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늘빛사랑 조흥식296

2014-팔마포럼 창립총회 2014-0416.팔마포럼 창립총회(용산 이조한정식) *鳸麟 일본청주(호린, 꽃피는 춘삼월), “파랑새 호, 기린린” 鳸麟(호린, 꽃피는 춘삼월), “파랑새 호, 기린린” @4월 초순에 봄꽃이 한꺼번에 피어 세월의 순서가 혼란스럽다 *어제 아침(2014.4.16.수) 진도앞바다에서 여객선이 침몰하여 수학여행 안산고교 학생 약290여명이 실종되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철쭉과 연산홍이 동시에 피었네! 일본 관서지방은 한국보다 계절의 흐름이 약 1개월이 빠른데 한국도 비슷한 지경이 되어버렸다 花鬪에서 4월(흑사리)는 초여름을 알리는 등꽃을 말한다 꾀꼬리가 울면 우리도 여름을 맞이해야 한다 @신광한(申光漢, 1484~1555) “청명과 한식 그리고 삼짇날까지 좋은 명절 연이으니 객흥이 진진하다 이 늙은이 풍류가 .. 2023. 1. 29.
2014-0306.팔마포럼 출범식 2014-0306.팔마포럼 출범식(용산 이조한정식) *肉斬骨斷(육참골단) 肉斬骨斷(육참골단) @2014년은 靑馬띠로 알려져 온다 *肉斬骨斷(육참골단)이란? 전국시대 전기 장군과 책사 손빈이 戰鬪力이 弱한 말 3마리로 강적을 이긴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결정적인 勝利를 위하여 가장 약한 말을 출전시켜 상대편 최강수준 말과 싸우도록 作戰을 세워 패하도록 한뒤, 중간 수준의 말은 상대의 하급 수준과 싸우게 하여 승리하고, 가장 강한 말을 투입하여 상대방의 중간 수준의 말과 겨루게하여 1敗 2勝으로 逆轉勝을 거두는 묘책에서 말3마리 戰術戰略에서 멋진 敎訓을 얻을수 있다 *“나의 살을 조금 떼어주면서 적의 뼈를 자른다”는 지략으로 두 마리가 이기는 전략이다 바둑에서도 死石작전이 있으니 말이다 @靑馬는 五行思想에서 .. 2023. 1. 29.
2014-0222.덕유산(무주구천동, 덕을 품다) 2014-0222.덕유산(무주구천동, 덕을 품다) *2014.2.22.토.09:00~덕유산 향적봉(설천봉) *德裕山(덕유산, 1614m)과 알프스3대 북벽 *그때는 몰랐네, 예지몽의 시구를(남용익) 德裕山(덕유산, 1614m)과 알프스3대 북벽 그때는 몰랐네, 예지몽의 시구를(남용익) @덕유산은 德을 넉넉하게 품을 산이다 .무주리죠트(곤도라)~설천봉~향적봉(정상)~백련사~무주구천동(6시간) .容恕(용서)와 易地思之(역지사지)의 덕유산인 셈이다 “자기를 容恕하는 마음으로 남을 容恕한다”는 의미이다 흔히 자신한테 寬大(관대)하지만 남에게는 野薄(야박)한 것이다 .孔子에게 子貢(자공)이 질문을 하였는데, “한마디 말로 목숨을 다 할때까지 행할수 있는 것이 있습니까?” .공자의 대답은 “아마도 恕(서)일 것이다.. 2023. 1. 28.
2014-0208.도봉산 2014-0208.도봉산 *내가 주인이다! 내가 주인이다! @止亦吾止耶(행역오행 이지역오지야) “가는 것도 내가 가는 것이요, 멈추는 것 또한 내가 멈추는 것이로구나” *유신환(兪莘煥 1801~1859): 문신, 학자 평생을 학문과 후진양성에 매진하고, 시무(時務)에 밝아 조선의 문제점이 군역제(軍役制)와 서얼금고(庶孼禁錮)의 폐단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개혁을 주장하면서 조선 후기의 실학적 전통을 계승하였다 창문, 지팡이, 그릇, 책상, 의관, 신발 등 생활주변의 사물 12가지를 보며 평소 깨달은 내용을 서술한 것이 연거십이명(燕居十二銘)이며, 그중 하나가 신발(履)이다. @신발이여 “네가 있으면 내가 가고, 네가 없으면 내가 멈추니 나는 너를 기다려 가고 멈추는 것인가 내가 가면 너도 가고 내가 멈추면 .. 2023. 1. 28.
2014-0201.춘천 검봉산과 삼악산 2014-0201.춘천 검봉산(등선)과 삼악산 *1박2일: 2014,2,1~2,2 *차르 大帝 차르 大帝 1.러시아 최초 차르(黃帝) 이반4세(1530~1584) .죽음의 皇帝~피의 行進, 자기의 손으로 아들을 죽였다 .1581년(사망4년전), 임신중인 太子妃가 입었던 옷이 정숙하지 못한 사소함 때문에 진노하여 며느리를 발로 걷어차 사산으로 죽고, 뛰어나와 말리던 아들은 휘두른 지팡이에 맞아 5일후 死亡한다 .別稱은 뇌제(雷帝), 가장 잔인하고 혐오스럽고 무서운 君主이자, 유능하고 강력한 統治者이다 .러시아를 대영토를 확장시켜 帝國으로 탈바꿈시킨 군주이다 2.잔인한 品性은 성장과정과 가난신고 때문이었다 .父親(바실리3세)은 3세에 죽었다(1533년) .母親(엘레나)가 막후정치(수렴청정)하던중 8세에 죽는.. 2023. 1. 28.
2014-0119.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 2014-0119.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 *密陽아리랑, 점필재 김종직 密陽아리랑, 점필재 김종직 1.점필재 김종직((1431~1492, 밀양) @사림정치의 선구자 (1431~1492. 세종~세조~예종~성종) .父親은 정몽주, 길재의 弟子(유학의 대가), 영남사림파의 宗匠(종장) .종택과 사당(고령 쌍림면)은 5대손 김수휘(1651, 효종2)가 건립하였다 .김종직의 생가(추원재 追遠齋), 묘소 복원하였다(1810, 순조) .쌍수정(터)에서 제자양성: 예림서원(업적과 학풍을 사림에게 교육) @김종직의 사림정치 위기 .수양대군의 큰아들(의경세자)은 세자책봉후(2년후) 사망한다 둘째아들(해양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예종(8대, 1450~1469, 19세)~1년2개월후 사망(후손: 제안대군, 4세) .자을산군(.. 2023.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