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운산악회53

2013-0105.청운산악회 2013년도 새해맞이 산행 2013-0105.청운산악회 2013년도 새해맞이 산행 *2013,1,5 북한산 영하8도(구기동, 사모바위, 대남문, 청수장) *뒷풀이: 남구현 대표 후원(장작 오리바비큐) *고사관수도(강희안, 물과 바위) 물~바위(강희안, 고사관수도) @강희안(1417~1464 진주강씨)의 “고사관수도” .高士觀水圖 고요한 그림(고결한 선비가 물을 바라보는 그림)이다 .선비의 讀書는 하루 일과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강희안의 號는 仁齊(인제: 어진이의 書齋)이다 .風流와 文章으로 이름난 명문가 출신으로 집현전 직제학을 지냈다 세종대왕의 처조카(父親: 세종의 동서지간), 세조의 이종사촌 父親과 함께 당대 詩書畵의 三絶(삼절)로 일컬어졌다 .1456년, 死六臣 사건에 연루되어 세조의 국문을 받았다 .사헌 신석조의.. 2023. 1. 4.
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水落山의 유래? .비온뒤 물이 계곡에 고이지 않고 낙수물처럼 떨어져 빗물이 지체없이 흘러 버린다는 뜻이다(계곡에 물이 없다) .수락산에는 정재 박태보와 남계 박세체를 모신 노강서원과 박세당 古宅이 있으며, 梅月堂 김시습과 인연이 많은 곳이다 .동쪽편 계곡 靑鶴洞의 풍광은 비교적 수려한 편이다 @鷺江書院(박태보, 박세채)의 유래? .서계(박세당)의 2째아들(정재 박태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남계 박세체를 배향한 賜額書院으로 정조가 내린 懸板이다 .현, 박세당 고택은 韓國動亂(6.25)에 소실되어 최근에 재건하였다 .한때, 梅月.. 2023. 1. 4.
2013-0105.청운산악회 북한산 2013-0105.청운산악회 북한산(사모바위) *八王之亂(팔왕의 난) 팔왕의 난(서진시대) @전란에 참가한 8명의 왕 1)여남왕(汝南王) 사마량(司馬亮):선제 사마의 5남, 무제 사마염의 숙부 2)초왕(楚王) 사마위(司馬瑋): 무제 사마염의 5남 3)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 선제 사마의의 9남, 무제 사마염의 숙부 4)제왕(齊王) 사마경(司馬冏): 제헌왕 사마유의 아들, 무제 사마염의 조카 5)장사왕(長沙王) 사마애(司馬乂): 무제 사마염의 16남. 6)성도왕(成都王) 사마영(司馬穎): 무제 사마염의 6남. 7)하간왕(河間王) 사마옹(司馬顒): 안평헌왕 사마부의 손자, 무제 사마염의 6촌 8)동해왕(東海王) 사마월(司馬越): 사마욱의 손자, 무제 사마염의 6촌. 고밀문헌왕 사마태의 차남, *사마의:.. 2023. 1. 4.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눈구경) *2023,2,2(일) *입춘에 함박눈이 내리면, 풍년이 온다고 전해옵니다 *11명(이의양, 조흥식, 희서공주, 남구현, 이석철, 정숙희, 채수아, 김천숙, 장정금외 1명) *거창 수승대(추송대), 거창신씨 愁送臺~搜勝臺(거창신씨) 1.수승대(搜勝臺, 거창, 안의현 유래?) @최초명칭: 수송대(愁送臺): “근심을 떨쳐 버린다” 사신들의 환송잔치 .小論들의 반란(영조): 함안(이인좌)+안의(정희량) .동계 정온(정희량의 祖父):은 살아남아, 혼맥으로 가문을 유지한다 .해우소(解憂所): 근심을 풀어 버리다(화장실) .백제~신라 사신들의 환송잔치로 위로하는 공간이다(넓은 바위) @1543년, 退溪(이황)가 영승마을에 온다는 기별이 왔다 .신권은 요수대에 조촐한 주.. 2023. 1. 3.
2012-1111.청운산악회 북한산 단풍구경 2012-1111.청운산악회 북한산 단풍구경 *북한산 구기동계곡, 장모님 해장국 *약속과 신뢰 약속(신뢰) @諸葛孔明(제갈공명)의 약속이행 .제갈공명은 兵士들과 陣中 약속을 지켜 勝利를 하게 되었는데, “10명중 2명은 陣中휴가”의 약속을 蜀漢의 참모들은 한결같이 반대했으나, 제갈공(8만명)은 信義때문에 기산에서 사마중달(魏)의 大軍과 激戰중이었다 “戰鬪에서 勝利했다 하더라도, 信義를 지키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고 강조하면서 戰鬪중의 병사들의 福祉 약속(휴가)을 지킨것이다 .결국, 병사들이 자진하여 휴가를 반납하고 전투에참여로 勝利하였는데, 탁월한 統率力으로 동기를 부여한 제갈공의 신의는 승리의 약속이었다 @진문공(晋, 春秋時代)이 원(原)이라는 城을 공격할 때, “10일 작전(10일분 식량 준비)으로 .. 2023. 1. 2.
2012-0708.청운산악회 수락산 2012-0708.청운산악회 수락산 허백정 홍귀달, 성현(마음을 비워라!) 허백정 홍귀달(마음을 비워라!) @허백정(虛白亭), 텅빈마음을 길상(吉祥)한 빛으로 채웠다 .홍귀달(홍겸선 1438~1504)에게 허백정(虛白亭)정자에 써준 글이다 .친구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 1439~1504)의 名詩이다 성종(成宗)시절, 남산기슭에 단칸의 작은 초옥(草屋), 1칸집 “장자(莊子), 어찌하여 밝다 하지 않고 환하다 하였는가? 이 집에 누우면 999칸의 사색을 하고도 공간이 남는다 @虛白亭(허백정) .텅 빈 마음에 빛이 생기나니 아침 햇살이 작은 창에 비쳐들면 어둑하던 방안이 밝아지면서 환한 빛줄기 속에 부유(浮遊)하는 먼지들이 보인다. .어둠 속에서는 숨어서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 마음도 지혜의 밝은.. 202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