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2013-0106.청운산악회 수락산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로강서원(박세강, 박태보, 박세채), 윤증(명재), 김시습(매월당) @水落山의 유래? .비온뒤 물이 계곡에 고이지 않고 낙수물처럼 떨어져 빗물이 지체없이 흘러 버린다는 뜻이다(계곡에 물이 없다) .수락산에는 정재 박태보와 남계 박세체를 모신 노강서원과 박세당 古宅이 있으며, 梅月堂 김시습과 인연이 많은 곳이다 .동쪽편 계곡 靑鶴洞의 풍광은 비교적 수려한 편이다 @鷺江書院(박태보, 박세채)의 유래? .서계(박세당)의 2째아들(정재 박태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남계 박세체를 배향한 賜額書院으로 정조가 내린 懸板이다 .현, 박세당 고택은 韓國動亂(6.25)에 소실되어 최근에 재건하였다 .한때, 梅月..
2023. 1. 4.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
2013-0202. 청운산악회 도봉산(눈구경) *2023,2,2(일) *입춘에 함박눈이 내리면, 풍년이 온다고 전해옵니다 *11명(이의양, 조흥식, 희서공주, 남구현, 이석철, 정숙희, 채수아, 김천숙, 장정금외 1명) *거창 수승대(추송대), 거창신씨 愁送臺~搜勝臺(거창신씨) 1.수승대(搜勝臺, 거창, 안의현 유래?) @최초명칭: 수송대(愁送臺): “근심을 떨쳐 버린다” 사신들의 환송잔치 .小論들의 반란(영조): 함안(이인좌)+안의(정희량) .동계 정온(정희량의 祖父):은 살아남아, 혼맥으로 가문을 유지한다 .해우소(解憂所): 근심을 풀어 버리다(화장실) .백제~신라 사신들의 환송잔치로 위로하는 공간이다(넓은 바위) @1543년, 退溪(이황)가 영승마을에 온다는 기별이 왔다 .신권은 요수대에 조촐한 주..
2023.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