된 한림학사(翰林學士)

황찬에게 13번이나 내왕하여, 음운(音韻)을 질의하고,

다시 명나라에 건너가 음운 연구를 겸하여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

1446929일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케 했다

 

@성삼문이 출생할 때 보이지 않는 道人이 문 밖에서 물었다

아기를 낳았느냐?” “아직 안 나왔습니다

.잠시 후 이제 아기를 낳았느냐?”...“아직도 아닙니다

.道人지금이라도 낳아야 부귀복록한 재상이 될텐데...”

.한참 후에 道人이 세 번째 물었다 아기를 낳았느냐?”

.산모가 대답하였다 , 방금 아들을 낳았습니다

.道人은 고개를 저으면서 사라진다 生時가 틀려 안타깝구나...

이름은 靑史에 빛나지만 子孫이 끊겨지니, 참으로 안타깝구나

.道人이 세 번 물었을때 아기를 낳았다해서 成三問이다

 

@성삼문의 호는 梅竹軒이다

.중국에 사신단으로 갔을때 를 한수 지었다

.시제를 그림액자에 적어넣을 畵題(화제)를 요구해 왔다

.그림은 보여주지 않고, 백조라고만 알려주는것 아닌가...

.成三問은 단숨에 붓을 들었지요

구름으로 옷을 만들고, 옥으로 발을 만들었도다...

먹이를 찾아 갈대있는 물가를 찾아 얼마나 기울였던고?”

.액자를 열고 그림을 보여주는데, 묵화(흑백)가 아니가?

.구름으로 옷을? ...으로 발을? ...몹시 당황했지만 계속 써나간다

우연히 산음현을 날아 지나가다가 그릇되어

왕희지(동진시대, 서예가)의 벼루씻은 연못에 떨어졌도다

(산음현: 왕희지가 벼루를 씻어, 연못이 검게 되었다)

.기막힌 재치로 응수하자, 엎드려 절을 해온것이다

 

@1903, 충남 연기군 금남면에 성삼문을 제향한 문절사를 세웠는데,

.생전에 머물지도 않았으나 입향한 창녕성씨들의 활동 때문이다

 

@의상봉(북한산, 삼각산) 아래 진관사는 조선시대 고시촌이다

.박팽년, 정태화등 많은 선비들이 과거시험 공부를 했던곳이다

.고려 진관대사가 대량원군(현종)를 숨겨준 사찰으로

훗날, 현종이 중창하여 지금에 이른다(, 비구니 사찰)

.뒷편에는 비봉이 있다(김신조 침투로)

 

 

 

늘빛사랑 조흥식

010-3044-8143

0204mpcho@hanmail.net

매일밤 돼지꿈을 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