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재갑총재(2020-2021)389

2020-1230. 2020년도 종무식(성과분석회의) 2020-1230. 2020년도 종무식(성과분석회의) 懷尼是非(회니시비)와 계파싸움 懷尼是非(회니시비)와 계파싸움 1.歷史속의 라이벌 “우암 송시열(宋時烈) vs 명재 윤증(尹拯)” @회니시비(懷尼是非)란 무엇인가? .西人의 영수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제자 윤증(尹拯)의 대립사건이다 .송시열은 회덕(懷德, 대전 동쪽마을)에 거주하였고, .윤증은 이성(尼城, 논산 노성면)에 살았기 때문이다 @회니시비는 朱子學 도통주의에 입각하여 政局을 운영하려 했던 老論계 .이런 경직성을 비판하고 現實政治를 운영하고자 했던 小論계의 대립이 송시열과 윤증 간의 감정과 얽혀 일어난 사건으로 전개되었다 .훗날, 老論~小論은 경종~영조~정조까지 이어지며 격렬히 대립한다 .老論이 勝利하면서 老論일당의 전제 政治體制로 굳어진 것이.. 2024. 1. 20.
2020-1228. 김재홍 직전총재 장인상 2020-1228. 김재홍 직전총재 장인상(건국대병원) 張禧嬪(숙종의 女子) 張禧嬪(숙종의 女子) @장희빈(張禧嬪 ?~1701, 장옥정, 仁同張氏/인동장씨) .조선 4대미인은 어우동, 장록수, 장희빈, 황진이(현대판 미인은 김지미) .母親(윤씨)은 中人출신으로 賤人신분(조사석 집안의 여종)이었다 윤씨의 情夫(조사석), 돈을 주고 여종의 신세를 탈피하였다 .삼촌(장현)은 역관출신(中人)으로 國中의 巨富로 숙종실록에 적혀있다 .庶女출신(賤民계급)은 어머니신분에 따르는 법(從母法)에 적용되었다 .장안의 최고부자 장현(삼촌)의 슬하에서 유복한 가정에서 성장하여 南人의 추천으로 入宮하여 자의대비전의 나인으로 데뷔하였고, 숙종의 성은을 입고, 희빈~왕비까지 오른 입지적인 인물이다 @오빠 장희재의 묘(일산)에는 屍身.. 2024. 1. 20.
2020-1225. APPLC 이윤희 회장, 경복궁LC 강신우 회장 송년오찬 2020-1225. APPLC 이윤희 회장, 경복궁LC 강신우 회장 송년오찬 *한우장터(신설동역 12번 출구) 과거제도(조선) 과거제도(조선) @조선시대는 과거제도를 확대시행한 정부이다 .과거시험은 고려(광종9년, 958)부터 시작되었다 중국인(쌍기)가 건의하여 채택된 관료출신의 등용문이다 .갑오경장(~1894,7월) 이전까지 약 1000년간 이어진 제도이다 .唐나라는 확대 시행하고 宋나라때 완성된 제도이다 .시험제도는 영국(1870~), 프랑스 혁명(1789~)이후 적용되어 평민의 정치 참여의 기회가 부여되어 귀족사회가 종료된다 .근대적 관리란? 직업성과 전문성으로 행정업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귀족제도란? 가문출신 위주로 자동 승계되는 제도를 말한다 .신라 귀족이란? 범왕족 계열(진골) .고려는 귀족제도.. 2024. 1. 7.
2020-1221. 2020년도 성과분석회의 2020-1221. 2020년도 성과분석회의 고려시대 반란(정중부, 묘청, 이자겸) 고려시대 반란(정중부, 묘청, 이자겸) @묘청의 난(1135년, 고려 인종13) .묘청이 조광(趙匡), 유참(柳旵)...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고려는 생산력 발전, 정치와 사회 구조가 변화, 농업생산 증진으로 잉여축적이 가능해지고 계층간의 분화가 심화되었다. .권력과 부를 계속 누리려는 특권 귀족세력과 신흥세력의 갈등이다 @이자겸의 난(1126년)으로 외척권세가 이자겸이 제거된 이후, .중앙정계에는 김부식(金富軾)을 대표로 개경 중심의 문벌귀족은 유교를 정치이념, 학문으로 받아들여 합리적 정치운영을 지향하는데, 성격은 보수적이고 사대적이었다. .문벌귀족화한 부류와 신흥세력이 등장하여 대립 갈등이 첨예해졌다. .지방출.. 2024. 1. 7.
2020-1218. 청강라이온스클럽 운영위원 최순기 시모상 2020-1218. 청강라이온스클럽 운영위원 최순기 시모상(충남 홍성장례식장) 충신 송명흠~청빈 정순홍(영조~정조) 충신 송명흠~청빈 정순홍(영조~정조) 1.충신 송명흠 @15살에 학자가 되었으나, 士禍(사화)를 피해 낙향한다 .사도세자의 교육(태부)을 맡았는데 壬午獄(임오옥)이 일어났다 .老論에 비판적인 사도세자에 노론과 정순왕후가 반격한것이다 .충언 “여러 당파를 함께 등용해야 특권세력의 독주를 막을수 있다” @나경언은 사도세자를 반역으로 상소되어 자결을 명한다 .송명흠이 결사 반대하자, 영조는 선전관을 시켜 미행시킨다 .퇴근후, 의연한 모습으로 목욕재계후 재차 상소를 한다 “포악한 걸왕도 아들은 죽이지 않았는데, 왜 세자를 죽입니까?” .직신(直臣, 직언하는 신하)에도 충신이라 죄를 뭏지 않았다 2.. 2024. 1. 7.
2020-1218. 제1회 선거관리위원회 2020-1218. 제1회 선거관리위원회 포은 정몽주(丹心歌) 포은 정몽주(丹心歌) 1.정몽주의 명원루(明遠樓)의 詩에서 邂逅故人 三百盃(해후)가 있다 @포은 정몽주(고려말)는 忠臣인가 ? “풍류를 즐기는 태수는 이천석의 돈을 쓰고, 오랜만에 만난친구 술 삼백잔은 마신다네...” .開城 善竹橋는 忠節. 忠正의 상징이다 ;정몽주(21세)는 고려 공민왕(6년,1357년)때 감시합격, ;3회연속 장원(수석합격)으로 세인의 주목을 받았다 ;성균관 대사성(이색)과 개혁정치,성리학 중흥운동을 했다 .이방원에게 철퇴맞아, 선죽교에 혈흔이 선명하다 *丹心歌 :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넔이라도 있고없고 임향한 일편단심 변할줄이 있으랴 ! @이성계와 信賴/政治的 同志, 오랜 친분을 유지해왔는데.... 2024. 1. 7.