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25 2013-1122.제1지역 합동월례회 2013-1122.제1지역 합동월례회 *김은희 지역부총재, 남산 제이그랜 하우스 *탕평채(蕩平菜)란 무엇인가? 탕평채(蕩平菜)란 무엇인가? 각색(各色)의 묵을 섞어서 버무린 것인데, 영조의 탕평을 기리기 위하여 만들어진 음식이다. 탕평옷, 탕평띠, 탕평갓, 탕평부채도 있다. 그러나 둘이 같은 의미는 아니었던 모양인가보다. 아랫글은 임성주가 송문흠에게 보내는 편지에 수록된 것으로 영조의 탕평을 비판하는 상소에 넣을 조목으로 작성된 글이다. @근래 탕평 두 글자는 바로 저잣거리의 노랫가락이 되고 말았다. 소 모는 아이나 말 끄는 군졸이라도, 말이 조금이라도 애매하여 이쪽도 옳다 하고 저쪽도 옳다 하거나, 둘 다 그르다고 하면 곧장 탕평이라고 지목하여 한바탕 웃음거리로 만들었다. 심지어 옷에도 탕평이 있고, .. 2023. 1. 23. 2013-청운산악회 북한산(독바위) 2013-1110.청운산악회 북한산(독바위) 初心, 自笑, 識見을 기르는 讀書 (초심을지킨다면, 내자신이 우스워, 책읽기와 글쓰기) 初心을 지킨다면... @성호 이익(李瀷 1681~1763), 동시도습(東詩蹈襲) (流水喧如怒 高山嘿似嗔 兩君今日意 嫌我向紅塵) “흐르는 물은 노한 듯 시끄럽고 높은 산은 화난 듯 말이 없네 저 둘이 오늘 보이는 행태는 속세로 가는 내가 싫어서이리” @원감(圓鑑) 위원개(魏元凱)는 누구인가? .고려 고종시절,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한림에 이르렀고, 훗날, 출가하여 법명을 충지(沖止)라고 하였다. .중이 되었다가 어머니의 권유에 의해 환속하였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 다시 승려가 되었다고 한다. .이 시는 아마도 다시 환속할 때의 심사를 읊은 듯하다. *고려(高麗) 때의 문사(.. 2023. 1. 23. 2013-1103.필운대(인왕산,북악산) 2013-1103.필운대(인왕산,북악산) 객주(김주영)을 읽고, 필운대와 인왕산과 북악산 객주(김주영)을 읽고, 필운대와 인왕산과 북악산 @34년만에 객주 10권 완간(소설가 김주영)의 배경 *일본 경영의 신(神)으로 불리는 마스시타 고노스케(1894~1989) 3가지 성공 열쇠에 대한 내용... 첫째 가난하게 태어난 것, 둘째 허약하게 태어난 것, 셋째 초등학교 4학년에 중퇴한 것. *김주영의 성공 열쇠에 100% 시초 3가지의 조건이 소설가 김주영의 뿌리가 되었다 @객주(소설가 김주영) *배경은 조선후기 보부상들의 파란 만장한 삶의 애환과 설움을 다룬 국내 상인중심의 첫 소설이며, 근대 상업자본의 형성과정을 표현한 밑바닦 서민이 주인공이다 당시 9권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되었다(1979~1984년 어간,.. 2023. 1. 23. 2013-1103.종로상공회 가을운동회 2013-1103.종로상공회 가을운동회, 경기상고(종로구 청운동) 직하학궁(전국시대) 직하학궁(전국시대) @CCTV 백가강단(왕리췬 교수)에서 중국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기(사마천)중에서 중국최초로 천하통일의 업적을 이룬 약550년간 춘추전국시대를 마감하고 위대한 제국을 건설한 전무후무한 천고일제를 존경하는 의미로써 재조명을 하고있다 *진시황제는 중국 황제중에서 위대한 폭군이기 때문이다 중국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영웅이며 아방궁, 진시황릉, 문자통일, 분서갱유 등 국직한 사건이 많았다 @직하학궁의 150년 역사(bc374~221)를 되돌아 본다면 *동양 최초 싱크탱크 집단이었던 "직하학궁"은 제나라(도성: 임치)의 학술 연구기관으로 제자백가 사상의 교류, 융합의 성과물이다 @진시황은 중국민.. 2023. 1. 23. 2013-1102.지구 가을산악회(2013년도) 2013-1102.지구 가을산악회(2013년도 안의규 총재) *가평 호명산(호명호수) 마의상서(麻衣相書, 송 전약수), 관상학을 배우다 마의상서(麻衣相書, 송 전약수), 관상학을 배우다 @송(宋)나라 전약수(錢若水)가 과거 공부에 열중하던 젊은 시절에 화산(華山)에서 마의(麻衣)를 입은 한 도사를 만났다. 이 도사가 전약수를 한참 보더니... *驊騮開道 鷹隼出風 急流中 勇退之人也 “준마를 타고 길을 달려가듯 출세의 길을 거침없이 내딛는 형세요, 솔개가 바람을 타고 하늘에 솟아오르듯 벼슬길에 순탄하게 승진하고 거침없이 발전하는 형상이지만, 그 권세가 급물살을 탈 때에 용감하게 은퇴하는 사람이다" 라고 하였다. 전약수는 과연 벼슬길에 올라 40세에 추밀부사(樞密副使)가 되고 사람들의 흠앙을 한 몸에 받았지만.. 2023. 1. 22. 2013-1031.도봉산(오봉산) 2013-1031.도봉산(오봉산) *남명(조식)의 智異山 遊覽(유람) 남명(조식)의 智異山 遊覽(유람) @1558년 여름(명종13), 南冥 曺植은 제자들과 지리산을 유람하였다 “좌퇴계 우남명” 이황과 함께 16세기 대표 사림파 학자로써 경의(敬義)를 사상의 핵심으로 학문의 실천에 주력하였다 .2012년, 지리산 둘레길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274km) .지리산은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불려왔고, 최초의 국립공원이다 .남명(南冥) 조식(曺植)은 10번 이상 지리산을 다녀왔고, 말년에는 지리산 천왕봉이 보이는 산천재(山天齋)에 거처를 잡았다 그의 묘소 또한 지리산 자락에 있다 @450년전, 지리산 기행문 “유두류록(遊頭流錄)”을 남겼다 “가정(嘉靖) 무오년(1558) 첫 여름, 진주 목사 김홍(金泓) 홍.. 2023. 1. 22. 이전 1 ··· 457 458 459 460 461 462 463 ··· 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