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389

2021-0221.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3일차, 러브랜드 관광(2021,2,19~2,21) 2021-0221.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3일차, 러브랜드 관광(2021,2,19~2,21) 역관(譯官) 홍순언 역관(譯官) 홍순언 @조선중기, 역관 홍순언(洪純彦:1530~1598)의 아름다운 인연 .譯官이란? 朝鮮시대 외국어 통역하는 관리(통역사)를 말한다 .朝鮮 외국어 전문 교육기관인 사역원(司譯院)에서 역관을 양성했다 .사역원은 4대 外國語(중국어, 몽골어, 만주어, 일본어)를 배웠다 “한학청(漢學廳), 몽학청(蒙學廳), 청학청(淸學廳), 왜학청(倭學廳)" .사역원의 연혁과 주요 역관의 행적을 기록한 책도 전해온다 “통문관지(通文館志)”는 숙종시절, 사역원의 역관 김지남(金指南)과 그의 아들 김경문(金慶門)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책으로, 外交 및 譯官 담당 관청인 사역원의 연혁과 관제(官制), 고사.. 2024. 1. 23.
2021-0221.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3일차(2021,2,19~2,21) 2021-0221.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3일차(2021,2,19~2,21) 애주가(손수효~연암 박지원) 애주가(손수효~연암 박지원) @성리학자 손순효는 글재주, 인격, 겸손...나물랄데가 없었으나, .술을 좋아하는 단점 때문에 계주령(戒酒令)경고를 받았다 “하루에 3잔 이상은 삼가라” 어명이 떨어졌다 .성종(조선)은 중국국서를 작성하기위해 손순효를 불렀는데 취한 모습으로 “큰사발로 3잔만 마셨습니다” 변명했지요 몹시 취했으나, 붓을 잡자마자 명필솜씨는 여전했다 .술을 절제토록 경고, 은술잔을 하사한다 “은잔으로 1잔이상은 삼가라” .며칠후, 성종은 “왜 취했느냐?” 질타했는데... .은잔을 크게 개조하여, 독주를 1잔 가득마셔 취한것이다 .성종은 은장(銀匠)한 술잔을 보고난 뒤, “은잔의 조화가 크도다,.. 2024. 1. 23.
2021-0220.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2일차(2021,2,19~2,21) 2021-0220.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2일차(2021,2,19~2,21) 北漢山과 한양 동네이야기 北漢山과 한양 동네이야기 @개성(송악산)에서 漢陽을 바라볼때 뫼산(山) 모형이라 三角山이다 .開城 송악산의 정동은 襄陽과 雪嶽이다(高麗) .漢陽 삼각산의 정동은 강릉 正東津이다(朝鮮) @양양(襄陽)과 雪嶽山, 동해(east sea)의 유래? .東洋~세계 대륙에서 제일 먼저 해뜨는 마을이 襄陽이다 그래서, 동해(east sea)로 불러왔던 것이다 .襄陽은 중국 지명(호북성 연안)으로 “해가 높이 떠오르는 고장”이다 .이성계는 襄陽을 양주라 불렀으며 외가마을이라 “府”로 승격시킨뒤, “도호부”로 칭하여 江陵과 어깨를 견줄 정도였다 따라서, 조선초기에는 江原道를 “원양도~강양도”로 불렀던 것이다 .雪嶽山은 백두.. 2024. 1. 23.
2021-0219.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1일차(2021,2,19~2,21) 2021-0219. 총장단회 제주워크숍 1일차(2021,2,19~2,21) 술친구 김시습(金時習)을 보내며 술친구 김시습(金時習)을 보내며 @홍유손(洪裕孫), 김열경 시습에 대한 제문(祭金悅卿時習文) .梅月堂 김시습(金時習),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 .방외인(方外人)들은 노장풍(老莊風)의 멋을 풍기며 저자거리의 술집을 거침없이 누비고 다녔다. .홍유손(洪裕孫)은 제문에서 유(儒)ㆍ불(佛), 승(僧)ㆍ속(俗)의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들었던 김시습의 일생을 회상하면서 술친구를 마지막 보내는 절통한 심정을 잘 표현하였다. .김시습이 거짓으로 가득한 세상이 싫어서 하늘나라로 훨훨 날아가서, 절친한 벗 남효온과 함께 혼탁한 세상을 굽어보며 손뼉을 치면서 껄껄 웃을 것이라 하였다 @조문을 하지 못하노..... 2024. 1. 23.
2021-0220. 안상호 지구발전위원 자녀혼례(역삼역 상록아트홀) 2021-0220. 안상호 지구발전위원 자녀혼례(역삼역 상록아트홀) 연산군~중종반정(문정왕후)~조광조(기묘사화) 연산군~중종반정(문정왕후)~조광조(기묘사화) @자질이 촉명치 못하고 시기심+모진 성품+방탕으로 12년간 사화분쟁... .士禍란?...士林의 禍이다...훈구파는 집요하게 사림파 피바람을 부른다 .지방사회 형성의 영남사림파...김종직(홍문관,사간원,사헌부/언론3사) .세조~예종~성종은 정계등용하여 훈구파를 견제한다 .훈구파(집권세력)를 비판하여 대립하는데... @戊午士禍(무오년, 1498년)...김종직을 부관참시한다 .이주돈(훈구파 핵심)은 성종실록 실록작성에 불안(상중에 음주여색) .김일손(史官, 士林파/김종직의 제자)은 이주돈 협상을 거절하여 암투 .이주돈은 불리하자, 유자광을 시켜 김일손의 .. 2024. 1. 23.
2021-0218.제6지역, 제7지역 회의(간담회, 김홍구, 박미현 지역부총재) 2021-0218.제6지역, 제7지역 회의(간담회, 김홍구, 박미현 지역부총재) 영조,사도세자(한중록),정조(화성) 영조,사도세자(한중록),정조(화성) 1.영조(마음에 없는 전위소동) @生死, 內外, 好惡, 愛憎...거칠고 변덕이 많고, 정에 인색했다 “임금 노릇을 그만하리라” 통영궁으로 퇴궐(현, 한국은행) .평소 화를 자주내는 변덕스러움 @1761, 봄...좌~우~영의정 3정승이 모두 죽는다(1762, 사도세자 죽음) .영의정 이천보 유서 “제발, 화를 그만 내소서...” .음주자를 엄한 처벌, 병마절도사 참수형(금주령 위반) .1766, 각질병(피부병)...솔잎차(누룩차, 술)를 권하지만... ;홍봉한의 반대 이유는 화, 변덕이 더욱 심해질 것을 우려... @1752, 12월(사망 10년전), 출궁..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